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띄어쓰기 교정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Korean Spacing System for Continuous Speech Characters (연속 음성 문자열에 대한 한국어 띄어쓰기 시스템)

  • Kim, Kye-Sung;Lee, Hyun-Ju;Kim, Sung-Kyu;Choi, Jae-Hyuk;Lee, Sang-J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8.10c
    • /
    • pp.391-395
    • /
    • 1998
  • 대용량의 연속된 음성을 인식하는 데에는 형태소 사이의 음운변동과 언절과 어절 사이의 불일치 등으로 인한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므로 언어학적인 지식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 기술과의 결합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장 단위의 연속 음성 문자열을 올바른 어절로 띄어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띄어쓰기 발음열 사전을 이용하여 어절의 경계를 추정한다. 이 때 보다 정확한 띄어쓰기 위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2음절 이상의 최장 조사 어미와 음절 분리가능빈도가 이용된다. 이렇게 해서 분리된 어절들은 음절 복원기를 거친 뒤, 형태소 분석을 행하여 올바른 어절인지를 검사한다. 분석에 실패한 어절은 띄어쓰기 오류 유형에 따라 교정을 한 후 형태소 분석을 재시도한다. 제안한 시스템을 테스트해 본 결과 96.8%의 정확도를 보였다. 본 시스템은 음운 변동 처리기와 함께 말소리를 음성 그대로 인식하는 인식기의 후처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ntext-sensitive Spelling Correction using Measuring Relationship between Words (단어 간 연관성 측정을 통한 문맥 철자오류 교정)

  • Choi, Sung-Ki;Kim, Minho;Kwon, Hyuk-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362-1365
    • /
    • 2013
  • 한국어 텍스트에 나타나는 오류어의 유형은 크게 단순 철자오류와 문맥 철자오류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문맥 철자오류는 문맥의 의미 통사적 관계를 고려해야만 해당 어휘의 오류 여부를 알 수 있는 오류로서 철자오류 중 교정 난도가 가장 높다. 문맥 철자오류의 유형은 발음 유상성에 따른 오류, 오타 오류, 문법 오류, 띄어쓰기 오류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타 오류에 의해 발생하는 문맥 철자오류를 어의 중의성 해소와 같은 문제로 보고 교정 어휘 쌍을 이용한 통계적 문맥 철자오류 교정 방법을 제안한다. 미리 생성한 교정 어휘 쌍을 대상으로 교정 어휘 쌍의 각 어휘와 주변 문맥 간 의미적 연관성을 통계적으로 측정하여 문맥 철자오류를 검색하고 교정한다.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결과 3개의 교정 어휘 쌍 모두 90%를 넘는 정확도를 보였다.

Construction of a Parallel Corpus for Instant Messenger Spelling Correction and Related Issues (메신저 맞춤법 교정 병렬 말뭉치의 구축과 쟁점)

  • HUANG YINXIA;Jin-san An;Kil-im Na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545-55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2021년 메신저 언어 200만 어절을 대상으로 수행된 맞춤법 교정 병렬 말뭉치의 설계와 구축의 쟁점을 소개하고, 교정 말뭉치의 주요 교정 및 주석 내용을 기술함으로써 맞춤법 교정 병렬 말뭉치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2021년 맞춤법 교정 병렬 말뭉치의 주요 목표는 메신저 언어의 특수성을 살림과 동시에 형태소 분석이나 기계 번역 등 한국어 처리 도구가 분석할 수 있는 수준으로 교정하는 다소 상충되는 목적을 구현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교정의 수준과 병렬의 단위 설정 등 상당한 쟁점을 내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말뭉치 구축 시점에서 미처 논의하지 못한 교정 수준의 쟁점과 교정 전후의 통계적 특성을 함께 논의하고자 하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하위 내용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첫째, 맞춤법 교정 병렬 말뭉치의 구조 설계와 구축 절차에 대한 논의로, 2022년 초 국내 최초로 공개된 한국어 맞춤법 교정 병렬 말뭉치('모두의 말뭉치'의 일부)의 구축 과정에서 논의되어 온 말뭉치 구조 설계와 구축 절차를 논의한다. 둘째, 문장 단위로 정렬된 맞춤법 교정 말뭉치에서 관찰 가능한 띄어쓰기, 미등재어, 부호형 이모티콘 등의 메신저 언어의 몇 가지 특성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2021년 메신저 맞춤법 교정 말뭉치의 구축 단계에서 미처 논의되지 못한 남은 문제들을 각각 데이터 구조 설계와 구축 차원의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특히 메신저 맞춤법 병렬 말뭉치의 주요 목표인 사전학습 언어모델의 학습데이터로서의 가치와 메신저 언어 연구의 기반 자료 구축의 관점에서 맞춤법 교정 병렬 말뭉치 구축의 의의와 향후 과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 PDF

A method for morphological correction of ambiguous error (한글 문서에서 형태적 중의 오류의 교정)

  • Kim, Min-Ju;Jeong, Jun-Ho;Lee, Hyeon-Ju;Choe, Jae-Hyeok;Kim, Hang-Jun;Lee, Sang-J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8.10c
    • /
    • pp.41-48
    • /
    • 1998
  • 교정 시스템에 나타나는 오류 유형들 중에는 전체적인 교정률에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만 출현할 때마다 틀릴 가능성이 아주 높은 오류들이 있다. 기존의 교정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오류들에 대한 처리가 미흡한데, 철자 오류와 띄어쓰기 오류 중 형태가 비슷하거나 같은 형태가 다른 기능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오류들이다. 이러한 오류는 일반 문서 작성자뿐만 아니라 한글 맞춤법에 대해 어느 정도 지식을 가진 사람의 경우에도 구분이 모호하다. 복합 명사와 미등록어를 제외한 오류 중 약 30%가 여기에 속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오류 유형들을 분류하고, 이 중에서 빈번하게 출현하는 오류에 대한 교정을 시도하고, 오류 유형들이 문장 내에서 어떤 분포를 가지는지 알아본다. 약 617만 어절의 말뭉치를 이용하여 해당 형태와 다른 성분들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교정 방법을 제시하고, 형태소 분석을 하여 교정을 행한다. 코퍼스 655만 어절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84.6%의 교정률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교정 방법은 기존의 교정 시스템에 추가되어 교정 시스템의 전체 교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비슷한 유형의 다른 어휘 교정에 대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Improving of the Correction Methods for a Korean Spell/Grammar Checker (한국어 철자 검사기의 교정기법 개선)

  • Kim, Kwang-Young;Nam, Hyeon-Sook;Park, Su-Ho;Park, Jin-Hee;Gwon, Hyeok-Cheo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0.10d
    • /
    • pp.89-94
    • /
    • 2000
  • 본 논문은 부산대 철자 검사/교정기의 기존 성능을 보완하고 기능을 추가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웹 문서, 신문 등을 통해서 사용자들이 자주 틀리는 오류 단어에 대해서 오류 유형을 분류했다. 이 결과를 철자 검사 및 교정 시스템에 적용하여 교정기법 개선을 통하여 띄어쓰기 교정 기능을 향상 시켰다. 이렇게 새로 구현한 시스템과 이전 시스템의 성능을 실험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발견한 문제점과 한계를 이후 더 발전 해야할 과제로 고찰하고 결론을 맺는다.

  • PDF

Bayesian Parameter Estimation Considering User-input for Korean Word Spacing Model (한국어 띄어쓰기 모델에서 사용자 입력을 고려한 베이지언 파라미터 추정)

  • Lee, Jeong-Hoon;Hong, Gum-Won;Lee, Do-Gil;Rim, Hae-Ch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8.10a
    • /
    • pp.5-11
    • /
    • 2008
  • 한국어 띄어쓰기에서 통계적 모델을 사용한 기존의 연구들은 최대우도추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에 기반하고 있다. 그러나 최대우도추정은 자료부족 시 부정확한 결과를 주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자 입력을 고려하는 베이지언 파라미터 추정(Bayesian parameter estimation)을 제안한다. 기존 연구가 사용자 입력을 교정 대상으로만 간주한 것에 비해, 제안 방법은 사용자 입력을 교정 대상이면서 동시에 학습의 대상으로 해석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 사용자 입력은 학습 말뭉치의 자료부족에서 유발되는 부정확한 파라미터 추정(parameter estimation)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학습 말뭉치는 사용자 입력의 불확실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실험을 통해 문어체 말뭉치, 통신환경 구어체 말뭉치, 웹 게시판 등 다양한 종류의 말뭉치와 다양한 통계적 모델에 대해 제안 방법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Efficient Address Cleaning System for CRM (CRM 위한 효율적인 주소 정제 시스템 개발)

  • Park, Gyu-Jin;Song, Won-Mun;Kim, Eun-Ju;Kim, Myeong-Won;Han, Young-Jin;Rim, You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c
    • /
    • pp.313-318
    • /
    • 2007
  • 최근 기업들은 인터넷, 이벤트 등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방대한 양의 고객 주소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이렇게 수집된 고객 주소 데이터는 DM발송 등을 통한 마케팅 및 캠페인에 활용함으로써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고객의 충성도를 높인다. 그러나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의 일부는 띄어쓰기가 정확하지 않은 주소, 정보가 누락된 주소, 오타가 있는 주소, 구주소 등의 입력으로 주소의 표준 형태를 갖지 않거나 일관성이 없다. 또한 2007년 4월부터 부분시행예정인 신주소 체계를 위해 기존의 주소를 적절히 변환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부정확하거나 불완전한 주소를 표준 형태의 정확한 주소로 변경하는 효율적인 주소 정제 시스템을 제안하고 개발한다. 본 시스템은 먼저 입력 주소의 유니코드 분석을 통한 한글 입력 오류 교정과 해쉬테이블을 이용한 건물명의 표준 형태 변환을 수행한다. 이 과정이 완료된 주소들은 주소 트리 모델 구축을 통해 띄어쓰기가 부정확한 주소의 처리, 역주소테이블(inverted address table)을 이용한 누락 주소의 처리(enrichment), 구주소에 대한 트리 모델을 생성한 신주소 변환 처리 등의 프로세스를 통해 정제하게 된다. 실험을 위해 오타와 띄어쓰기, 누락된 정보가 있는 주소를 생성하여 타 정제 시스템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생성된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기존 주소 정제 시스템의 오류율 7.5% 보다 제안된 방법으로 개발된 본 시스템의 오류율이 0.45%로 낮음을 확인하였다.

  • PDF

Template Constrained Sequence to Sequence based Conversational Utterance Error Correction Method (문장틀 기반 Sequence to Sequence 구어체 문장 문법 교정기)

  • Jeesu Jung;Seyoun Won;Hyein Seo;Sangkeun Jung;Du-Seong Ch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553-558
    • /
    • 2022
  • 최근, 구어체 데이터에 대한 자연어처리 응용 기술이 늘어나고 있다. 구어체 문장은 소통 방식 등의 형태로 인해 정제되지 않은 형태로써, 필연적으로 띄어쓰기, 문장 왜곡 등의 다양한 문법적 오류를 포함한다. 자동 문법 교정기는 이러한 구어체 데이터의 전처리 및 일차적 정제 도구로써 활용된다. 사전학습된 트랜스포머 기반 문장 생성 연구가 활발해지며, 이를 활용한 자동 문법 교정기 역시 연구되고 있다. 트랜스포머 기반 문장 교정 시, 교정의 필요 유무를 잘못 판단하여, 오류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오류는 대체로 문맥에 혼동을 주는 단어의 등장으로 인해 발생한다. 본 논문은 트랜스포머 기반 문법 교정기의 오류를 보강하기 위한 방식으로써, 필요하지 않은 형태소인 고유명사를 마스킹한 입력 및 출력 문장틀 형태를 제안하며, 이러한 문장틀에 대해 고유명사를 복원한 경우 성능이 증강됨을 보인다.

  • PDF

Automatic Correction of Word-spacing Errors using by Syllable Bigram (음절 bigram를 이용한 띄어쓰기 오류의 자동 교정)

  • Kang, Seung-Shik
    • Speech Sciences
    • /
    • v.8 no.2
    • /
    • pp.83-90
    • /
    • 2001
  • We proposed a probabilistic approach of using syllable bigrams to the word-spacing problem. Syllable bigrams are extracted and the frequencies are calculated for the large corpus of 12 million words. Based on the syllable bigrams, we performed three experiments: (1) automatic word-spacing, (2) detection and correction of word-spacing errors for spelling checker, and (3) automatic insertion of a space at the end of line in the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ccuracy ratios are 97.7 percent, 82.1 percent, and 90.5%, respectively.

  • PDF

A Spelling Error Correction Model in Korean Using a Correction Dictionary and a Newspaper Corpus (교정사전과 신문기사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철자 오류 교정 모델)

  • Lee, Se-Hee;Kim, Hark-Soo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6B no.5
    • /
    • pp.427-434
    • /
    • 2009
  • With the rapid evolution of the Internet and mobile environments, text including spelling errors such as newly-coined words and abbreviated words are widely used. These spelling errors make it difficult to develop 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pplications because they decrease the readability of texts. To re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spelling error correction model using a spelling error correction dictionary and a newspaper corpus. The proposed model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st of data construction are not high because it uses a newspaper corpus, which we can easily obtain, as a training corpus. In addition, the proposed model has an advantage that additional external modules such as a morphological analyzer and a word-spacing error correction system are not required because it uses a simple string matching method based on a correction dictionary. In the experiments with a newspaper corpus and a short message corpus collected from real mobile phones, the proposed model has been shown good performances (a miss-correction rate of 7.3%, a F1-measure of 97.3%, and a false positive rate of 1.1%) in the various evaluation 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