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방사선 영상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23초

차폐블록 제작과정의 전산화를 통한 업무개선 (Work Improvement by Computerizing the Process of Shielding Block Production)

  • 강동혁;정도형;강동윤;전용궁;황재웅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7-90
    • /
    • 2013
  • 목 적: CR (computed cadiography) 시스템을 도입함에 따라 치료조사 영상을 인쇄하여 확대율을 변환하는 과정이 생겼다. 이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자체 제작한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산화 방식을 사용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업무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프로그램 제작에 마이크로 소프트 엑셀(ver. 2007)과 Visual Basic (ver. 6.0)을 이용하였다. 각 차폐블럭 마다 환자의 치료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입력 창(window)을 디자인 하였다. 디지털 이미지상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엑셀프로그램에 입력해 확대율을 구하고 차폐블럭 제작을 위한 출력물을 만들었다. 결 과: 이 프로그램을 통해 기존의 방식을 전산화하여 확대율을 쉽게 계산할 수 있고 매크로기능을 사용해 환자치료정보를 출력물에 입력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계산상의 오류나 치료 정보가 잘못 전달될 수 있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확대율 변환과정이 단순해지면서 복사기의 필요성이 없어졌고 종이절감 효과도 있었다. 결 론: 블록 제작 과정을 전산화함으로써 기존의 방식을 단순화하여 실무에 적용시켜 업무를 개선했다. 이 프로그램에 사용된 엑셀과 비쥬얼 베이직의 다양한 기능을 적용하면 통계 등 각 병원의 실정에 맞는 다양한 적용 및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하지 정렬 평가를 위한 체표면 토포그래피를 이용한 측정법: 새로운 임상 및 연구 도구에 대한 검토 (Surface Topographic Measurement Method for Assessing Lower Extremity Alignment: Examination on a novel clinical and research Tool)

  • 임지영;임현승;박대성;이재헌;이나경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7-45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래스터입체사진술이 적용된 ABW-mapper를 사용하여 얻은 관상면 상에서의 하지 정렬 측정에 대하여 측정자 내, 측정자 간, 측정-재측정 간 각각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조사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열여덟 명의 대상자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일주일간격으로 두 번의 세션에 걸쳐서 두 사람의 측정자가 각각 ABW-mapper를 사용하여 기립자세에서의 S각(입체사진 각-래스터입체사진 촬영을 통해 측정한 관상면상의 하지 정렬 측정 각)을 측정하였고, 첫 번째 세션에서는 짧은 시간 간격으로 한 측정자가 같은 대상자에 대하여 두 번씩 측정하였다. Q각은 디지털카메라로 기립자세를 촬영한 사진에서 고니어미터로 측정하였다. HKA각은 컴퓨터 기반 디지털 방사선 영상사진 위에서 측정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급내상관계수(ICC)를 통해 신뢰도를 분석하였고, 피어슨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타당도를 검사하였다. 그 결과, S각 측정은 매우 높은 측정자 내 (ICC=0.956~0.974), 측정자 간 (ICC=0.962) 검사-재검사 간 (ICC=0.945) 신뢰도를 나타냈으며, S각과 Q각, S각과 HKA각 사이에는 강한 음의 상관관계(각각 r=-0.739, -0.702)를 나타냈다. 따라서, ABW-mapper에 의한 래스터입체사진법을 통한 S각 측정은 관상면에서의 하지정렬의 측정에 대하여 Q각이나 HKA각 측정에 관련하여 예비적 또는 보완적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영상보간법을 이용한 디지털 치근단 방사선영상의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gital Periapical Images using Image Interpolation Methods)

  • 송남규;고광준
    • 치과방사선
    • /
    • 제28권2호
    • /
    • pp.387-413
    • /
    • 1998
  • Image resampling is of particular interest in digital radiology. When resampling an image to a new set of coordinate, there appears blocking artifacts and image changes. To enhance image quality, interpolation algorithms have been used. Resampling is used to increase the number of points in an image to improve its appearance for display. The process of interpolation is fitting a continuous function to the discrete points in the digital i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seven interpolation functions when image resampling in digital periapical images. The images were obtained by Digora, CDR and scanning of Ektaspeed plus periapical radiograms on the dry skull and human subject. The subjects were exposed to intraoral X-ray machine at 60kVp and 70 kVp with exposure time varying between 0.01 and 0.50 second. To determine which interpolation method would provide the better image, seven functions were compared; (1) nearest neighbor (2) linear (3) non-linear (4) facet model (5) cubic convolution (6) cubic spline (7) gray segment expansion. And resampled images were compared in terms of SNR(Signal to Noise Ratio) and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 coefficient valu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highest SNR value(75.96dB) was obtained with cubic convolution method and the lowest SNR value(72.44dB) was obtained with facet model method among seven interpolation method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NR values among CDR, Digora and film scan(P<0.05).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NR values between 60kVp and 70kVp in seven interpolation method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NR values between facet model method and those of the other methods at 60kVp(P<0.05),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f SNR values among seven interpolation methods at 70kVp(P>0.05).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MTF coefficient values between linear interpolation method and the other six interpolation methods (P< 0.05). 5. The speed of computation time was the fastest with nearest -neighbor method and the slowest with non-linear method. 6. The better image was obtained with cubic convolution, cubic spline and gray segment method in ROC analysis. 7. The better sharpness of edge was obtained with gray segment expansion method among seven interpolation methods.

  • PDF

모의 인접면 치아우식병소의 진단을 위한 구내 표준방사선사진과 그 디지털 영상의 비교 (A COMPARISON OF PERIAPICAL RADIOGRAPHS AND THEIR DIGITAL IMAGES FOR THE DETECTION OF SIMULATED INTERPROXIMAL CARIOUS LESIONS)

  • 김현;정현대
    • 치과방사선
    • /
    • 제24권2호
    • /
    • pp.279-290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agnostic accuracy of periapical radiographs and their digitized images for the detection of simulated interproximal carious lesions. A total of 240 interproximal surfaces was used in this study. The case sample was composed of 80 anterior teeth, 80 bicuspids and 80 molars which were prepared in order to distribute the surfaces from carious free to those containing simulated carious lesions of varying depths (0.5㎜, 0.8㎜, and 1.2㎜). The periapical radiographs were taken by paralleling technique and film used was Kodak Ektaspeed(E group). All radiographs were evaluated by five dentist to recognize the true status of simulated carious lesion. They were asked to give a score of 0, 1, 2, or 3. Digitized images were obtained using a commercial video processor(FOTOVIX Ⅱ- XS). And the computer system was 486 DX PC with PC Vision and frame grabber. The 17' display monitor had a resolution of 1280×1024 pixels(0.26㎜ dot pitch). But the one frame of the intraoral radiograph has a resolution of 700×480 pixels and each pixel has a grey level value of 256. All the radiographs and digital images were viewed under uniform subdued lighting in the same reading room. After a week the second interpretation was performed in the same condition. The detection of lesions on the monitor was compared with the finding of simulated interproximal carious lesions on the film imag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the scoring criteria was dichotomous ; lesion present and not present 1) The overall sensitivity, specificity and diagnostic accuracy of periapical radiographs and their digital imag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ccording to the region of teeth and the grade of lesion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iapical radiographs and their digital images. 2. When estimate the grade of lesions ; score 0, 1, 2, 3 1) The overall diagnostic accuracy was 53.3% on the intraoral films and 52.9% on digital imag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2) The diagnostic accuracy according to the region of teeth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iapical radiographs and their digital images. 3. The degree of agreement and reliability 1) Using gamma value to show the degree of agreement, there was similarity between periapical films and digital images. 2) The reliability of each twice interpretation of periapical films and digital imag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cases P value was greater than 0.05, showing that both techniques can be used to detect the incipient and moderate interproximal carious lesions with similar accuracy.

  • PDF

디지털방사선영상에서 추출한 해면질골의 강도와 미세구조의 형태계측학적 분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rabecular bone strength and morphometric analysis of bone microstructure from digital radiographic image)

  • 한승윤;이선복;오성욱;허민석;이삼선;최순철;박태원;김종대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3권2호
    • /
    • pp.113-119
    • /
    • 2003
  • Purpose :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phometric analysis of bone microstructure from digital radiographic image and trabecular bone strength. Materials and Methods : One hundred eleven bone specimens with 5 mm thickness were obtained from the mandibles of 5 pigs. Digital images of specimens were taken using a direct digital intraoral radiographic system. After selection of ROI (100 × 100 pixel) within the trabecular bone, mean gray level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Fractal dimension and the variants of morphometric analysis (trabecular area, periphery, length of skeletonized trabeculae, number of terminal point, number of branch point) were obtained from ROI. Punch sheer strength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nstron (model 4465, Instron Corp., USA). The loading force (loading speed 1 mm/min) was applied to ROI of bone specimen by a 2 mm diameter punch. Stress-deformation curve was obtained from the punch sheer strength analysis and maximum stress, yield stress, Young's modulus were measured. Results: Maximum stress had a negative linear correlation with mean gray level and fractal dimension significantly (p<0.05). Yield stress had a negative linear correlation with mean gray level, periphery, fractal dimension and the length of skeletonized trabeculae significantly (p < 0.05). Young's modulus had a negative linear correlation with mean gray level and fractal dimension significantly (p < 0.05). Conclusions : The strength of cancellous bone exhibited a significantly linear relationship between mean gray level, fractal dimension and morphometric analysis. The methods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used to evaluate bone quality clinically.

  • PDF

부가필터를 적용한 디지털 흉부단층합성검사에서 환자 체형에 따른 화질 평가와 선량감소 효과 (Effect of Patient Size on Image Quality and Dose Reduction after Added Filtration in Digital Chest Tomosynthesis)

  • 복근성;김상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3-30
    • /
    • 2018
  • 흉부 단층 합성검사(Chest Digital Tomosynthesis, DTS)시 환자 체형에 따른 0.3 mm 구리 필터의 적용 및 AEC의 감도 변화에 의한 유효선량감소 효과와 폐 결절 검출능력을 평가하여 선량 최적화 조건을 평가하고자 한다. 8개의 인공 결절을 인체 팬텀 폐 영역내에 삽입하고 0.3 mm 구리 필터 적용 유무, 감도 변화에 따라 팬텀의 DTS 영상을 각각 획득하였다. 환자 체형에 따른 비교를 위해 팬텀 사이즈를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small size에서는 결절이 삽입된 인체 팬텀을 단독으로 사용하였고 Average size에서는 한 개의 PMMA를, Large size에서는 두 개의 PMMA를 인체팬텀 후방에 밀착하여 위치시켰다. 유효선량은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계산 되었고 영상의 화질평가를 위해서 CNR과 SNR 측정을 통한 정량 평가와 인공 결절 검출 수를 통한 검출민감도로 정성평가를 시행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유효 선량은 Small size일 때 $26{\mu}Sv$, Average size $70{\mu}Sv$, Large size $133{\mu}Sv$ 감소하였다. 유효선량은 0.3mm 구리 필터의 적용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정량적 화질 평가에서는 0.3mmCu필터 사용 시 CNR과 SNR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또한 정성적 화질평가에서도 결절 검출 민감도는 팬텀 사이즈별 전체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DTS에서 0.3 mmCu필터의 사용은 폐 결절 검출에서 진단적 가치를 유지하면서 환자 피폭선량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험에서 Large size 그룹의 경우 유효선량 감소 정도가 두드러진 점으로 보아 실제 체형이 큰 환자의 경우 0.3 mm Cu필터 사용은 더 높은 유효선량 감소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전립선 암의 방사선치료 시 직장 내 풍선삽입에 따른 계획표적부피마진 (PTV Margins for Prostate Treatments with an Endorectal Balloon)

  • 김희정;정진범;하성환;김재성;예성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3호
    • /
    • pp.166-176
    • /
    • 2010
  • 목 적: 직장 내 풍선삽입을 하는 전립선 암 환자의 3차원 입체조형방사선치료(3D CRT)와 세기조절치료에 대한 적절한 계획표적부피 마진을 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환자는 반듯이 누운 자세에서 치료계획용 CT 촬영과 매 치료 전에 환자의 직장에 풍선이 삽입되었고 70 mL의 공기로 풍선을 팽창시켰다. Anterior-posterior (AP)와 측면에서의 전자식 조사문영상 이미지와 디지털 화재구성사진을 이용하여 치료간 환자 치료위치 및 풍선의 위치 변화를 분석하였다. 두 이미지를 정합하기 위하여 Visual $C^{++}$ 기반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기존의 방법을 기반으로 풍선에 의한 선량 흐려짐 효과를 고려한 계획표적부피 마진을 구하는 방법 고안하였다. 결 과: 환자치료위치의 치료간 변화는 모든 방향에서 평균 1 mm 이내로 나타났다. 풍선의 치료간 변화는 left-right (LR) 방향에 비해 superior-inferior (SI)와 AP 방향으로 크게 나타났다. 풍선의 무작위오차를 포함시켜 새로 고안된 1차원 계획표적부피 마진 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마진을 구한 결과, 3D CRT의 경우에는 LR 방향으로 3.0 mm, SI 방향으로 8.2 mm, AP 방향으로 8.5 mm로 계산되었다.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의 경우, LR 방향으로 4.1 mm, SI 방향으로 7.9 mm, AP 방향으로 10.3 mm로 마진이 계산되었다. 결 론: 풍선의 무작위오차는 전립선 모양의 변형을 일으켜서 선량분포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새로 고안된 계획표적부피 마진을 구하는 방법에는 풍선에 의한 선량 흐려짐 효과가 고려되었다. 이 방법은 풍선의 무작위오차만 계산에 포함하기 때문에 풍선의 계통오차에 대한 보정을 전제로 한다.

원위 요골 골밀도의 측정 자세 및 요추 골밀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The Position for Measuring BMD of the Distal Radius and The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al Radius and Lumba)

  • 한만석;전민철;서선열;김종진;김용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3권1호
    • /
    • pp.19-24
    • /
    • 2010
  • 본 연구는 원위요골의 회전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를 알아보고 원위요골 골밀도와 요추 골밀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골밀도 측정시 정확한 측정 자세를 알아보고자 자체 제작한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수술, 기형이나 외상력이 없는 20, 30대 남성 11명을 대상으로 전완부를 DR(digital diagnostic IR-1100-150 ; Philips)로 촬영하였고 남성 21명을 DXA(QDR 4500W ; HOLOGIC, USA)로 골밀도 측정을 시행하였다. 실험은 두 가지로 수행하였다. 첫째,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11명을 대상으로 전완부를 DR로 중립위(0도)를 기준으로 내회전 및 외회전 각각 3, 6, 9도에서 촬영하였고 둘째, 요추 및 전완부(Forearm)의 골밀도를 21명을 대상으로 DXA 장비를 이용해 중립위(0도)를 기준으로 내회전 및 외회전 각각 5, 10도에서 측정하였고 통계프로그램 SPSS 12.0v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DR로 촬영한 11명의 원위요골 회전각은 내회전인 경우가 82%(n = 9)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내회전 각도는 7도였다. 외회전 6도와 중립위(0도)에서도 1명(9%)씩 나타났다. 전체평균 회전각은 내회전 5.1도였다. DXA로 측정한 21명의 원위요골 회전각은 내회전인 경우가 43%(n = 9)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내회전 각도는 7.2도였다. 외회전은 24%(n = 5)이고 평균 외회전 각은 6도이며 중립위(0도)은 33%(n = 7)로 나타났다. 전체평균 회전각은 내회전 4.1도였다. 요추와 원위요골의 상관 계수는 r = 0.30, p = 0.18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요추의 골밀도가 원위요골의 골밀도를 대변하지 못하기 때문에 원위요골 골밀도의 평가는 원위요골에서 측정해야 한다. 전완부 골밀도 측정시 중립위는 원위요골이 외회전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최저 골밀도의 회전각에서 일정하게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중립위 보다 내회전이 필요하며 내회전 각은 약 5도가 추천된다.

디지털 및 일반 측방두부규격방사선사진에서 측정 방법에 따른 계측치의 비교 (The comparison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between measuring methods in digital and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 김미자;허경회;이원진;허민석;이삼선;이진구;안병근;최순철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5권1호
    • /
    • pp.15-23
    • /
    • 2005
  • Purpose : To compare cephalometric measurement between measuring methods in digital and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 digital and convention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selected. In digital group, cephalometric measurements were performed manually using hardcopies and automatically using $V-Ceph^{TM}$ program on the monitor. In conventional group, the sam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manually on conventional films, and for automatic measurement conventional films were digitized by scanner. Al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wice by 4 observers, and 24 cephalometric variables were calculated and the time spent for each measurement was recorded. The differences in measurements data and the time spent for each measurement were compared within each group. Intra-observer and inter-observer comparisons were performed. Results : In both group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nual and automatic measurements was observed and most of the variables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thods. The observer with less experience tended t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measurements between methods, and differences from other observers. The differences of measurements between methods in digital group were lesser than those of conventional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8 variables out of 24. With automatic method and in digital group, the spent time was shorter. Conclusion : With direct digital radiograph, automatic method using manually idenitified landmarks can be preferable in cephalometric analysis.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05; 35 : 15-23)

  • PDF

최종 보철물에 대한 고려 없이 전악 임플란트 식립된 환자의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Fixed prosthesis restoration in edentulous patient fully implanted without considering definitive prosthesis: A case report)

  • 천영훈;배아란;권긍록;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27-435
    • /
    • 2017
  • 임플란트를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최종 보철물의 형태이며, 최종 보철물의 형태가 결정된 후 잔존골 분석 및 식립할 임플란트의 종류, 개수, 위치 등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증례는 상악 우측 측절치를 제외하고 전악에 임플란트가 식립된 채로 내원한 환자에 대해 고정성 보철 수복한 증례이다. 최종 보철물에 대한 고려 없이 임플란트가 식립되었기 때문에 먼저 총의치를 제작하여 안모 분석 및 고정성 보철 수복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고정성 보철 수복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어 진단 납형, 방사선 영상 및 디지털 분석을 통해 최종 보철물에 사용할 수 없는 임플란트를 치료계획에서 제외한 후 고정성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4개월 동안 고정성 임시 보철물을 사용하면서 안정적인 교합과 심미적인 만족을 보였기에 CAD/CAM (Computer aided design and computer aided manufacturing)을 이용하여 지르코니아 최종 보철물로 이행하였고, 치료 종료 후 3개월 동안의 평가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