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들메나무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4초

지리산국립공원 연하천계곡 산림군집구조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Yunhachon Valley Chirisan national Park)

  • 송광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82-391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 연하천계곡의 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기 위해서 48개의 조사구(1개 조사구 단위면적 100m2)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하였다 48개의 조사구는 DCA 분석에 의하여 2개의 군집(들메나무군집 시날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층위별상대우점치와 흉고직경급별 분포 분석결과 들메나무와 신갈나무는 현상태를 계속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들메나무군집은 계곡부 토지극상림을 이루고 있었다 연하천계곡의 Shannon 종다양도지수는 들메나무군집은 1.0810 신갈나무군집은 0.2468이었다 들메나무는 함박꽃나무 물참대 참회나무 바위 마발도리 개회나무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갈나무 생강나무, 조릿대, 노린재 , 당단풍과 부의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민주지산의 산림군집구조분석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Mt. Minjuji)

  • 최송현;조현서;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1-125
    • /
    • 1997
  • 민주지산지역의 극상림 산림군집구조를 분석하고 생태계 기초자료를 구축하여 이 지역의 개발압력에 대응하는 생태고나광, 자연학습 등 친환경적 개발에 응용하고자 49개 조사구를 선정하고 군집구조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분석 결과 각 군집은 소나무-서어나무-졸참나무군집(군집 I), 신갈나무-졸참나무-굴피나무군집(군집 II), 신갈나무군집(군집 III), 들메나무-고로쇠나무군집(군집IV), 층층나무-들메나무군집(군집V), 들메나무-까치박달나무군집(군집 VI) 그리고 들메나무-서어나무군집(군집 VII)으로 분류되었다. 산림의 종조성, 유사도지수, 종다양성분석, 흉고직경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 I~III을 제외하고는 활엽수혼효극상림으로 밝혀졌다.

  • PDF

인위적인 수분처리가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생장과 엽형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ificial water treatment on the growth and leaf characteristics of Fraxinus rhynchophylla and Fraxinus mandshurica)

  • 정진철;최정호;박경우;유세걸;이수원;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5-141
    • /
    • 2007
  • 인위적인 수분처리에 대한 묘고생장 결과 물푸레나무는 수분처리의 영향을 크게 받지는 않았으나, 토양수분이 감소할수록 생장이 감소하였고, 들메나무는 상대적으로 토양수분이 높은 처리구$(78{\sim}90%)$에서 높은 생장을 보였다.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근원직경 또한 토양수분이 감소할수록 생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물질생산량의 변화는 물푸레나무의 경우 잎, 줄기, 뿌리 등 건중량이 각 처리구별로 토양내 수분이 낮아질수록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이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토양수분이 $78{\sim}90%(A)$인 처리구에서는 상대적으로 $18{\sim}30%(D)$ 처리구에 비해 약 2배 이상 높은 물질 생산량을 나타 냈다. 들메나무도 각 처리구간에 차이를 보이면서 A처리구와 D의 처리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이는 토양수분이 묘목의 수세 약화 및 잎을 포함한 조직의 연화 등 생리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의 엽 특성중 SLA는 토양수분처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이진 않았지만 처리구간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LAR과 LWR의 경우에는 각 처리구간 토양내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덕유산 국립공원 적상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Community Distribution 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of the Choksangsan Area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 최영은;김창환;오장근
    • 생태와환경
    • /
    • 제46권3호
    • /
    • pp.460-470
    • /
    • 2013
  • 덕유산 국립공원내 적상산 일대의 산지삼림식생은 전체 111개 군락이 조사되었으며, 산지낙엽활엽수림, 산지 습성림, 침엽수림, 식재림, 기타식생으로 암벽식생, 농경지 등이 조사되었다. 상관대분류에 의하여 구분된 각각의 산지삼림식생을 보면 산지낙엽활엽수림은 36개 군락으로서 대부분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군락 및 이들 종과 혼생림을 이루고 있다. 26개 군락의 산지습성림은 들메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들메나무-층층나무군락, 층층나무-들메나무군락이 65.50% 차지하고 있어 적상산 일대 산지 계곡은 대부분이 들메나무와 층층나무에 의하여 강하게 우점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0개 군락의 침엽수림은 소나무군락이 63.27%로 소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군락의 14.81%, 12.23% 보다 분포 면적 비율이 높아 적상산 일대 침엽수림은 대부분이 소나무군락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나무군락을 제외한 소나무-신갈나무군락과 소나무-굴참나무군락의 침엽수림대 혼효림은 천이가 진행되면 신갈나무군락으로 군락 대체가 예상되어 이 지역 일대 침엽수림의 분포 면적은 감소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적상산 일대의 식재림은 31개 군락이 조사되었으며 적상산 사면 저지대의 마을, 경작지, 도로와 연접된 부분에 리기다소나무, 일본잎갈나무 등이 비교적 넓은 면적에 조림되어 있어 천이의 진행과 함께 참나무속 수종으로 매우 빠르게 군락이 대체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적상산 일대의 산림식생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소나무, 들메나무, 층층나무와 이들 종들과 혼생군락을 이루고 있는 군락들이 주요 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며, 천이 및 기후적 요인들에 의하여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 산지습성림은 들메나무와 층층나무군락으로 천이가 진행 될 것으로 보인다.

덕유산 국립공원의 삼림군집구조분석 -백련사-금포탄 지역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T$\v{o}$kyusan National Park- Case Study of Paekryunsa-Kumpotan -)

  • 이경재;최송현;조현서;이윤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5-154
    • /
    • 1994
  • 덕유산 국립공원 구천동계곡(금포탄-백련사)의 삼림군집구조 분석을 위하여 40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100$m^2$)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on분석과 ordination 기법의 일종인 DCA및 CCA를 적용하였다. 전체 조사구는 TWINSPAN에 의해 서어나무-까치박달 군집, 소나무-서어나무-졸참나무 군집, 서어나무 군집, 신갈나무-서어나무 군집, 2개의 참나무류 군집, 2개의 들메나무 군집 등 8개의 집단으로 분리되었다. 양 기법에 의해 추정되는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 소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 졸참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 까치박달, 들메나무로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진달래, 철쭉, 개옻나무$\longrightarrow$당단풍, 조록싸리, 참회나무, 노린재$\longrightarrow$고추나무, 병꽃나무 순으로 예측되었다. Classification, ordination, 흉고직경 및 토양환경인자의 분석을 통해 들메나무 군집은 토지극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포지(圃地)에 있어서 들메나무의 종자발아(種字發芽) 및 묘목생육밀도(苗木生育密度)에 관한 연구(研究) (A Study on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Density of Fraxinus mandshruica in Nursery)

  • 정성호;김종원;이근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9-11
    • /
    • 1984
  • 우리나라 중부(中部) 산간지방(山間地方) 고산지대(高山地帶)에 분포(分布)하고 있는 들메나무 천연림(天然林)에서 종자(種子)를 채취(採取)하여 3가지 방법(方法)으로 발아촉진(發芽促進) 처리(處理)를 하여 묘상(苗床)에 파종(播種), 발아율(發芽率)을 비교(比較)하고, 생육밀도(生育密度)를 다르게 조절(調節)하여 육묘후(育苗後) 묘목(苗木)의 생장(生長)을 비교(比較)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들메나무의 1-0 묘(苗)의 경우(境遇) 양묘시업(養苗施業) 기준(基準) 본수(本數)는 $1m^2$당(當) 80본(本)을 생립(生立)시켜 육묘(育苗)하는 것이 적정(適正)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2) 들메나무 종자(種子)의 발아촉진(發芽促進) 처리(處理)에 따른 3 방법중(方法中) 당년(當年)의 발아율(發芽率)은 항온습윤저장(恒温濕潤貯藏) 19.9%, 변온급여저장(變温給與貯藏) 2.3%, 노천매장(露天埋藏) 0.4 %로 나타났다. 3) 들메나무의 전(全) 시험(試驗) 묘목중(苗木中) 8.1%에 해당(該當)하는 묘목(苗木)은 2차(次) 상장생장(上長生長)을 하였다.

  • PDF

충청북도 영동군 민주지산지역 들메나무군집 식생구조 (The Vegetation Structure of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in Mt. Minjuji, Youngdong-gun, Chungcheongbuk-do)

  • 최송현;송근준;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6-176
    • /
    • 1997
  • 들메나무군집의 식생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민주지산지역의 해발 700~1,100m 사이 계곡부에 10m*10m 면적의 조사구 20개를 설정, 조사하였다. 전체 조사구에 대해 classification 기법중 TWINSPAN을 이용한 결과 6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으며, 각 군집별로 종조성을 살펴본 결과 민주지산 지역의 들메나무군집은 신갈나무군집에서 천이가 진행되어 온 것으로 판단되며, 까칩가달, 고로쇠나무, 층층나무 등이 부수종을 이루고 있으나 경쟁수종이 형성되어 있니 장ㄴㅎ아 토지극상림으로 판단되었다. 흉고직경급별분석에서 들메나무는 전층위에서 고르게 출현하고 있고, 군집이 안정되어 있어 종다양도(Shannon's index 0.72~0.82)가 낮게 나타났으며, 각 조사구당 평군종수는 11.0종, 평균개체수는 111.5주였다.

  • PDF

덕유산 국립공원 자연보존지구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Nature Conservation Area in T$\v{o}$kyusan National Park)

  • 김갑태;김준선;추갑철;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64-171
    • /
    • 1994
  • 덕유산 국립공원의 고산지대 (해발 1,350m이상)를 대상으로 삼림식생의 실태와 삼림군집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자연보존지구에 29개의 방형구(20$\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네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신갈나무와 들메나무, 들메나무와 노린재나무 및 싸리, 시닥나무와 주목, 함박꽃나무와 작살나무, 주목과 구상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신갈나무와 시닥나무, 주목 및 괴불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0.9969~l.221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 PDF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지역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Chilseon Valley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 추갑철;안현철;조현서;김임규;박은희;박삼봉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2-29
    • /
    • 2009
  •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천왕봉-선녀탕 구간 계곡부에 방형구($400m^2$) 23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3개 조사구는 구상나무군집, 들메나무-당단풍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천왕봉-마폭포구간에는 대부분이 구상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 지역에서 잣나무, 당단풍, 마가목 등의 침엽수와 낙엽수종들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가문비나무와 마가목, 주목, 쇠물푸레, 음나무; 거제수나무와 물갬나무, 층층나무; 구상나무와 잣나무; 국수나무와 사스래나무, 산겨릅나무, 산벚나무; 당단풍과 사스래나무; 들메나무와 바위말발도리, 시닥나무; 마가목과 음나무; 물갬나무와 층층나무; 비목나무와 조록싸리,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생강나무와 전나무; 서어나무와 조록싸리; 쇠물푸레와 시닥나무, 잣나무, 주목; 시닥나무와 주목; 신갈나무와 철쭉; 졸참나무와 쪽동백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구상나무와 바위말발도리; 생강나무와 잣나무의 사이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락별 종다양성 지수(H')는 $2.7478{\sim}2.9573$ 범위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동아시아와 북미 분포 조경수목쌍 비교 (Pairing of Woody Landscape Plants between Eastern Asian and North American species)

  • 서병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3-98
    • /
    • 1998
  • 동아시아와 북미에 분포하는 조경수목을 형태적 특성 및 분자생물학적 특성에 따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분류한 결과 8종에서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었다. 자주받침꽃, 능소화, 산딸나무, 보리밥나무, 가래나무, 튤립나무, 일본목련, 잣나무는 동아시아와 북미에서 각각 밀접한 유연성을 가진 종들이 있어 이들을 조경수목쌍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형태적 특성이 매우 흡사한 종으로는 중국단풍나무, 고로쇠, 들메나무, 야광나무, 소나무와 곰솔,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 피나무, 참느릅나무 등에서 동아시아와 북미 조경수목쌍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