• 제목/요약/키워드: 마을의 승리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5초

이민(移民)에서 이산(離散)으로의 여정 - 김창걸의 해방 후 작품을 중심으로 - (A Journey from Immigration to Diaspora - Focusing on Kim Chang-keol's Works After Liberation -)

  • QIAN CHUNHUA
    • 한국학연구
    • /
    • 제54호
    • /
    • pp.75-100
    • /
    • 2019
  • 본고는 김창걸의 해방 후 작품을 대상으로 국공내전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중국의 동북지역에 남아 있던 만주의 조선인들이 어떻게 신(新)중국 조선족으로서의 정체성을 획득하여 가는지를 고찰하였다. 김창걸은 중국 조선족문학의 개척자이자 선구자로 평가받는 작가이다. 재만조선인문학과 중국 조선족문학 양쪽 모두에 걸쳐있으면서 중국조선족문학의 연속성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는 해방 전에 『만선일보』 를 통해 등단하였고, 한동안 『만선일보』 지면을 통해 창작활동을 진행하지만 1943년 절필을 선언한다. 김창걸이 다시 창작을 재개한 것은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고 나서인 1950 년 1월이다. 『동북조선인민보』의 1950년 신춘문예 당선작인 「새로운 마을」은 새 나라 새정부의 지도 밑에 호조합작(互助合作) 사업을 성공적으로 전개시켜 나가는 모범 농촌의 전형을 보여주었다. 이어 내놓은 「마을의 사람들」(1951), 「마을의 승리」(1951) 두 작품은 외적으로는 반혁명분자 색출이라는 당시 범국가적으로 전개되었던 활동을 소설화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한국전쟁 발발 당시 동북지역 조선족사회의 반향과 그들의 한국전쟁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당시 중국 조선족에게 있어서 한국전쟁은 미국과 이승만의북한 침략을 막기 위한 전쟁이었고 그것은 곧 북한의 사회주의 혁명의 승리를 위한 길이었다. 중국의 조선족들에게 있어서 이 시기는 민족적인 정체성보다는 중국 국민이라는 자각과함께 이념적인 측면이 훨씬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던 시기였다. 이에 반해 「행복을 아는 사람들」은 개인의 욕망이 국가 건설이라는 대의 앞에서 소거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신중국 건설시기 조선족 젊은이들은 중국조선족이라는 민족적 정체성을 형성하기에 앞서 중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을 요구 받았고 그것은 모택동이라는 우상과의 조우를 통해 달성되는 모습이다. 이처럼 김창걸의 광복 후 작품은 역동적인 시기를 거치면서 변화해가는 중국 조선족의 운명과 그에 상응하게 변화 발전하는 그들의 정체성, 그리고 소수민족이면서 중국 국민으로 살아가야 하는 한민족의 이산의 삶을 그대로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