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레저버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6초

Micro-FACS용 미세 유첼 소자의 저작 및 전기삼투 구동 시험 (Fabrication of a Micro Fluidic Device for Micro-FACS and Test of Electroosmosis)

  • 최은수;김근영;박태규;양상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69-7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FACS(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의 초소형화를 위한 미세 유체소자들을 플라스틱 기판에 집적하여 제작하고 전기삼투를 이용해서 세포가 일렬로 이송되는 특성을 시험한다. 제작된 미세 유체 소자는 유리 하부 기판과 플라스틱 상부 기판 및 전원장치로 구성된다. 상부기판은 세포를 주입하기 위한 샘플 측 레저버와 세포를 운반 및 일렬 이송이 가능하게 하는 버퍼를 저장할 두 개의 레저버가 있고 이들이 배출되는 레저버로 구성된다. 마이크로머시닝 기술을 이용하여 실리콘 기판 위에 미세 채널 몰드를 제작한 후 PDMS(polydimethylsiloxane)로 주물을 제작한다. $O_2$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유리 기판과 PDMS 주물을 접합하며 제작된 채널에 적색 잉크와 bead를 샘플 측에 충전하고 버퍼 측에 sodium borate를 충전한 후 전기삼투로 구동시킨다. bead가 일렬로 이송되도록 전장을 조절하고 이때의 유속과 유량을 측정한다. 다양한 전장에 따른 실험을 통하여 채널의 구조를 최적화한다.

  • PDF

PWM 제어에 의한 솔레노이드-유량제어방식 ABS의 제동압력 특성 (Braking Pressure Characteristics of Solenoid-Flow Control Type ABS by PWM Control)

  • 송창섭;양해정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4권8호
    • /
    • pp.146-154
    • /
    • 1997
  • Solenoid-folw control type ABS is used with a 'dump and reapply' pressure control arrangement instead of using 2/2 (normal open/close) solenoid valves in convensional systems(sol. -sol. control type), a flow control valve is used which replaces the (no) inlet valve. The flow control valve controls fluid flow providing a nearly constant reapply rate( .theta. ) after the dump plase of ABS operation.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a characteristics of brake pressure by PWM control, test rig was consisted of ABS hydraulic modulator, digital controller, pneumatic power supply and brake master cylinder. For comparison with experi- mental results, system modelling and computer simulation were performed. As a result, experiment results showed fairly agreement with the simulation. Also, it is shown that the pressure gradient (tan .theta. ) is affected by pressure, frequency, duty ratio and expressed with an exponential funtion.

  • PDF

인공아가미기술

  • 허필우
    • 기계와재료
    • /
    • 제22권3호
    • /
    • pp.110-119
    • /
    • 2010
  • 인공아가미기술은 수중에서 용존산소를 분리하여 호흡에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아가미의 특성을 분석하고 현재까지 제시되고 있는 용존산소의 분리를 위한 메커니즘 특성을 기술하였다. 즉 압력 강하, 캐리어 용액, plastron의 관점에서 용존산소를 분리하여 수중 호흡에 사용하는 부분에 대해 소개하였다. 또한, 현재 진행 중인 용존산소 분리실험장치를 이용한 수중 용존산소의 감소특성을 제시하였다. 압력을 감소함에 따라 용존산소량이 비례하여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중공사막에 공급되는 유량을 증가시키면 용존산소량의 감소가 둔화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휴대형 인공아가미기술은 물놀이와 관련된 레저활동의 안전도구로 활용이 가능하고, 스쿠버다이버, 마이크로연료전지, 인공부레, 잠수함 그리고 인공 폐 분야에 사용이 기대된다.

  • PDF

브레인 모사 인공지능 기술 (Brain-Inspired Artificial Intelligence)

  • 김철호;이정훈;이성엽;우영춘;백옥기;원희선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6권3호
    • /
    • pp.106-118
    • /
    • 2021
  • The field of brain science (or neuroscience in a broader sense) has inspired researcher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a long time. The outcomes of neuroscience such as Hebb's rule had profound effects on the early AI models, and the models have developed to become the current state-of-the-art artificial neural networks. However, the recent progress in AI led by deep learning architectures is mainly due to elaborate mathematical methods and the rapid growth of computing power rather than neuroscientific inspiration. Meanwhile, major limitations such as opacity, lack of common sense, narrowness, and brittleness have not been thoroughly resolved. To address those problems, many AI researchers turn their attention to neuroscience to get insights and inspirations again. Biologically plausible neural networks, spiking neural networks, and connectome-based networks exemplify such neuroscience-inspired approaches. In addition, the more recent field of brain network analysis is unveiling complex brain mechanisms by handling the brain as dynamic graph models. We argue that the progress toward the human-level AI, which is the goal of AI, can be accelerated by leveraging the novel findings of the human brain network.

스쿠버 인증과 동남아의 레저 잠수 현황 연구 (A study on the scuba certification and status of leisure diving in Southeast Asia countries.)

  • 강신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9-114
    • /
    • 2008
  • 본 연구는 동남아 각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레저 스쿠버 잠수 인증 제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잠수 현황 및 인증 현황을 비교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인터넷에 게시된 내용을 많이 활용하였고, 관련 문헌을 조사하였으며, 자료 보완을 위해 잠수 협회 관계자, 2007년 동남아 각국의 DIVE EXPO에 참가한 동남아 각국의 관공홍보 정부 관계자, 잠수 리조트 운영자 및 강사들과 폭 넓은 인터뷰를 하였다. 논문에는 인증 제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스쿠버 인증과 국제 표준의 관계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조사 결과, 동남아 지역은 레저 스쿠버 잠수 활동이 매우 활발한 지역으로 관광 산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전 세계 레저 다이버 인증 숫자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큰 시장으로 발전되어 있었다. 그러나 스쿠버 잠수 활동이 구미 지역에서 도입되었고 잠수 단체의 총 본부가 구미 지역에 있는 만큼 잠수 제도나 정책 문제에 있어서 조직 체계상 아시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 어려운 구조이며, 현재 상태로는 개선책을 찾기가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동남아시아에서는 유럽이나 미국과 같이 국제 표준 제도와 협력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도입 및 단체 결성에는 아직 무관심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에 대한 필요성이 곧 대두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모세관 다이에서 고무 복합체의 점탄성 거동에 대한 컴퓨터 모사 (Computer Simulation of Viscoelastic Flow in a Capillary Die for Rubber Compounds)

  • 박동명;김학주;윤재룡;류민영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1권4호
    • /
    • pp.223-230
    • /
    • 2006
  • 고무복합체는 높은 점탄성 성질을 보이는데 압출성형 시 이 점탄성 성질 때문에 압출물이 팽창하게 된다. 그리고 팽윤양은 공정 조건에 따라서 변한다. 점탄성 성질에서 탄성 부분은 압출물의 팽창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은 모세관 다이에서 여러 가지 고무복합체에 따른 다이팽윤을 알아보기 위해 상용 CFD 프로그램인 Polyflow를 사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컴퓨터 모사에서는 비선형 미분 점탄성 모델인 Phan-Thien-Tanner(PTT) 모델을 사용하였고 온도를 고러하여 해석하였다. 해석을 통해서 레저버와 모세관 다이에서 압출물의 압력, 속도, 그리고 온도 분포 등을 예측하였다. 여러 가지 고무 복합체의 다이 팽윤양을 알아보기 위해서 유량과 모세관 다이의 지름을 변경하면서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PPT 모델은 고무 복합체에 대한 점탄성 거동을 잘 표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차량용 연료전지 냉각시스템 제어 알고리즘 특성 연구 (Control Algorithm Characteristic Study of Cooling System for Automotive Fuel Cell Application.)

  • 한재영;박지수;유상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0권1호
    • /
    • pp.39-45
    • /
    • 2016
  • 차량용 연료전지의 부하 변동시 열관리는 성능과 내구성에 직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작동 부하 조건 내에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열관리 시스템용 선형 상태 궤환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차량용 연료전지 열관리 모델은 레저버, 라디에이터, 바이패스 밸브, 팬 그리고 냉각수 펌프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MATLAB/SIMULINK$^{(R)}$으로 개발하였다. 시스템 모델의 비선형성으로 인해, 부하 조건 $0.5A/cm^2{\sim}0.7A/cm^2$ 에서 온도 제어 지령을 정상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PWM(Pulse Width Modulation)과 수정된 상태 궤환 제어기를 적용하였고 제어 알고리즘의 성능은 ITAE(Integral time weighted error)로 평가하였다. 수정된 상태 궤환 제어기가 저 부하 구간에서 다른 알고리즘에 비해 더 효율적으로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