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을안길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청주 도심 옛마을의 안길과 중심공간의 특성 변화 (Transformation Characteristics of Inner Road and Communal Space in Old Settlements of Downtown Cheong Ju)

  • 채수민;변경화;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93-10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of inner roads responding to the street system and to examine the how to influence to communal space of village focused on 22 existing old settlements in downtown Cheong Ju.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inner roads based on advanced research. For the research on communal space, interviews with the residents living in the village were conducted to figure out the location and function of it. Also, it was analyzed comparatively with the present communal space.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the width of an inner road has a effect to function of an inner road when flow of an inner road has kept. The function of inner road has been kept when the width of an inner road expanded as pedestrians should be given priority to vehicular traffic. However, the function of inner roads has been changed and the community has been separated when the width of inner roads expanded for vehicular. Because the location of the communal space in the village is affected by the change of the inner road, when the inner road is maintained, the location of the communal space is also maintained, but when the inner road is changed, the location of the communal space is also changed. The communal spaces such as public wells and wash spaces have lost and they have been substituted with senior citizen centers or community centers.

취약지역 마을의 건축경관이미지형성에 관한 연구 - 새뜰마을사업 대상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uilding of Architectural Landscape Image in the Vulnerable Community - Focused on the villages of SaethulMaul Project -)

  • 정건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7-24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build an architectural landscaping design ways of vulnerable community in rural area. I surveyed scenery structures, public buildings and single home forms, and fence types of house in twelve villages which have undertaken improving environment of rural community in four provinces. They all have an inferior surroundings to live in rural village, because they were isolated from the city, located on the mountain or island, and made a living under the slate materials of roof. The central government has been driving to reform the conditions with local office, so that they may increase their living qualities and village environment to get to the general level of rural area. There are thre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scenery of the village surveyed has a remarkable views of locality and hierarchy of layers between field and mountain, which is very identified as a typical image of Korean rural topology. Second, the public buildings and single homes and outside wall of houses were personally designed or reformed as a various types like a flat slab style and different architectural structure, because they followed only to keep the architectural code rather than to make a harmony with other traditional style buildings. When they have to remodel it again through SaethulMaul project, they are needed to consider of both architectural code and design guideline for the local landscape design image. Third, to make a different landscape view of each village and improve housing conditions, it should be taken a people participation design way.

도심 옛마을에 있어서 커뮤니티 공간의 특성 및 변화 (The Characteristics and its Change of Community Space in the Old Settlements of Cheongju City)

  • 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43-50
    • /
    • 2013
  •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its change of spatial elements for community focused on the existing 22 old settlements in urban area of Cheongju. These community spaces are mainly divided into three parts, that is central space, inner road, and blind alley(cul-de-sac).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m are as follows.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central spaces is lasting, but the function is influenced by changing times. The function of central spaces located at the entrance to the village had been reduced to adjustments to modern lifestyle, and currently changed into senior citizen community center, supermarket, and public area. Secondly, as the width of the existing inner roads passed through old settlements had been extended, they are changed into pedestrian and traffic road, but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m have been maintained. When new roads passed through old settlements had been established, the shape of old inner roads is disappeared, and the function of them is changed into byway and alley. Thirdly, cul-de-sacs of old settlements have tended to create a sense of community, but new cul-de-sacs formed by lot division have been only changed to passage. When new roads are established and cul-de-sacs are changed into alleys, the community between individual households is lost.

구룡 해안마을 경관형성 기본계획 (Preliminary Landscape Improvement Plan for Gu-ryong Village)

  • 김연금;최정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23-34
    • /
    • 2012
  • 본 연구는 '2010년도 해안마을 경관형성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국토해양부가 주관하고 고흥군이 시행한 '구룡 해안마을 경관형성 기본계획'을 다룬다. 해안마을 경관은 정주, 경제, 문화 활동을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이므로 해안마을 경관형성 기본계획은 관광자원화와 정주환경조성, 문화 활동 간의 균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주민들의 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관의 잠재성과 생활문화방식을 존중하면서 경관의 개선 및 증진'을 주요 목적으로 설정했다. 연구 진행에 있어서는 주민참여 프로그램을 운영해 주민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경관 인식과 아이디어를 이야기할 수 있도록 했고 경관 추진위원회라는 소통 창구를 통해 경관형성 계획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진행했다. 경관형성 계획은 먼저 시간에 따라 훼손된 자연경관을 복원하고 정비하였다. 구룡산은 배후산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나대지를 복원하고 산마루 지형을 활용하여 전망공간을 조성했다. 해안과 관련해서는 돌을 사용한 계단식 스탠드와 노두길 조성으로 접근성을 높였다. 마을 길 체계는 해안도로, 마을 안길, 산자락길, 노두길 등을 대상으로 사라진 길은 복원하고, 끊긴 부분은 잇고 연결하면서 경관 주제에 맞도록 재구성하였다. 또한 주민들의 외부활동 편의성 증진과 방문객이 체계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기존의 거점 공간을 정비하거나 새롭게 조성했다. 이와 함께 가이드라인을 통해 사적영역에서의 경관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했다. 가이드라인은 건축물의 지붕 벽체 담장과 가로에 놓이는 컨테이너 박스와 어구를 대상으로 했다. 본 연구는 주민참여 프로그램과 주민들과의 협의를 통해 주민들의 생활에 밀착한 해안마을 경관형성 기본계획을 수립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해안마을 경관 형성 사업의 한계점과 과제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첫째는 주민들의 인식과 실천 사이의 간극이다. 주민들은 마을경관의 문제점을 알고 있었으나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데 있어서는 한계를 나타냈다. 둘째는 마을 경관형성사업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부족이다. 지방정부와 주민들은 마을 경관형성 사업을 신규 건축이나 도로 확장 같은 개발 사업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는 경관이 그러하듯이, 이러한 계획은 단시간에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일회적인 사업보다는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국가지정 문화재 민속마을의 외래식물 식재 및 발생현황 - 하회.양동.한개마을을 대상으로 - (The Planting and Occurrence Status of Exotic Plants of the Folk Village as National Cultural Heritage - Focus in Hahoe.Yangdong.Hangae Villages -)

  • 노재현;오현경;한윤희;박경욱;변무섭;허준;최영현;신상섭;이현우;김효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9
    • /
    • 2013
  • 역사공간의 진정성 제고와 보존관리에 활용될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국가지정 문화재인 경상북도 소재 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마을, 성주 한개마을 등 3개 민속마을의 외래식물 분포현황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민속마을의 전체식물상은 127과 430속 614종 5아종 100변종 33품종으로 총 75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 목본식물은 263분류군(35.0%), 초본식물은 489분류군(65.0%)으로 나타났다. 하회 양동 한개마을의 전체 식물상은 각각 총 534 479 408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외래식물률은 30.1 38.2 37.0%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관상외래식물이 135분류군, 풍치외래식물이 21분류군, 경작외래식물이 64분류군 그리고 귀화외래식물이 80분류군 으로 나타나, 관상외래식물의 비율이 탁월하게 높았다. 마을별로는 하회마을 161분류군(30.1%), 양동마을 183분류군(38.2%), 한개마을 151분류군(37.0%)으로 양동마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의 외래식물이 확인되었다. 2. 하회마을내 단위문화재로 지정된 고택 정원에 식재된 관상외래식물은 총 30분류군이고, 옥연정사(8분류군) 양 진당(7) 하동고택(6) 충효당(5) 등의 순으로 외래식물수가 높았으며, 백목련 능소화의 식재율이 탁월하였다. 양동마을에서는 총 51분류군이 관찰되었는데, 두곡고택(16분류군) 수졸당(14) 무첨당(13) 상춘헌고택(12)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국 불두화 상사화 등의 출현율이 높았다. 그리고 한개마을의 관상외래식물은 총 62분류군으 로 진사댁(35분류군), 교리댁(25) 한주종택(20) 하회댁(16) 등의 순이었으며, 골담초 뚝향나무 백목련 불두화 산당화 등의 출현률이 높았다. 3. 정원 외부를 살펴보면 하회마을에서는 만송정 숲 하부에는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식물인 돼지풀이 높은 우점도로 생육하고 있어, 겸암정사 인근의 가시박과 함께 제거대책의 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만송정숲 주변 낙동강 하상으로는 아까시나무림과 양버들군락 등의 풍치외래식물이 하안식생으로 띠숲을 이루고 있다. 양동마을에서는 마을 안길에 자연 발생한 가죽나무군락과 아까시나무와 족제비싸리가 비향토식생경관으로 인지된다. 또한 한개마을 외곽에 산발적으로 분포하는 가죽나무와 아까시나무의 세력 확산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민속마을 간 발생 외래식물의 유사도는 47.0~48.6%로 이와 같은 이유는 연구대상지가 모두 경상북도에 위치하여 있는 관계로 식물의 생육조건이 유사하며, 관상용으로 판매되는 외래식물이 제한적이기 때문으로 판단됨에 따라 외래식물에 대한 마을별 관리대책과 공통 관리대책의 병행이 요구됨을 암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