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레일 표면 결함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28초

치과용 접착제가 복합레진 인레이와 레진시멘트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DHESIVE APPLICATION ON SHEAR BOND STRENGTH OF THE RESIN CEMENT TO INDIRECT RESIN COMPOSITE)

  • 송미혜;박수정;조현구;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5호
    • /
    • pp.419-427
    • /
    • 2008
  • 본 연구는 레진시멘트의 레진인레이에 대한 접착 시 접착제 혹은 primer의 사용이 결합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직경 5mm,높이 4.5mm의 원기둥 형태로 제작한 레진인레이 (Tescera, Bisco, USA)의 표면을 1000번, 1500번 그리고 2000번 사포로 주수 하에서 연마하여 평편한 면을 형성한 후 레진인레이의 표면에 sandblasting을 시행한 후 표면에 1분 동안 silane을 도포하였다. 2군으로 나누어 한 군은 대조군으로, 다른 한 군은 표면에 동일한 제조사의 접착제나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중합하였다. 레진인레이 상에 3mm 직경의 구멍이 형성된 아크릴판을 고정하고, 구멍에 레진 시멘트를 주입하여 경화시켰다. 레진 시멘트는 Panavia-F (Kurary), Varolink-II(Ivoclar-Vivadent), RelyX Unicem(3M ESPE), Duolink(Bisco)와 자가중합형인 Multilink (Ivoclar-Vivadent)를 사용하였다. 제작된 시편을 만능물성시험기에 위치시고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접착제나 프라이머를 도포한 군은 대조군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증가하였다 (p<0.05). 하지만 Variolink-II와 Panavia-F는 전단결합강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조군에서는 각 레진 시멘트간에 전단결합강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1) Variolink-II가 가장 높은 결합강도를 보인 반면, 자가중합형인 Multilink가 가장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다. 하지만, 접착제나 프라이머를 도포한 군에서는 각 제품간에 전단결합강토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이원중합형이나 자가중합형 레진시멘을 이용하여 레진인레이 부착 시 silane 처리 후 접착제나 프라이머의 도포가 결합 강도의 증가를 위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아연나노입자함유 교정용 레진의 물리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Resin Containing Zinc Nanoparticle.)

  • 조정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373-379
    • /
    • 2019
  • 가철성 교정장치의 자가중합 레진인 Polymethyl methacrylate(PMMA)는 색의 안정성과 체적 안정성, 조직 친화성 등의 장점이 있어 오랫동안 치과 교정장치 재료로 사용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가철성 교정장치는 구강내에서 사용이 길어질수록 PMMA의 낮은 강도로 인하여 사용중 교정장치 레진상이 파절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zinc nanoparticle (ZNP)가 orthodontic PMMA에 혼합하여 강도효과를 도입하고자한다. ZNP을 함유된 orthodontic PMMA (0, 0.5, 1.0, 2.0 및 4.0%)의 직사각형 시료($1.4{\times}3.0{\times}19.0mm$)를 제작하였다. 제작완료된 시편을 1 mm/min의 속도로 3점 굽힘강도 시험하였고, 비커스 경도는 경도기를 이용하여 3회측정하였고, 표면조도기로 표면조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3점 굽힘강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05). 경도를 평가한 결과 역시 유지됨을 관찰하였다. 표면조도도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표면에너지는 유의차 있게 증가하였다. ZNP함유된 orthodontic PMMA는 의치 및 교정용 장치의 기계적 특성 대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ZNP를 성공적으로 합성하고 이것이 분산된 교정용 레진 시편을 제작하였다. 추후 항균실험을 추가하여 고강도와 항균력이 있는 교정장치를 개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열가소성 의치상 레진과 첨상용 레진의 접착 강도에 저온플라즈마가 미치는 효과 (Nonthermal plasma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relining resin to thermoplastic denture base resin)

  • ;;송소연;박진홍;이정열;신상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99-205
    • /
    • 2018
  • 목적: 이 연구는 저온 플라즈마가 자가중합형 재이장용 레진과 주입형 열가소성 의치상 레진의 결합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른 표면 처리 방법에서 평가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방법: 네 가지 열가소성 의치상이 이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Acrylic Resin (Acrytone), Polyester (Estheshot-Bright), Polyamide (Valplast), Polypropylene (Weldenz)에 다양한 표면처리를 시행하였다: 대조군, 저온플라즈마, Sandblasting, Sandblasting와 저온플라즈마. 표면 처리 후 모든 시편은 Tokuyama Rebase II를 이용하여 원형의 테플론 관에 접착되었다. 전단강도는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통해 crosshead speed 1 mm/min으로 측정되었다. 통계 분석 방법으로는 이원분산분석을, 사후 검정 방법으로는 Tukey's test가 사용되었다. 결과: Acrytone이 다른 열가소성 의치상 레진 그룹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더 높은 전단강도를 보인 반면 Weldenz는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Sandblast와 저온플라즈마를 순차적으로 시행한 조건에서 모든 레진 그룹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가장 높은 전단강도 값을 나타냈다. 결론: 열경화성 의치상 레진과 재이장용 레진 사이의 전단강도에 저온플라즈마는 제한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andblasting 처리와 함께 처리되었을 때 두 재료간 전단강도는 향상되었다.

반응표면법에 의한 승강장 안전문(PSD) 부재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Passenger Safety Door(PSD) Par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

  • 이재환;김진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73-7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승객 보호용으로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PSD(승강장 스크린 도어)의 상부 헤더박스 내에 부착되어 개폐용 유리문을 지지하는 알루미늄 구동(레일)부재에 대한 구조해석과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구동부재의 볼트 체결부에 대한 엄밀한 구조해석을 위하여 물리적 현상과 일치하도록 상세 유한요소 모델링하여 해석의 정확도를 높였다. 또한 유리문이 구동부재에 걸려 있으면서 개폐될 때 발생하는 하중의 이동상태를 고려한 구조해석 결과, 설계 목표치인 내구 수명 20년이 만족되었다. 구동부재 단면의 단면 길이를 설계변수로 하고 설계제약조건(응력의 최소화, 중량의 감소)에 만족할 수 있도록 반응표면법을 적용한 최적화를 수행하여 15%의 감량 결과를 도출하였다.

열화억제형 방수공법에 대한 검토 (A Study of the Deterioration Restraining Agent Drainage method of Construction)

  • 오대철;김은겸;김대상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67-1272
    • /
    • 2007
  • 철도교량의 경우 교면방수 시공 후 방진매트, 궤도자갈 및 침목부설, 레일 설치 등의 후속공정이 뒤따르고, 시공 및 경제적인 여건으로 인해 위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시행되지 못하고 일정 구간 단위로 후속공정이 이루어지는 특수성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교면방수 시공 이후 표면의 노출이 장기화 되는 것이 불가피한 실정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현상으로 인해 발수재의 분해 및 용출이 발생하여 방수시공 초기의 침투깊이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철도교량이 갖고 있는 시공적인 특수성과 궤도자갈이 부설되지 않고 영구적으로 표면이 노출되는 부분을 고려한다면 표면의 장기적인 노출에도 방수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내구성을 갖고 있는 방수공법을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표면노출에 따른 열화현상을 방지하는 열화억제형 방수공법(DRA방수공법)에 대하여 시험시공을 통한 객관적인 분석 결과를 도출하고, DRA 방수 공법의 KNOW-HOW를 습득하는 것으로, 이를 통하여 철도교량의 교면방수 열화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하자를 방지하여 잦은 보수와 보강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현장에서의 시공관계자들이 방수공법을 선정하는데 따른 합리적인 판단 기준을 제공하는데 있다.

  • PDF

이종물질에 의해 복잡한 불규칙 무늬가 형성된 물체 표면의 영상 기반 셰이딩 기법 (Image based Shading Techniques for Surfaces with Irregular and Complex Textures Formed by Heterogeneous Materials)

  • 이주림;남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9
    • /
    • 2010
  • 물체 표면의 재질을 실물에 가깝게 렌더링 하는 것은 그래픽 콘텐츠의 사실감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은 속성이 다른 여러 구성 물질에 의해 복잡한 무늬가 형성된 표면을 한 장의 스틸 사진만을 이용하여 셰이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방법들은 이와 같은 이종물질에 의한 불규칙한 텍스처의 렌더링을 위해 많은 이미지를 필요로 하거나 특수 촬영 장비를 사용했으며, 수작업에 의해 물질별 표면 영역을 나누어 주어야 했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 특성에 따른 물질별 텍스처 영역 분할법의 자동 선택 방식을 제시하였고, 그 결과로 구분된 물질별 레이어에 대해 근사화(approximate)된 양방향 반사도 분포함수(BRDF) 값을 구함으로써 주어진 사진과 다른 조명 조건이나 시야(view)에 대해서도 대응되는 렌더링 및 셰이딩 결과를 생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

치면열구전색제와 유동성 복합 레진의 미세 경도 및 표면 조도의 비교 (MICROHARDNESS AND SURFACE ROUGHNESS OF SEALANT AND FLOWABLE COMPOSITE RESINS)

  • 양규호;최남기;김선미;최지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40-447
    • /
    • 2009
  • 본 연구는 예방적 레진 수복술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소와열구 전색제를 대신하여, 유동성 복합 레진이 사용될 경우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비커스 미세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직경 10 mm, 높이 3 mm인 11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비커스 미세경도 측정기(FM-7, FUTURE-TEC Inc., Japan)를 이용하여 압입하중 50 gf, 유지시간 15초의 조건 하에서 측정하여 각 군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표면조도를 측정하기 위해 칫솔마모시험기(Toothbrush abrasive machine K236, Tokyo Machine Co., Japan)로 4개의 시편 표면에 200 rpm의 속도로 4000회의 칫솔질을 시행한 뒤 표면조도형상측정기(Form Talysurf series 2, Rank Taylor Hobson Co., England)를 이용해 표면조도를 측정하였다. ${\alpha}$=0.05의 유의 수준에서 Kruskal-Wallis rank test와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각 군의 마모 양상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비커스 미세경도 측정 결과 Filtek Z350 flowable (3M ESPE, U.S.A), Palfique Estelite LV (Tokuyama Dental, Japan), Ultraseal XT plus (Ultradent, U.S.A)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 2. 표면 조도 측정 결과, $Ultraseal^{(R)}$, $Estelite^{(R)}$, $Z350^{(R)}$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16). 3. 마모되지 않은 표면과 마모가 일어난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전색제인 Ultraseal XT plus와 유동성 복합레진인 Palfique Estelite LV, 나노필러를 함유한 유동성 복합레진인 Filtek Z350 flowable이 서로 다른 마모 양상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할 때, 유동성 복합 레진이 전색제에 비해 물성 적 측면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산성 불소가 복합레진 표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ON THE SURFACE OF COMPOSITE RESIN)

  • 양규호;육근영;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55-263
    • /
    • 2007
  • 복합레진 수복은 치아우식 및 치아우식 예방치료를 위한 대표적인 술식으로 소아치과 영역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으며 불소도포는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대표적인 술식으로 1년에 2번 장도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APF)가 복합 레진의 표면을 거칠게 한다는 부작용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소도포가 복합레진의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시판용 레진인 Solitaire $2^{(R)}$(Heraeus Kulzer, Germany), Metafil $CX^{(R)}$(Sun medical, Japan), Composan $LCM^{(R)}$(Promedica, Germany), $Charmseal^{(R)}$(DenKist, Korea)을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고, 불소젤은 $Topex^{(R)}$(Sultan Dental Products, Canada)를 각각 1분과 4분동안 도포시킨 후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불소젤을 도포시키지 않은 대조군에서 가장 평활한 표면을 보였으며 1분군, 4분군 순으로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Composan $LCM^{(R)}$을 제외한 모든 제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국소도포용 불소젤을 도포한 각 레진 시편의 무게 차이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 1분군, 4분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3.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시 불소젤을 도포시킨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거친 표면을 나타내었다.

  • PDF

위성 영상 레이다(SAR)시스템 설계와 성능분석 (Spaceborne SAR System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 곽영길;정철호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26-39
    • /
    • 2006
  • 영상 레이다(SAR)는 전천후 영상획득이 가능하며, 반사표면의 물리적인 구조와 특성에 따라 표적탐지 및 식별성능이 우수하므로 군사용으로는 물론 과학 민수용으로 광범위한 활용분야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X-밴드 소형위성 SAR 체계 설계 개념과 주요 임무 및 체계설계 요건들을 제시하고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영상모드 설계 기법과 표준 영상모드 설계 결과를 분석한다. 그리고, X-밴드 SAR 탑재체 및 지상 수신처리의 주요 체계 설계 결과와 성능특징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SAR 영상활용을 위한 응용분야와 처리결과를 제시한다. 제안된 위성 SAR 시스템은 광역감시 모드에서 고해상도 모드까지 다양한 영상 모드 구현이 가능하며, 소형, 고성능, 저 비용 관점에서 효율적인 전천후 레이다 영상획득 시스템이다.

  • PDF

나노컴포지트에서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적용에 따른 Streptococcus mutans 부착량 변화 (CHANGES IN ADHESION OF STREPTOCOCCUS MUTANS TO NANOCOMPOSITE RESINS AFTER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GEL APPLICATION)

  • 정영정;김영재;김정욱;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27-436
    • /
    • 2005
  • 복합레진 표면에 대한 APF gel 도포는 표면을 거칠게 하고 세균 부착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는 Filtek Z250(FZ), Filtek Supreme Universal(FS)과, 실험적으로 나노충전재를 각각 0%, 3%, 6% 포함시켜 만든 복합레진(E0, E3, E6)으로 제작한 레진 시편을, APF gel을 적용한 군과 적용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Streptococcus mutans의 부착량과 표면 조도를 측정하고 비교,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PF gel을 적용하지 않은 레진 시편에 대한 S. mutans 부착량은 FS에서 가장 적었고, FZ, E3, E6에 대한 부착량보다는 유의하게 낮았다(p<0.05). 2. 모든 레진군에서 APF gel을 적용한 레진 시편에 대한 S. mutans 부착량은 APF gel을 적용하지 않은 시편에 대한 부착량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3. APF gel을 적용한 레진 시편에 대한 S. mutans 부착량은 레진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FS, FZ, E0, E3, E6의 순서로 높은 값을 보였다. 4. APF gel 적용 전이나 후에, 레진군간 표면조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