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등류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Numerical Simulations of Open-Channel Flow using Non-Linear k-$\varepsilon$ Turbulence Model (비선형 k-$\varepsilon$ 난류모형을 이용한 개수로 흐름 해석)

  • Choi, Seong-Wook;Kang, Hyeong-Sik;Choi,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66-57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k-$\varepsilon$ 모형을 이용하여 직사각형 개수로에서 평균흐름과 난류구조를 모의하였다. 표준 k-$\varepsilon$ 난류모형은 난류의 등방성을 가정하여 국부적 평형상태에서 계산하기 때문에 유선에 따른 레이놀즈 응력의 변형이 큰 경우나 이방성이 강한 경우 이를 계산하지 못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이 비선형 k-$\varepsilon$ 난류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 k-$\varepsilon$ 모형과 비선형 k-$\varepsilon$ 모형에 의한 모의결과를 비교하였다. 난류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개수로에 흐름을 완전 발달된 등류로 가정하여 해석하였다. 지배방정식을 해석하기 위해 Patankar와 Spalding (1972)이 제시한 SIMPLER 알고리즘을 사용하였고 유한체적법을 이용하여 이산화하고 엇갈린 격자체계를 사용하여 계산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진동을 줄였다. 또한 차분기법은 Patankar (1980)가 제시한 Power-law 기법을 채택하였으며 경계조건으로 2층 벽법칙 모형과 Hossain과 Rodi (1993)의 모형을 이용하였다. 두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비교하였고 그 결과 비선형 k-$\varepsilon$ 모형이 표준 k-$\varepsilon$ 모형에 비해 좀 더 실측지에 가깝게 모의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Assessment of the applicability of river cross-section extraction technique using K-River (1차원 하천흐름해석모형(K-River)를 활용한 가상하도 생성기법의 적용가능성 검토)

  • Jisun Byun;Yeonsu Kim;Young-teck Hur;Wansik Yu;Yongseob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94-494
    • /
    • 2023
  • 수치모형을 활용하여 하천 흐름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하도의 형태를 나타내는 지형자료가 요구되며, 주흐름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의 횡단면도는 다량의 자료가 필요하다. 측량을 통한 횡단면도의 확보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날씨와 같은 외부적 요인에 따라 측량 결과물의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하천의 유속이 매우 빠를 때에는 정확도 높은 횡단 측량자료를 얻기는 불가능하며 접근이 어려운 지역이나 중소규모의 하천 측량자료는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위성영상과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에 기반하여 하천구역과 하도의 특성을 정의하는 방법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지형 측량자료가 존재하는 섬진강댐부터 오수천 합류전까지를 대상으로 가상하도 생성기법을 적용하고, 1차원 하천흐름해석을 수행하여 가상하도 구축방안의 유효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하천구역을 정의하였으며 DEM에서 추출된 표고에 기반하여 제방고와 횡단면도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횡단면도와 실단면 비교시, DEM 표고 및 하천구역 정의 지점의 정확도에 따라 제방고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수터에 대한 고려가 포함되지 않아 실단면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구축한 지형자료를 1차원 하천흐름해석 모형인 K-River에 적용하였으며, 상류단 경계조건으로는 섬진강댐 방류량을 하류단 경계조건으로는 등류조건을 적용하였다. 구축영역 내 존재하는 지류의 유입량은 측방유입으로 고려하였다. 수치모의 결과로부터 구축된 횡단면의 최심고와 실단면의 최심고가 유사한 지점에서는 수위재현성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Uncertainty Analysis in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Using the Field Measurement Data (현장실측에 의한 조도계수 산정의 불확실도 평가)

  • Kim, Ji-Sung;Lee, Chan-Joo;Kim, 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10
    • /
    • pp.801-810
    • /
    • 2007
  • In this study, validity and limitation of the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using the measured field data are investigated and the errors of the calculated roughness coefficient are analyzed. The assumption of uniform flow led to much difference of the computed results in low flow, and this is due to change of the cross-section informations such as flow area and hydraulic radius rather than the difference of velocity head.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he estimations of average roughness coefficient in the reach which is relatively long, the calculation using the modified Newton-Raphson method is very efficient and accurate. In the measured roughness coefficient, the errors of measured flow and stage are included and the lower flow is, the larger the magnitude of error of measured roughness coefficient is. But the error of depth and velocity associated with uncertainty of roughness coefficient is less than about 5% in the both of low and high flow, and it shows the validity of measured roughness coefficient.

Aeroelastic Behaviors of Self-anchored Suspension Bridge with Lateral Sag of Main Cable(I) -Focused on the Behavior of Girder- (횡방향 새그를 가진 자정식 현수교의 공탄성 거동(I) -주형의 거동을 중심으로-)

  • Kwon, Soon Duck;Chang, Sung P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9 no.2 s.31
    • /
    • pp.259-267
    • /
    • 1997
  • Wind tunnel test results and their interpretations focused on the behavior of girder, which were performed to study the aerodynamic stability of a self-anchored suspension bridge with lateral sag of main cable, are presented in this paper The shape of the girder which has the best aerodynamic stability was selected based on the section model test under uniform and turbulent flow conditions. Good performance of the selected section was confirmed in the full bridge model test. Measured flutter derivatives are presented for further study. Buffeting response was investigated to check the fatigue problem and serviceability of the bridge but it was found to be acceptable from the engineering point of view. Even though the drag coefficient of the girder had high value, the amplitude of the lateral vibration was found to be very low. This may be due to the restraint provided by the lateral sag of the cables.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Estimation for Discharge Rate Reflecting Water Surface Slope (수면경사를 반영한 하천 유량산정에 관한 연구)

  • Choo, Tai Ho;Hong, Soon Heon;Park, Sang Jin;Kim, Young 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2
    • /
    • pp.535-542
    • /
    • 2017
  • There is a big difference of discharge rate between drought and flood period in Korea since the importance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has come to the fore. To know a river characteristics, it needs to estimate river discharge accurately. River discharge is calculated using the measured velocity of cross section and the estimated area of watercourse as input parameters into continuity equation. Generally, flow rate over a river is estimated from the relation equation between level and discharge, in this case, there are weakness for only the equal depths and the equal discharge estimated. In the present study, therefore, water surface slope was estimated using measured water level of Seongseo water level observation station and measured water level using ADVM at Gangchang Bridge. And then, we developed the discharge calculation equation using water surface slope. A method to easily calculated flow rate from the measured depth of the two points that are suggested by reflecting water surface slope because natural stream is unsteady flow, not uniform flow or not steady flow.

The estimation of river discharge by using the mean velocity equation in a unsteady condition (평균유속공식을 이용한 부정류 하천유량 산정)

  • Choo, Tai Ho;Chae, Soo Kwon;Yoon, Hyeon Cheol;Yun, Gwan S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2
    • /
    • pp.6558-6564
    • /
    • 2013
  • As the average indicator for amount of water flowing in any cross section of a river, the mean discharge has been reported to be a very important factor for examining water circle constructions in a river bas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hydraulic structure, and water front area use and management. The stage-discharge curve based on discharge and stage data measured in a normal season were basically derived. Using this derivation, the necessary discharge data was obtained. The values produced in this manner corresponded to the measured data in a uniform flow state well, but showed limited accuracy in a flood season (unsteady flow). In the present paper, the mean velocity in unsteady flow conditions, which exhibited loop form properties, was estimated using the new mean velocity formula derived from Chiu's 2-D velocity. The results of RMSE and Polar graph analyses showed that the proposed equation exhibited approximately nineteen times the accuracy compared to the Manning and Chezy equations.

2-Dimensional Section Model Experimental Study of 1200m Span Cable-Stayed Bridge (주경간 1200m급 사장교 2차원 단면모형실험)

  • Lee, Ho-Yeop;Chun, Nak-Hyun;Oh, Seung-Taek;Lee, Hak-Eu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76-76
    • /
    • 2011
  • 현재까지 시공된 사장교 중, 주경간이 가장 긴 교량은 중국의 수통대교(1088m)이다. 이에 버금가는 사장교로 홍콩의 스톤커터교(1018m) 역시 주경간장이 1000m가 넘는다. 바야흐로 사장교 역시 주경간 1000m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세계적 흐름에 맞추어 주경간 800m의 인천대교(세계 5위)를 시공한바 있다. 이와 같이 교량의 초장대화는, 교량 건설 분야에서 기술경쟁력의 지표가 될 뿐만 아니라 세계 건설 시장의 큰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세계적 추세에 발맞추어, 국내 각계의 건설 전문가들이 모여 만든 초장대 교량 사업단의 기술 혁신 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교량이 장대화 되면서 바람의 의한 영향이 중요해진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사장교와 현수교 같은 특수 교량의 경우, 정적 및 동적 내풍 성능이 반드시 고려되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경간 1200m의 사장교를 가정하고, 이 사장교의 내풍 단면을 개발, 그 단면에 대한 정적 및 동적 내풍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정적 내풍 성능으로는 단면의 형상에 따른 풍하중을 파악하고자 했으며, 동적 내풍 성능으로는 풍속에 따른 교량의 연직방향 변위 및 플러터 속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실험은 추후에 3차원 전교모형실험의 기본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개발된 단면의 등류 및 난류 상태에서의 영각별 정적 공기력계수를 계산해내었고, 설계풍속이 54.7m/s일때 한계풍속 65.64m/s(거마대교 기준)하에서의 중앙 경간의 풍속별 평균 변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이 교량의 영각별 플러터 속도를 계산해 내었다.

  • PDF

The Proposal for Friction Velocity Formula at Uniform Flow Channel Using the Entropy Concept (엔트로피 컨셉을 이용한 등류수로 마찰속도식 제안)

  • Choo, Tai-Ho;Son, Hee-Sam;Yun, Gwan-Seon;Noh, Hyun-Seok;Ko, Hyun-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2
    • /
    • pp.499-506
    • /
    • 2015
  • The friction velocity is a quantity with the dimensions of velocity defined by the friction stress and density of a wall surface at near wall of flow condition. Also, the friction velocity is the hydraulic parameter describing shear force at the bottom flow. Moreover, it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designing open channel and essential to determine the mixing coefficient in the main flow direction. The estimation of the friction velocity are such as methods using channel slope, linear law of the mean velocity at viscous sub-layer and direct measurement of wall shear stress, etc. In the present study, we propose a friction velocity equation that has been optimized by combining the concept of entropy, which is used in stochastic method, and to verify the proposed equation, the experimental data measured by Song was used. The R squared for friction velocities between proposed equation and friction velocity formula analyzed 0.999 to 1.000 in a very good agreement with each equation.

Mean Velocity in Vegetation Layer of the Channel with Submerged Vegetation (침수식생 하도의 식생층 평균유속)

  • Song, Ju-Il;Kim, Kyoung-Beim;Kim, Ju-Hyung;Yoon, Sei-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45-145
    • /
    • 2012
  • 일반적으로 식생하도에서는 다양한 흐름저항 발생으로 인해 통수능은 감소하고 홍수위는 증가할 수 있다. 식생하도 흐름해석을 위해서는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흐름저항이 합리적으로 산정되어야 한다. 하도 흐름에 식생을 고려하는 중요한 관점 중 하나는 식생높이에 대한 수심의 비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심이 식생높이보다 큰 즉, 침수식생 조건에서 식생층의 평균유속 산정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조사 결과 식생층의 평균유속 산정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는 흐름을 정상, 등류로 가정하고 전 수심에 대한 힘의 평형을 해석하는 것이고(Stone and Shen, 2002), 두 번째는 2층 구조로 분리하여 식생층과 표면층사이에서 발생하는 전단력을 힘의 평형에 포함시키는 것이다(Baptist et al., 2007; Huthoff et al., 2007; Yang and Choi, 2010). Stone and Shen(2002)의 경우 일부 유속을 과대 산정하는 결과를 보였고, 이는 층간 전단력이 무시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2층 구조론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식생의 밀도가 증가하게 되는 경우 식생이 차지하는 부피는 증가하는 반면, 바닥 전단력의 영향은 감소하게 되므로 식생의 부피는 고려하되 바닥 전단력은 무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식생층 평균유속식을 기존 연구의 수리모형실험 결과와 비교한 것은 <그림 1>과 같다. 비교적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지만 Dunn et al.(1996), Rowinski et al.(2002)의 실험결과에 대해서는 유속을 과대 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들 실험조건의 특징은 침수비가 모두 2.0보다 작다는 것이다. 따라서 침수비 조건에 따라 전단력 ${\tau}_i$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비 2.0을 기준으로 이보다 낮은 침수비에서는 전단력 ${\tau}_i$를 무시하고, 2.0이상에서는 ${\tau}_i$를 고려한 침수식생하도 식생층 평균유속 산정식을 제시하였고 수리실험결과와 비교한 결과 <그림 2>와 같이 수용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 PDF

Estimation of Threshold Runoff for Flash Flood Prediction (돌발홍수 예측을 위한 한계유량 산정)

  • Kim, Dong-Phil;Kim, Joo-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19-319
    • /
    • 2012
  • 최근 GIS의 발달로 지리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한 후 각종 수리 해석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수문지형학(Hydrogeomorphology)은 Rodriguez-Iturbe(1971)가 유역의 지형학적 인자를 기초로 하여 순간단위도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시작으로 Rodriguez-Iturbe와 Gonzalez-Sanabria(1982)가 지형학적 순간단위유량도(GIUH, Geomorpholog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매개변수와 유효우량만으로 함수를 표시하는 지형기후학적 순간단위유량도(GcIUH, Geomorphoclimat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를 유도하여 오늘날까지 발전해 오고 있다. GIS를 활용한 돌발홍수 및 지형학적 지형 기후학적 순간단위도 유도 및 한계유출량에 관한 연구에서 Sweeney(1992)는 돌발홍수능의 표준적인 산정 알고리즘을 제시하였고, Carpenter 등(1999)은 GIS와 연계하여 돌발홍수능을 산정하는데 중요한 한계유출량 산정방법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국내에서는 김운태 등(2002)은 GIS를 이용한 미소유역 규모의 한계유출량 산정 시스템을 개발한 바 있으며, 황보종구(2007)는 국내 유역에 적합한 GcIUH 산정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1995년부터 운영해 온 설마천 유역에 대하여 GIS 기법을 활용하여 강우-유출 해석시 GcIUH의 매개변수를 산정하여 유역에 적합한 돌발홍수 기준우량을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GIS 기법의 적용결과를 통해 산정된 설마천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은 <표 1>과 다음과 같다. 한편, 돌발홍수의 개념에서 한계유출량( )은 소하천의 제방을 월류하기 시작하여 홍수를 일으키기 시작할 때의 유효우량으로 정의되며, 유역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내리는 단위유효우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직접유출 수문곡선이므로 제방이 가득 찬 상태의 유량 즉, 제방이 월류하기 시작할 때의 유량은 등류상태의 흐름을 해석하는 Manning의 공식으로부터 산정할 수 있으며(Chow et al., 1988), 설마천 유역의 경우 50년 빈도 홍수량에 해당하는 수위와 한계유량을 산정하였다. 향후 2011년 홍수 분석을 통해 한계유량 및 기준우량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마천 유역의 돌발홍수예측을 위한 기준우량의 산정 등을 통해 산지 특성을 고려한 돌발홍수예측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