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때죽나무

Search Result 12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Rust Fungus Pucciniastrum styracinum on Styrax japonicus in Korea Confirmed by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형태 및 분자적 특징에 의한 때죽나무 녹병균(Pucciniastrum styracinum)의 재확인)

  • Park, Ji-Hyun;Jung, Bok-Nam;Lee, Jae Sung;Choi, Young-Joon;Shin, Hyeon-Dong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49 no.4
    • /
    • pp.531-537
    • /
    • 2021
  • Styrax japonicus is a deciduous shrub or a small tree belonging to the family Styracaceae. Since 1990, a rust fungus has continuously been found on S. japonicus leaves across the countr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ust fungus were most consistent with those of Pucciniastrum styracinum reported on Styrax obassia in Japan. The species identification was confirmed by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large subunit rDNA sequences. The current study provides mycological information with morphological measurements and molecular phylogenetic data of P. styracinum found on S. japonicus in Korea. Therefore, this is the first confirmed report on the presence of P. styracinum on S. japonicus in Korea.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Forest at Yeonaegol, Kyeryongsan National Park (계룡산국립공원 연애골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 박인협;서영권;이석면;이만용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4
    • /
    • pp.303-310
    • /
    • 2001
  • 계룡산국립공원 연애골 계곡부(해발 170-630m)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교목층과 아교목층의 산림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란 48개 조사구를 설정하였다. 계곡 정부를 제외할 때,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교목층의 밀도는 증가하는 반면 아교목층의 밀도는 감소하였으며, 교목층과 아교목층 전체의 밀도는 별차이가 없었다. 흉고단면적은 계곡 하부와 중부가 상부에 비하여 높았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산길나무, 팥배나무, 쇠물푸레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산벚나무, 졸참나무, 때죽나무, 갈참나무, 밤나무 등이었다. 사면 하부에서 갈수록 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소나무, 신갈나무, 쪽동백나무, 쇠물푸레 드잉었으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느티나무, 때죽나무, 비목나무, 고로쇠나무 등이었다. 해발고대별 종다양의 범위는 0.971~1.273이었으며, 종다양도와 종수는 계곡 중부가 계곡하부와 상부에 비하여 다소 낮았으나 균재도는 유사하였다. 계곡 정부를 제외한 해발고대간 유사도지수는 30.8~63.7%, 사면부위간 유사도지수는 69.8~79.5%로서 사면부위보다 해발고에 따른 종구성상태의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수종별 중요치에 의한 Cluster 분석 결과 계곡 하부의 사면 상. 중, 하부에 위치한 때죽나무-소나무-낙엽활엽수군집, 계곡 중부의 사면 상, 중, 하부에 위치한 굴참나무-낙엽활엽수군집 계곡 상부의 상. 중. 하부에 위치한 물푸레나무-낙엽활엽수군집, 계곡 정부에 위치한 소나무-신갈나무군집 등 4개 유형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종상관을 분석한 결과 느티나무, 물푸레나무, 고로쇠나무, 팽나무, 회나무 등 5개 수종간, 소나무, 쇠물푸레, 산철쭉 등 3개 수종간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였다.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인 느티나무, 물푸레나무, 회나무, 사람주나무 등 4개 수종 모두 소나무와 유의적인 부위 상관을 보였으며,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인 졸참나무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인 물푸레나무, 사람주나무, 회나무와, 유의적인 부의 상관을 보였다.

  • PDF

Analysis of Relationship of the Korean Styracaceae by RAPD Markers (RAPD markers에 의한 한국산 때죽나무과(Styracaceae)식물의 유연관계)

  • Kim, Hyuk-Jin;Tae, Kyoung-Hwan;Kim, Joo-Hwa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7 no.2
    • /
    • pp.143-153
    • /
    • 2007
  • In order to estimate the relationships among four taxa (Styrax japonicus, Styrax obassia, Styrax shiraianus and Pterostyrax hispidus) of two genus in the Styracaceae and their regional populations, RAPDs analysis was performed. Fifteen random primers generating 238 RAPD bands were enough to reveal differences in genotype bands. They were clustered into three groups by the UPGMA phenogram. The first group was Styrax japonicus populations, the second group was consisted of Styrax obassia populations and S. shiraianus populations, and third group was Pterostyrax hispidus population. The UPGMA phenogram based on RAPD analyses showed that Styrax obassia and S. shiraianus had the closest relationship among four taxa. Species as well as genera of the Korean Styracaceae were well discriminated by the RAPD analyses.

미국 JC Raulston 식물원에 식재된 한국자생 조경수목

  • 서병기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9.05a
    • /
    • pp.48-50
    • /
    • 1999
  • 미국 J.C. Raulston 식물원에는 한국자생 조경수목 36과 110종 3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이중 때죽나무 'Emerald Pagoda' 신품종은 1985년 미국 국립식물원 식물탐사팀과 J.C Raulston이 소흑산도에서 꽃이 많고 잎이 크고 두꺼운 신품종으로 등록한 우리나라 자생종으로 미국내에서 감상가치가 매우 뛰어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J.C. Raulston은 이 때죽나무를 품종명 'Sohuksan'이라고 명명하였다가 'Emerald Pagoda'로 개칭하였다. Raulston은 소흑산 때죽나무를 수화물에 보관하여 미국에 도입했다. 도한 아왜나물를 진도에서 채집하였는데, 이것은 지금도 'Chindo'라는 품종으로 불이고 있으며 미구내 동남부 지바으이 조경에 적응성이 높고 감상가치가 높아 대량번식 및 보급 중에 있다.

  • PDF

Change of Vegetation Structure in the Harvested forest Area(II)-A Case of (Mt.)Baegwoonsan Research forest at Kwangyang City- (산림 벌채적지의 식생구조 변화(II)-황양시 백운산연습림지역을 중심으로-)

  • 오구균;최송현;박상규;심항용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7 no.4
    • /
    • pp.337-345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vegetation recovery process after timber harvesting at (Mt.) Baekwoonsan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ests, Korea. Two monitoring plots were established in 1994 and woody plant were monitored in 1997, 1999, 2001, and 2003. Vegetation development pattern during last ten years (1994-2003) after timber harvesting were as follows; Styrax obassia, Styrax japonica and Lindera erythrocarpa as of the existing tree were competitive species in the first year after clear-cut, Styrax japonica and Lindera erythrocarpa as of sprout tree and Aralia elata as of seedling were dominant species in the sixth year after clear-cut, and Lindera erythrocarpa, Styrax japonica and Quercus serrata were dominant species from the eighth year to the tenth year after clear-cut. Species diversity index of harvested forest interior was decreased at the southwestern slope while it was increased in the northeastern slope till 6th year and decreased after the 8th year). According to DBH distribution pattern, No. of individuals of Quercus serrata, Styrax japonica and Lindera erythrocarpa showed high frequency in the southwestern slope, and Acer pseudosieboldianum, Styrax obassia, Magnolia sieboldii, Lindera erythrocarpa, and Aralia elata showed good growth in the northeastern slop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slopes in Basal area. It was decreased at the southwestern slopes during the 10th year continuously and it was increased the sixth year however, was decreased after the eighth year at the northeastern slope.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Slope Aspect and Altitude in Valley Forests at Kyeryongsan National Park (계룡산국립공원 계곡부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 박인협;서영권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4
    • /
    • pp.296-302
    • /
    • 2001
  • 계룡산국립공원 연천봉고개(해발 700m)를 중심으로 남향사면인 시원사~원천봉고개와 북향사면인 갑사~연천봉고개를 대상으로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교목층과 아교목층의 산림구조를 조사분석하였다. 남향사면은 북향사면에 비하여 교목측의 밀도는 높은 반면 평균흉고직경은 작았다. 특수한 지형인 주능선부에 위치하는 정부를 제외하며,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교목층과 아교목층 전체의 평균흉고직경과 흉고단면적인 남향사면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북향사면은 남향사면에 비하여 교목층과 아교목층 전체의 동다양도와 균재고가 높았다. 남향사면에서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중요치가 증가하는 수종은 느티나무, 졸참나무, 까지박달, 신갈나무등이었으며, 중요치가 감소하는 수종은 굴참나무, 서어나무, 때죽나무 등이었다. 북향사면의 경우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중요치가 증가하는 수종은 까치박달, 쪽동백나무 등이며, 중요치가 감소하는 수종은 때죽나무, 졸참나무 등이었다. Cluster 분석결과 남향사면중, 하부의 굴참나무-낙엽활엽수군집지, 남향사면 상부와 북향사면상, 중의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 북향사면 하부와 정부의 신갈나무-소나무군집 등 3개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굴참나무, 산벚나무, 밤나무 등 3개 수종간에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인 굴참나무, 산벚나무, 밤나무 등 3개 수종은 당당풍과 유의적인 부의 상관이 있었다.

  • PDF

때죽나무

  • Choe, Myeong-Seop
    • Landscaping Tree
    • /
    • v.77 no.11_12
    • /
    • pp.15-16
    • /
    • 200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