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마르셀 뒤샹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미로 속의 초현실주의: 1942년 ${\ll}$초현실주의의 1차서류${\gg}$ 전시와 마르셀 뒤샹의 <1마일의 끈>에 관한 연구 (Surrealism in Labyrinth: Marcel Duchamp's Mile of String for "First Papers of Surrealism" (1942))

  • 정은영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15호
    • /
    • pp.167-198
    • /
    • 2013
  • This paper explores rich and complex implications of Marcel Duchamp's Mile of String which he created for "First Papers of Surrealism," the Surrealist international exhibition in New York in 1942. Part of a larger project devoted to investigating Duchamp's role in Surrealist exhibitions and his relation to the avant-garde group, this paper focuses on Duchamp's exhibition installation in the 1942 show. Under the title of "g$\acute{e}$n$\acute{e}$rateur-arbitre" Duchamp played an important role as installation and exhibition designer in a series of major Surrealist exhibitions in the 1930's-1960's. The "First Papers of Surrealism" was held by Surrealists who exiled in New York during World War I, and Duchamp created a labyrinthine installation of string for the exhibition, which physically blocked the spectator and optically hindered his or her contemplative view. Unraveling the intricately related meanings of Mile of String as an independent work of art and an installation for a specific exhibition, I examine the work on two levels: first, how the work was situated in the context of Duchamp's oeuvre, particularly his earlier work employing string or thread; second, how and in what way the installation rendered a critique on Surrealism as a group and an avant-garde movement. More specifically, by exploring the concepts of 'pataphysics' and voluntary 'nomadism' implicated in Duchamp's work, I suggest that his Mile of String asserted a critical stance against nationalism and collective identity of Surrealism and manifested a radical individualism founded upon what he called the spirit of 'expatriation.'

  • PDF

현대건축 표면에서 나타난 앵프라맹스에 관한 연구 - 근/현대 장식성의 발현을 중심으로 - (Inframince in Contemporary Architectural Surfaces - On the Emergence of the Ornament in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

  • 박종현;이영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68-79
    • /
    • 2018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Inframince' in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 Inframince(English: infra-thin) is a concept coined by Marcel Duchamp.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the term "Inframince" by Marcel Duchamp replied that the notion is impossible to define, "one can only give examples of it:". It describes fine indirect perceptions of physical phenomena. Inframince is conductor of two dimensions into three, the essential dynamic in the practice of making space. Inframince is the interval between an inhabitant and their environment that both connects and separates. This study deals with the difficult situation how Contemporary Architecture represents itself over the 20th century modernity and asks the question how it presents its ornamentality. In order to analyse contradictory situation between self-referentiality and ornamentality in Modern/Contemporary Architecture we need to survey the historical process of changing position of ornaments and its meaning in time. The article also analyze the selected works of contemporary architects like Herzog & de Meuron, Jean Nouvel, to show that the trend reversal continues now more than ever. The Architectural surface must be a different kind of media that can communicate in different way with compared to conventional ornament. If we understand Duchmp's Inframince to be the provocation of the unuseful things, and if we interpret Contemporary fact that all specific Architectural Surfaces have been dissolved in timelines, it shows us post-trend of the Surfaces via conspicuous consumption or desire.

미술에 대한 전문성과 화가의 표현 의도에 관한 자각이 운동성을 묘사한 추상화 지각 시 안구 운동 패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rt expertise and awareness of artists' intention on the patterns of eye movement during perception of abstract paintings with implied motion)

  • 김지은;신은혜;김채연
    • 인지과학
    • /
    • 제25권3호
    • /
    • pp.259-276
    • /
    • 2014
  • 마르셀 뒤샹이나 지아코모 발라와 같은 미래파 화가들은 물체가 움직이는 순간 순간의 정지 이미지를 캔버스에 중첩해서 운동감을 표현하려고 했다. 본 연구진은 선행 연구에서 이렇듯 운동성이 내포된 추상 미술작품들에 대한 사전 경험이 뇌의 운동 지각 영역의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관찰된 사전 경험에 따른 차별적인 뇌 운동 지각 영역의 활성화가 안구 운동 패턴의 차별성에 기인하는지 살펴보았다. 사전 경험은 미술 전공 여부로 조작하였다. 또한 전문성 이외에도 움직임 내포에 관한 화가의 의도 자각 여부에 따라 관찰자의 안구 운동 패턴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미술 전공 여부에 따라 추상화 지각시 그림 전체에 대한 시선고정 횟수나 시간 등에 차별적인 경향이 나타났다. 화가의 표현 의도에 대한 자각은 이러한 전반적인 차이와 관련이 없었다. 반면, 운동성의 내포라는 화가의 표현 의도의 자각은 추상화 중 운동성이 표현된 특정 위치에 대한 안구운동과 연관성을 보였다. 즉, 표현의도를 자각한 관찰자들은 그렇지 못한 관찰자들에 비해 추상화 중 움직임과 연관된 신체 부위가 표현된 위치에 좀 더 집중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화폭에 표현된 물체의 움직임 방향과 합치하는 방향의 안구 운동을 더 많이 보였다. 미술 전공 여부는 움직임 표현 위치에 특정적인 안구 운동과 무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 전문성 및 화가의 의도 자각 여부가 관찰자들이 움직임이 함축된 추상화를 지각하는 방식에 차별적으로 관여함을 시사한다. 즉, 전문성은 그림에 대한 전반적인 지각 방식에, 내포된 움직임에 대한 자각은 그 정보에 특정적인 공간에 대한 지각방식에 관여할 가능성을 제안한다.

사운드아트 큐레이팅 연구 (Study of Sound Art Curating)

  • 임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171-176
    • /
    • 2022
  • 본고는 20세기 중반 이후 펼쳐진 상호학제적인 융합적 예술실천의 핵심적 유형인 사운드아트 큐레이팅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고찰한다. 이에 '사운드아트'의 시작에서 현재까지의 발전적 과정을 정리하되, '사운드'라는 재료가 기능한 시각예술의 맥락을 시대 순으로 살피고 주요한 사운드아트 전시의 큐레이팅 사례를 중심으로 '사운드'가 제공한 미학적 체험의 파장과 동시대적 의의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문은 세 개의 섹션으로 구분하여 전개한다. 첫 번째 섹션에서는 19세기 후반 미래파와 다다이스트의 사운드 시에 뒤이어 1913년 마르셀 뒤샹이 음악악보를 시각예술과 접목했던 시도 등이 아방가르드 작곡가 존 케이지의 시각적 음악에도 깊은 영향을 끼쳤음을 인식한다. 이에 이러한 배경이 '사운드'를 새로운 미디어로서 다루는 전시의 등장을 야기했음을 설명한다. 두 번째 섹션에서는 1970년대 들어서면서 예술적 미디어로서의 사운드가 시각성이 지배하는 전시공간과의 비판적 관계성을 성찰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음을 설명한다. 세 번째 섹션에서는 1980년대 이후 현재까지 관객이 전시장의 조직 내에서 마치 하나의 시각적 오브제처럼 사운드를 체험하도록 하는 큐레토리얼 방법론을 분석한다. 본고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시장에서의 지각적 구조를 관습화 했던 역사적 실천을 비평적으로 대하며 동시대 예술현장에서 생명력 넘치는 사운드의 역할을 고민한 사운드아트 큐레이팅의 유의미한 방법론을 사유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