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 섬유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4초

허혈성 심장질환과 심정지 알람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시스템에 대한 1인 가구원의 질적 연구: 30대 미혼 직장인을 중심으로 (Qualitative research of single-person household for a wearable healthcare system providing ischemic heart disease information and a cardiac arrest alarm: Focusing on unmarried workers in their 30s)

  • 김효진;채하은;이주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235-25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허혈성 심장질환 및 심정지 알람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시스템에 대한 1인 가구원의 생각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30대 미혼 직장인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웨어러블 헬스케어 시스템은 목적에 부합하는 기능이 하이테크놀로지로 구현된다 할지라도 상품기획 단계에서 심미성, 편안함, 세탁 용이성 등 의복에 요구되는 사항과 가격과 같은 민감한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복합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양적연구로는 규명하기 어려운 다양한 변수간 상관관계를 알 수 있었다는 것에 연구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에 노인 새대를 대상으로 한 헬스케어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30대와 같은 젊은 세대도 헬스케어 서비스 수용자로서 연구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현대 패션컬렉션에 표현된 나비모티브 디자인 분석 -2019년~2023년 VOGUE를 중심으로- (Butterfly Motif Design in Contemporary Fashion Collection - Focusing on VOGUE from 2019 to 2023 -)

  • 신재영;허정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379-386
    • /
    • 2024
  • 연구의 목적은 자연의 소중함을 깨닫게 된 코로나 시대를 거치면서 자연의 다양한 모티브 중에서 개체 수의감소가 환경오염의 척도로 상징되는 나비, 곤충 등의 표현 빈도가 증가하는 것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의 패션컬렉션을 대상으로 온라인 <보그>지(www.vogue.com)의 시즌별 패션컬렉션 패션쇼 사진과 인터뷰 기사로 한정하였다. 연구 결과 185개의 나비모티브 의상이 나타났으며 평면적 표현방식의 유형으로는 디지털 프린팅 기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이와 함께 퀼팅, 자수, 비딩 등의 기법들이 나비의 평면적 모티브를 표현하는 기법으로 많이 등장하였다. 입체적 표현 유형으로는 3D 프린팅, 레이저 컷팅, 코사지 기법, 드레이핑 기법을 사용한 유형들이 비슷한 비중으로 나타났다. 표현된 나비 모티브는 추상적인 표현보다는 나비의 형태를 그대로 묘사한 사실적인 디자인이 더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최근 5년간의 나비모티브 패션디자인은 과거의 나비모티브 패션에 비해 환경에 대한 메시지를 강하게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단순히 나비의 형태적 아름다움과 화려한 디자인 요소를 넘어서 친환경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상징적 의미가 큰 모티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Legionella Pneumophila 검출을 위한 효소면역측정 스트립 센서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Strip Sensor for the Detection of Legionella Pneumophila)

  • 김영기;박소정
    • 공업화학
    • /
    • 제25권5호
    • /
    • pp.544-54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효소면역 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과 면역크로마토그래픽 기법을 결합하여 Legionella pneumophila 검출을 위한 면역스트립을 제작하였다. 면역스트립은 4종의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은 포획항체를 고정화하여 신호 발생을 일으키기 위해 사용되었고, 두 종류의 유리섬유 멤브레인은 각각 중합체 패드와 시료주입 패드로 사용되었다. 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은 모세관 현상으로 시료흐름을 유도하는 흡수 패드로 이용하였다. 샌드위치 면역반응과 효소반응에 의해 30 min 이내에 생성된 발색신호는 정성 및 정량 분석이 가능하였다. 분석조건 하에서 육안에 의한 정성 검출뿐 아니라, $1.3{\times}10^3-1.3{\times}10^6CFU/mL$ 범위의 L. pneumophila 농도를 디지털카메라와 자체 제작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의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smart education programs on cloth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김영애;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5-172
    • /
    • 2013
  • 본 연구는 가정교과 의생활 영역의 여러 가지 주제 중에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의생활영역 교육프로그램에 적절한 주제를 선정하여, 선정된 주제를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의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섬유의 종류와 특징'을 주제로 자기주도적 지능형 맞춤학습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위해 연구자가 디지털교과서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학생들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의복 재활용'을 주제로 소통을 위한 협력 학습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구글 문서도구와 페이스북을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협력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들로부터 평가를 받았는데 학습자 개개인의 수준에 맞는 다양한 평가 영역을 제외하고는 5점 만점에서 모두 4.5 이상을 받았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의생활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이 소통하고 공유하며, 협업 능력 및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 PDF

KES-FB 태 평가 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소재 감성이미지 도출방법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Deriving Emotional Images of Digital Materials Using KES-FB Hand Evaluation Data)

  • 윤혜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67-67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drape information and objective texture of fabrics easily and quickly by using a constructed fabric databas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fabric database, 287 woven fabrics were examined by using the CLO fabric kit, KES-FB system, and drape test system. The k-means cluster analysis method was used to classify the fabrics into 7 grades. After correlation analysis of the fabric properties for each experiment, similar properties of the CLO fabric kit and KES-FB system were chosen, which were then designed to extract similar fabrics from the database. It was confirmed that inferring the drape information and objective hand feeling of fabrics was to some extent possible by extracting similar fabrics from the database. In this study, the primary hand and total hand value(THV) of KES-FB system, which was constructed by Kawabata and other experiments, were used to quantify the objective hand feeling, because they are the most widely used. However, these standards can be changed over time; in order to be applied within the clothing industry, these standards may have to be changed to some extent. Moreover, it is notable that although objective hand feeling cannot be expressed in the 3D virtual costume program, it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e constructed database. Additio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existing 3D virtual costume program will express the costumes more realistically by improving these results.

자외선 경화형 디지털 프린팅을 이용한 3D 프린팅 TPU 소재의 색채 특성 (Color Characteristics of 3D-Printed TPU Material Applied with Ultra-Violet Curable Digital Printing Process)

  • 이선희;박소연;정임주;이정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052-1062
    • /
    • 2021
  •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Ultra-Violet (UV)-printed 3D printing materials using thermal polyurethane (TPU) with CMYK colors by applying an eco-friendly UV digital printing process. A UV-printed 3D printing TPU material was prepared with cycles of UV printing and CMYK colors. Dyeability of the 3D TPU samples with cycles of UV printing and CMYK were analyzed for thickness, weight, surface roughness, reflectance, colorimetry, and K/S values. The thickness and weight of 3D-printed TPU samples with cycles of UV printing are increased with overprints from 1 to 5. The surface roughness of 3D-printed TPU samples with increasing UV prints were decreased, meaning that the surface of TPU samples becomes gradually smoother. The reflectance spectra of CMYK UV-printed TPU samples showed the surface reflectance within each characteristic wavelength of CMYK. The 3D-printed TPU samples, subjected to UV printing twice or more, showed low surface reflectance. After examining the L*a*b* of the 3D-printed TPU samples by the cycles of UV printing, the study found that the more UV got printed more than 2 times, the closer the color to each CMYK.

디지털 화상 장치를 이용한 섬유제품류 간이 색차판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apid Color Difference Discrimination for Fabrics using Digital Imaging Device)

  • 박재우;변기식;조성용;김병순;오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9-37
    • /
    • 2019
  • 수가 중소 영섬유제품에 대한 품질관리 대상은 소재에 대한 물리적 성능 특성 이외에도 색상, 착용감 등의 주관적 판단 인자들이 있다. 색상은 소비자들이 별도의 측정 장비 없이도 주관에 따라 판단 할 수 있는 대표적인 품질인자이다. 따라서 산업 현장에서는 색상에 대한 통계적 품질관리를 위하여 색차계를 이용한 정량화를 통해 품질관리에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섬유관련 업체는 대다수가 중소 영세업체기 때문에 육안검사에 의존한 색차관리를 수행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검사자 개인성향 및 작업 수행방식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산업현장의 실정에 부합하는 품질관리 기법 개발을 목표로, 사무기기 중의 하나인 디지털 화상 장치를 이용한 간이 색차판별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일반 평판 스캐너를 활용한 이미징 분석 기반의 색차판별법은 기존의 측색계를 이용한 판별법과 비교하여 높은 상관관계($R^2=0.969$)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공정 간 및 로트별 색차관리에 대한 현장 간이판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색차를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Delta}L$, ${\Delta}a$, ${\Delta}b$)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공정관리 요소식별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판정기법을 좀 더 정교화/최적화하게 된다면, 산업현장에서 충분히 색차계를 대체 할 수 있는 방법으로까지 발전 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