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등심

Search Result 49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enderness Comparision of Korean and Imported Beef Using Time - Intensity Metho dology (시간-강도 분석에 따른 한우육과 수입우육의 연한정도 비교)

  • 차경희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2 no.2
    • /
    • pp.123-128
    • /
    • 1996
  • Tenderness of loin and brisket muscles of Korean and imported beef was measured using the Time-lntensity (Tl) techniques. From the Tl curve, the Rx, Imax, Dur and AUC parameters were determined. For the loin muscle, Korean beef showed significantly (p < 0.05) larger Rx, Imax, and AUC. This result represents Korean beef loin has higher tenderness than that of imported one. For the brisket muscle, imported beef show.

  • PDF

식염 첨가량에 따른 등심 햄의 품질 특성

  • Lee, Hong-Cheol;Park, Seong-Yong;Kim, Yeong-Ju;Hwang, Ji-Suk;Jin, Gu-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6-169
    • /
    • 2006
  • 본 연구는 저염 등심햄 제조시 필요한 식염의 적정첨가량을 결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식염첨가량을 0, 0.5, 1.0, 1.5, 2.0%로 달리하여 염지액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등심햄의 이화학적, 조직학적 및 관능적 성상을 평가하였다. 제조한 등심햄의 pH,그리고 수분, 지방, 단백질 함량은 각각 $5.99{\sim}6.11$, $62.9{\sim}68.6$, $2.15{\sim}5.62$, $20.2{\sim}26.6$ 이었다. 반면에 식염 첨가량이 감소함에 따라 가열 감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등심햄에 첨가된 식염 함량이 0.5% 이하인 경우에 대조구보다 관능 평가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더 낮은 값으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1.5%수준으로 식염이 첨가되어 제조된 등심햄과 유사한 품질 특성을 갖는 저염 등심햄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1%의 식염 첨가가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PDF

수심정보를 이용한 가항구역 결정 방안 연구

  • Gang, Dong-U;O, Se-Ung;Jeong, Jung-Sik;Sim, U-Seong;Kim, Seo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36-38
    • /
    • 2015
  • 전자 해도는 선박의 항해와 관련된 모든 해도 정보를 국제표준에 따라 제작된 전자적 해도로서, 전자 해도에 포함된 등심선은 선박의 가항구역 선정에 사용되어, ECDIS를 이용한 항로계획 업무에 사용되고 있다. 전자해도를 이용한 항로 계획은 안전 등심선, 위험지역과의 근접 정도, 항로표지 혹은 침선과의 근접 정도를 고려하여 계획하기 때문에 정밀한 항해계획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효율적인 항해계획을 위해서는 가항구역을 정밀히 계산하여 항해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방안이 있다. 현재 안전 등심선으로 경계를 잡고 있는 가항구역에는 수심의 정도를 일정 단위로 편수되어 있다. 등심선 간격은 5m 혹은 10m 등 비교적 큰 넓은 간격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수평거리로 수 키로미터의 차이를 보여, 협수로나 경사가 완만한 지역에서는 실 가능 항해구역과 가항구역의 격차가 현저한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등심선보다 조밀한 수심 정보를 이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수심은 등심선보다 세밀한 지형정보가 들어있어, 등심선보다 정밀한 항해 계획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가항구역은 면으로 구성되는 반면에 수심은 점으로 구성되어 있어, 수심을 들로네 삼각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면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가항구역을 계산함으로써, 실 항해가능 구역과 가항구역의 격차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 PDF

Effect of Vacuum Packaging and Aerobic Packaging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enison (진공포장과 함기포장이 사슴육이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박창일;김영길;김영직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0 no.3
    • /
    • pp.214-221
    • /
    • 2000
  • 사슴(Elk deer ♀, 월령 28~30개월, 체중 170$\pm$10kg)의 등심부위와 대퇴부위를 도축 직후 함기포장과 진공포장하여 4$^{\circ}C$에서 10일간 냉장하면서 경시적으로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 지방산은 등심부위와 대퇴부의 모두 palmitic acid가 각각 35.16%와 31.75%가 많고 그 다음으로 oleic acid, stearic acid의 순으로 많아\ulcornerT다. 냉장기간이 경과하면서 포화지방산은 증가하였고 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함기포장육의 변화 폭이 컸다. 냉장기간 중 TBA가는 등심부위 가 0.0598에서 0.5616 mgMA/kg, 대퇴부위가 0.0650에서 0.3770 mgMA/kg,이었으며, 냉장기간이 결과함에 따라 점차 상승하고 상승폭은 진공포장육보다 함기포장육이 대퇴부위보다 등심부위가 크게 나타났다. 냉장기간중 VBN가는 등심부위가 3.93에서 7.31 mg%, 대퇴부위가 3.98에서 6.35 mg%이 었으며 냉장기간이 경과함에 EK라 진공포장육보다 함기포장육이 대퇴부위보다 등심부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등심부위와 대퇴부 모두 냉장 10일까지 신선한 상태이었고 진공포장육이 함기포장육보다 선도 유지가 잘 되었다.

  • PDF

Changes in Morphologic and Enzymatic Properties of Beef Myofibrillar Protein by Storage Tmeperature (저장온도에 따른 쇠고기 근원섬유의 형태적, 효소적 성질 변화)

  • 정인철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0 no.4
    • /
    • pp.468-474
    • /
    • 199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meat quality of beef shank, rib and loin during storage at 8$^{\circ}C$. The shear force value(SFV) of beef shank and loin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6days storage, beef loin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uring storage. The SFV in early storage period was high in the order of beef rib, loin and shank, but the SFV of beef rib and loin was similar in course of storage period. The Myofibrillar fragmentation index(MFI) of beef shank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6 days storage, but beef rib and loin early storage was high in the order of beef rib, loin and shank. The actomyosin extractability after 3days storage increased in all parts of beef, but beef loin decreased after 6 days storage. In case of Mg2+-ATPase activity of actomyosin, beef shank increased to 3 days storage, and this reached the level of 0 day after 6days. The MG2+-ATPase activity of beef rib and loin was similar, but beef rib in early storage was higher than beef loin. The Ca2+-TPase activity of beef shank increased to 3 days and decreased after 6 days storage, beef rib was not different during storage and beef loin decreased slightly during storage.

  • PDF

재래 제주마육의 부위별 이화학적 특성

  • Kim, Yeong-Bung;No, Jeong-Hae;Gang, Seok-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10a
    • /
    • pp.257-262
    • /
    • 2004
  • 제주 재래마육의 영양학적 가치 구명을 위하여 재래마육 등심과 볼기부위를 분석한 결과 일반성분에서 수분 및 단백질함량에서 부위별 차이가 있었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은 등심과 볼기부위가 각각43.5 mg% 그리고 43.2 mg%였다. 마육에서 미네랄함량은 K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P>Na>Mg>Ca순이 었다. Vitamin A 함량은 등심과 볼기부위가 각각 9.62IU, 8.54 lU 였다. 등심과 볼기부위의 필수지방산이 각각 11.0%, 13.0%, 불포화지방산은 각각 62.6%, 63.7% 로 높게 나타났다. 함황아미노산은 경우 등심과 볼기부위가 각각 927.4 mg%, 1041.9 mg%였으며, 필수아미노산의 함량 비율은 각각 49.2 %, 49.7%로 나타났다.

  • PDF

돈육의 부위, 저장 방법 및 저장시간이 지방산화와 지방산화물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 Park, Seong-Yong;Jin, Gu-Bok;Yu, Se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05a
    • /
    • pp.217-220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돈육의 부위, 포장방법 및 저장기간이 지방산패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pH는 삼겹이 등심보다 높았고 저장후반부에 갈수록 TBARS 값은 삼겹이 등심보다 높은 반면 유리지방산가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고 등심이 오히려 삼겹보다 높았다. 냉장저장중 지방산화물을 검출한 결과 알데하이드, 케톤, 알코올, 지방산등이 동정되었고 냉장저장중 특히 등심부위에서 hexadecanoic acid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새로운 산화지표로써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생물 측정결과 삼겹이 등심보다 빨리 부패하였고 진공포장이 함기포장에 비해 저장성을 증진시켰다.

  • PDF

도살체중이 부위별 돈육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 Yang, Jong-Beom;Jeong, In-Cheol;Mun, Y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05a
    • /
    • pp.261-265
    • /
    • 2005
  • 본 연구는 도살체중이 돈육의 등심, 목살, 삼겹살 및 햄 부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동결감량과 해동감량은 도살체중에 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등심 및 햄 부위가 목살 및 삼겹살보다 높았다. 팬에 의한 가열감량은 도살체중에 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등심, 목상 및 햄 부위가 삼겹살보다 높았다. 열탕 가열감량은 도살체중의 영향은 없었으나 등심이 가장 높고, 목살이 가장 낮았다. 돈육의 $L^{\ast}$, $a^{\ast}$$b^{\ast}$값은 도살체중의 영향이 없었다. Hardness와 springiness는 도살체중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SW110인 등심과 삼겹살의 cohesiveness가 SW90보다 높았으며, gumminess, chewiness 및 전단력가는 삼겹살이 가장 높았으며, 대체로 도살체중이 높은 것이 높았다. 가열육의 맛은 SW110 삼겹살이 가장 높았고, 향기는 SW110 목살과 삼겹살이 가장 높았다. 조직감,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도 삼겹살과 목살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돈육의 기호성은 도살체중과 부위에 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냉동 저장 중 지방산화 억제와 지방산화물 생성 저감을 위한 돈육의 부위 및 포장방법의 평가

  • Park, Seong-Yong;Kim, Gyeong-Chan;Jin, Gu-Bok;Yu, Se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10a
    • /
    • pp.172-176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냉동 저장 시 돈육의 부위, 포장방법 및 저장기간이 지방산패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pH는 고지방인 삼겹이 저지방인 등심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5). TBARS 값은 저장기간과 포장방법에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P>0.05) 저장 후반부로 갈수록 고지방인 삼겹이 저지방인 등심보다 높게 나타났다. (P<0.05). 유리지방산가는 TBARS 값과 반대로 오히려 저지방인 등심이 고지방인 삼겹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값이 증가하였다(P<0.05). 미생물 변화는 저장기간, 포장방법, 지방함량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추출된 휘발성 화합물들은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가 미미하였고 포장방법에 따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P>0.05) 탄소수 10개 미만인 2,4-dimethyl-1-heptene, hexanal 그리고 4-methyl-2-hexanone은 저지방인 등심보다 고지방인 삼겹에서 더 많이 검출되었으며, 이와는 반대로 탄소수 10개 이상인 고분자 화합물들은 고지방인 삼겹보다는 오히려 저지방인 등심에서 많이 검출되었다(P< 0.05).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삼겹에서 유리지방산가와 4-methyl-2-hexanone, 등심에서 유리지방산가와 9-octadecenal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유의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식육의 냉동보관은 식육내 존재하는 지방의 산화와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여 미생물, 효소 그리고 자동산화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2차 생성물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irst report of a newly naturalized Sisyrinchium micranthum and a taxonomic revision of Sisyrinchium rosulatum in Korea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연등심붓꽃과 등심붓꽃의 분류학적 재검토)

  • Shin, Hye Woo;Kim, Myoung Jun;Lee, Nam Sook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6 no.3
    • /
    • pp.295-300
    • /
    • 2016
  • Sisyrinchium micranthum Cav., a newly naturalized species, was found in Seogwipo, Jeju-do. This species is native to Central and South America and is reported as a widely invasive species around the world. Sisyrinchium micranthum is a sister species of S. rosulatum E. P. Bicknell (Deung-Sim-But-Kkot in Korean), reported as an invasive species earlier in Korea, and both species are members of the subgenus Echthronema. Sisyrinchium micranthum is distinguished from S. rosulatum by the urceolate shape of its flowers and by the large size of its fruits and seeds. Its local name is "Yeon-Deung-Sim-But-Kkot" based on the light blue corolla. We also found that Sisyrinchium angustifolium Mill., previously used for Deung-Sim-But-Kkot, was misapplied. It belongs to the subgenus Sisyrinchium and is morphologically very different from S. rosulatum. We corrected the scientific name of Deung-Sim-But-Kkot by changing it from S. angustifolium to S. rosulatum based on the type specimens, original descriptions, and recent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