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영상

검색결과 4,177건 처리시간 0.105초

모바일 콘텐츠 어플리케이션 디자인의 상호 텍스트성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meaning action of intertextuality in mobile contents design.)

  • 박희운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3-454
    • /
    • 2011
  • 다양한 스마트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호환 환경의 경우 상당히 유사한 형태의 어플리케에션 아이콘 디자인이 양산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사용자가 어떤 상호텍스트성의 요소에 의해 기호의 인지 작용을 수행하며 유사한 내용과 기능을 내포한 디자인을 어떻게 서로 다르게 인지 하는지를 증명하여 향후 디지털 기기의 아이콘의 디자인에 효과적인 가이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상 미디어의 통합이나 유비쿼터스 환경의 디지털 영상 기호 설계에 있어서 나타날 수 있는 미디어의 컨버전스에 의한 디지털 영상 기호 커뮤니케이션 오류를 줄이는 기초적 연구가 되고자 한다.

  • PDF

새로운 영상제작 패러다임: VJ System (VJ System as The New Video Production Paradigm)

  • 최이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30-337
    • /
    • 2001
  • 디지털 영상제작 환경의 변화가 제일 먼저 뿌리를 내린 곳은 바로 1인 제작방식(One Man Producing System)을 취하고 있는 VJ(Video Journalist) 분야다. 6mm 소형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편집기술의 등장 이후 VJ를 중심으로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1인 제작시스템은 영상물 제작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VJ시스템의 고효율성은 기존의 방송영상물 시장에 기여할 수 있는 높은 잠재력과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VJ시스템은 단지 값싼 영상제작 시스템정도로 왜곡되어 관습화 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VJ시스템의 특성을 중심으로 그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향점을 논한다.

  • PDF

홈오토메이션용 음성/데이터/영상의 실시간 동시제어 단말기 개발 (A Home Automation Device for Real-time Concurrent Control of Voice, Text and Video Data)

  • 양석철;김대범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00-1805
    • /
    • 2006
  • 유비쿼터스(Ubiquitous)시대의 도래로 디지털 라이프(Digital Life) 실현을 위한 디지털 생활환경기술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CDMA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댁내 상황을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를 통해 확인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의 디지털 홈오토메이션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음성과 영상을 동시에 전송하고, 실시간으로 집안의 기기에 대한 제어 및 상태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며, 일정량 이상의 데이터를 수신 받으면서 집안의 기기를 제어하는 등의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하였다.

  • PDF

해외리포트 - 디지털.이미징 기술의 향후 전망

  • Shibazaki, Kiyoshige
    • 광학세계
    • /
    • 통권127호
    • /
    • pp.32-38
    • /
    • 2010
  • 디지털이미징기술은 가시광뿐만 아니라 오히려 불가시 영역의 전자파나 MRI와 같이 전자파가 아닌 신호를 읽어내 영상화하는 기술을 시키고 있다. 그리고 CG와 같이 현실의 빛을 필요로 하지 않는 영상생성기술은 정보량의 증대와 함께 품질이 향상되어 현실적인 영상 세계의 융합되기 시작했다. 본 고는 2010년 1월호 광기술 Contact지의 <특집: 미래의 광기술>중 Shibazaki Kiyoshige씨가 기고한 "광기술의 향후 전망" 내용이다. 필자는 시각정보를 취득할 때 "지금 보고 있는 것은 현실인가 비현실인가"를 일일이 생각하게 된다면 번거로운 일인만큼 디지털 이미징에서 화상처리기술의 진전은 친인간적인 기술이었으면 좋겠다고 밝히고 있다.

  • PDF

홀로그래피 산업 전망 및 디지털 홀로그래피 상용화를 위한 고려사항

  • 김성민
    • 방송과미디어
    • /
    • 제18권3호
    • /
    • pp.109-117
    • /
    • 2013
  • 아바타로 촉발된 3D 영상에 대한 기대가 실감영상의 궁극인 홀로그래피로 확장되면서 홀로그래피가 실감미디어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홀로그래피 기술은 기존의 방송, 통신, 미디어 기술들과 달리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다. 디지털 홀로그래피 기술은 아직 원천 기술 개발단계에 있으나 실감영상에 대한 기대감, 유사홀로그래피의 등장 등으로 디지털 홀로그래피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산업 및 시장에 대한 전략적인 설정이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상용화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2 단계 포즈 예측 기반 교정된 입체 영상 생성 (Rectified Stereoscopic Image Generation Using Two-Step Pose Estimation)

  • 문현정;정다운;김만배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50-251
    • /
    • 2010
  •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으로 이미지처리 분야에서 정지영상을 이용한 다양한 기술 개발이 화두가 되고 있다. 스테레오 영상은 정지영상보다 소비자의 시각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영상을 표현하기 때문에 스테레오 영상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카메라로 같은 객체를 다른 위치에서 찍은 2장의 정지영상을 통해 스테레오 영상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영상으로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좌측 영상과 우측영상을 사용한다. 두 영상의 제어점이 될 코너를 검출한 후, 유클리드의 좌표로 바꿔준다. 이 좌표들을 통해 각 제어점에 인접해 있는 좌표 4개를 추출한다. 이 인접 좌표들이 우측 정지 영상의 인접 좌표에 매칭 되는 횟수를 계산하여, 가장 많은 매칭 좌표를 갖는 스케일 요소로 좌측 정지영상을 회전과 이동시켜 목적 영상인 우측 영상에 매칭시킴으로써 스테레오 영상을 구현한다.

  • PDF

디지털 영상미디어 몰입 구축을 위한 최적화된 융합기술 (Optimized digital image fusion technology for building immersive media)

  • 오세강;이헌국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3-274
    • /
    • 2016
  • 현대의 디지털 영상미디어 문화는 단순하게 진화된 형태를 넘어 보다 더 수준 높은 콘텐츠의 다양성과 미적 취향이 융합된 기술적 추구를 더욱 요구하고 있다. 특히 영상미디어 콘텐츠에 있어 영상표현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미학과 심리적 요인에 대한 접근의 중요성과 주목성을 통해 오감을 구현해 내는 최적화된 구현방식을 표출하기에 이르렀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주목성, 감성충족, 지속성 등이 내제 되어야 영상콘텐츠.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 이러한 측면이 디지털 영상콘텐츠의 핵심 기반을 이루는 감성기술이자 가장 어려운 난제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최적화된 디자인구성은 물론 알고리즘 환경이 구축되어야만 한다. 이른바 시지각의 데이터를 몰입으로 유도하고, 지속성 여부를 가늠하는 융합기술이 제시되어야만 새로운 시각형태의 전환으로 디자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 PDF

고성능 2D 비디오 압축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홀로그램 압축부호화의 성능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Digital Hologram Compressive Encodings Using High Efficient 2D Video Compression Techniques)

  • 강이슬;이윤혁;서영호;김동욱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7-8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홀로그램(digital hologram)을 2 차원 비디오 압축기를 사용하여 압축하는 방법을 다룬다. 그 방법은 디지털 홀로그램을 다수 개의 부홀로그램(sub-hologram)으로 나누고, 각 부홀로그램을 2 차원영상화한 후 그 결과를 배열하여 동영상 시퀀스로 만들어 2 차원 동영상 압축기로 압축하는 방법이다. 각 부홀로그램을 2 차원 영상으로 만드는 방법으로 DCT(Discrete Cosine Transform)와 Fresnel 변환 변환(Fresnel Transform)을 사용하며, 다양한 크기의 부홀로그램을 고려한다. 2 차원 비디오 압축 방법으로는 H.264/AVC 와 HEVC 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2 차원 영상 변환 방법, 부홀로그램의 크기, 그리고 2 차원 영상압축 방법에 따른 성능을 비교하고 분석한다.

  • PDF

디지털 영상 신호 속에 내재된 깊이와 색상 정보의 이중적 구조에 대한 실험적 고찰 (A Study for Depth/color Dual Structure of Digitalized Image Signal - Experimental Approach)

  • 황재호;조종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학술회의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B
    • /
    • pp.747-749
    • /
    • 2003
  • 인간은 시각기관을 통해 영상을 읽어 들이고, 그 데이터로부터 대상 물체의 여러 정보를 취득한다. 물체가 놓여져 있는 빛 환경 하에서 반사, 굴절, 흡수, 투과 및 간섭 등과 같은 매우 복잡한 빛 작용의 결과인 영상이 눈에 입력된다. 이 여러 정보 가운데 깊이와 색상 정보는 매우 중요한 인간의 시각 식별 인지 능력이다. 이 논문은 깊이와 색상의 상관관계를 실험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색상 변화는 grey tone으로 한정하였다. 깊이와 색상을 각각 독립변수로 설정한 실험 조건 하에서 디지털 영상신호 데이터를 취득, 분석하였다. 색상을 상수로 처리한 다음, 깊이를 변수로 등간격으로 변화시켜 실험한 후, 변수를 바꾸어 깊이를 상수로 놓고 색상을 다단계로 변화시켜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빛의 조사(照射) 작도는 90도로 일정하게 두어 그림자 효과를 배제하였다. 디지털 영상 입력 과정에서 포함되기 쉬운 노이즈와 떨림, 초점 흐림 등을 전처리로 처리한 후 색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미지 속에 내재된 깊이와 색상 정보의 상호 이중적 구조 형태로의 존재를 규명하였다.

  • PDF

Wavelet변환을 이용한 직물화상복원

  • 박은혜;정성훈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36-339
    • /
    • 1998
  • 많은 분야에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가 디지털 데이터로 대체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그 데이터의 양 그대로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비한다. 그래서 원래 영상 데이터의 정보를 유지하면서 그 양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압축 방법이 꾸준히 연구되어 왔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