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뒷좌석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Effectiveness for Consolidating Fitment of Safety Belt Reminder (좌석안전띠 미착용 경고장치의 의무 장착에 따른 효과분석)

  • Jang, Jeong Ah;Shim, Sojung;Kim, Young S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5 no.6
    • /
    • pp.127-137
    • /
    • 2016
  • It is widely recognised that the safety-bel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effective vehicle safety features. Nevertheless, actual safety-belt wearing rates are low in Korea, especially rear seats. In Korea, rear seat safety-belt use can be as low as 20%. Consolidating fitment of Safety Belt Reminder(SBR) is one of means to improve belt wearing rates. In this paper, we use the effect of wearing seat belt model as Evans(1991) model. As a key parameter, intial wearing seat belt rates is studied and final wearing seat belt rates is used as scenario related a human compliance variables. In this study, benefit analysis is performed when the effective SBR is made mandatory for all passenger car seat. According to study results, when the fitment of SBR is made mandatory for all passenger car seats in Korea, 119 lives are expected to be saved annually with a 90% observance rate of the SBR. In the same condition, benefit-cost ratio will be 1.84.

A study of rear seat belts geometric characteristics for rear seated occupants protections (뒷좌석 승객 보호를 위한 안전띠의 기하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 Youn, Younghan;Park, Jiyang;Lee, Seungsang;Kim, Minyoung
    • Journal of Auto-vehicle Safety Association
    • /
    • v.7 no.1
    • /
    • pp.45-50
    • /
    • 2015
  • The protection of frontal seat passengers in both driver and front seated occupant has been more focused from the auto industries as well as regulatory bodies more than 40 years. Recently, their interests have been extended to rear seat occupants especially children and female occupants. However, the current available safety devices for the rear seat occupants are seat belt only.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ers, the injury level of the rear seat passengers tend to be higher than the injury level of the frontal seat passengers. In this study, the optimal location of seat belts anchorages to enhance rear passengers crashworthiness are studied. FEM models ar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 of KMVSS102, UN R44, UN R16, and UN R14. and three point belts are fitted on the HybridIII 5th percentile dummy and HybridIII 50th percentile dummy. The combined injury value used HIC15, Nij, Chest deflection, Femur force are used to evaluate rear seat belt anchorage optimal locations.

A study of the distribution of glass particles on patrol car seats (순찰차량 시트에서 유리조각의 분포 연구)

  • Kim, Mihye;Ko, Gangseok;Kim, Sookyung;Hong, Sungwook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9 no.3
    • /
    • pp.136-141
    • /
    • 2016
  • In the present study, the distribution of glass particles inside 10 patrol cars of Chungnam Province has been studied. The target seats were front seats (driver’s seat, passenger’s seat) and the back seat. The target areas were the bottom of the seat (seat contacting buttocks, back of the seat, and the corner of the seat (the bottom and back attached part)). The target areas were tape lifted with an adhesive tape. The glass particles adhering to the adhesive tape were examined and counted under a stereomicroscope. The total number of glass particles found was 679. Among them, 471 (driver’s seat 293, passenger seat 178) were collected from front seats, which are usually occupied by police officers. The majority of glass particles were under 0.49 mm size. The results show that the majority of glass particles can be found on the front seats, rather than on the back seat.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glass particles found on the front seat adhere to police officers, so that to get further transferred to the convict upon physical contact (secondary transfer). Thus, there is a risk of misinterpretation of the value of glass evidence in the course of forensic examinations. Hence, a separate method to prevent cross contamination has to be prepared by police authorities as soon as possible.

스마트카-IT 융합에 따른 차량용 엔스크린 기술의 변화 및 관련 동향

  • Jeong, Gu-Min;Kim, Yeong-U;Lee, Gyeong-Su;Park, Chang-U;Son, Dae-Rim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9
    • /
    • pp.33-39
    • /
    • 2013
  • 자동차 IT 융합의 흐름에 따라 차량용 엔스크린 관련 기술이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고 있다. 정보 제공과 콘텐츠 공유를 주요 특성으로 하는 차량용 엔스크린 관련 기술들은 기기간 연동 이슈가 해결되면서 본격적인 서비스를 예고하고 있다. 차량용 엔스크린의 범위는 주요 이슈인 헤드유닛과 스마트폰의 연동 뿐만 아니라, 넓게 보면 블랙박스, 카메라, 뒷좌석 디스플레이, 클라우드 서버까지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산업적으로는, 헤드유닛을 중심으로 융합을 가져가려는 자동차 업체와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융합을 주도하려는 IT업계가 주도권을 잡기 위한 다양한 경쟁과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차량용 엔스크린 서비스와 관련된 경쟁 동향을 정리하고 관련 기술 동향 및 발전 방향에 대해서 살펴 본다.

A Study on the Comparison for the Child Occupant Safety from Frontal Crash Test Protocol (정면충돌 시험방법에 따른 어린이 탑승객 충돌안전성 비교연구)

  • Kim, Siwoo
    • Journal of Auto-vehicle Safety Association
    • /
    • v.8 no.3
    • /
    • pp.33-38
    • /
    • 2016
  • Recently, development in vehicle safety could increase interest in children's safety in vehicle collisions. But the research of children safety in vehicle collisions is not being conducted as many as that of adult's. Especially the study for the vehicle crash was not much. This study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child safety between test protocols to evaluate children's safety in crash test. Injuries of Q6 and Q10 dummy were evaluated using FFRB (Full frontal rigid barrier) test and 40% ODB (Offset deformable barrier) test with one model vehicle. Even though the limit number of test, the tendency of injury criteria of Q6 and Q10 dummy between the test protocols was not conformed but injury criteria of Q6 and Q10 were not same between FFRB and 40% ODB.

한국인 인체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내수용 승용차 내부 설계 평가 및 개선에 대한 연구

  • 신원경;정성재;박민용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10a
    • /
    • pp.12-22
    • /
    • 1997
  •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승용차의 운전석과 운전석 주변 제어장치간의 규 격이 한국 성인의 신체에 맞게 설계되었는지를 분석하고 평가하여 한국인의 신체에 적합한 승용차 내부설계의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의 한국인 인체 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갖추어야 할 편안한 자세를 3차원 인체 모델링 도구인 SAFEWORK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이 모델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람과 환경과의 관계를 고정적인 인체 측정 데이터와 기능적인 인체 측정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여 삼차원으로 모델링한 다음 현재 국 내에 판매중인 소형, 준중형, 중형승용차 3종류의 규격차를 적용한 시트를 SAFEWORK으로 설계하였다. 한국인 인체 측정 데이터로 만들어진 마네킨을 설계된 각각의 시트에 앉혀 시트의 규격과, 운전석 주변의 제어장치간의 규격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 결과, 운전석에서 accelerator pedal까지의 거리와 volume control 까지의 거리, 운전석의 깊이와 뒷좌석 폭 등 연구대상이 된 3종류의 내수용 승용차의 주요 규격이 한국 성인의 신체에 부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한국 성인의 인체 측정 데이터에 적합한 시트와 주변 제어장치간의 설계 규격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Protection of Rear Submarine of 5th percentile Female Dummy (5th%ile 여성 인체모형 뒷좌석 서브마린 방지에 대한 연구)

  • Kim, Hong Gyu;Yum, Sun Ill;Jin, Wook
    • Journal of Auto-vehicle Safety Association
    • /
    • v.9 no.3
    • /
    • pp.13-18
    • /
    • 2017
  • Since 2015, Euro-NCAP and C-NCAP have enhanced regulation on submarine of rear female passenger. This submarine regulation is a big obstacle to achieve the highest level crash performance. S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technical way to protect rear female passenger against submarine. In this study, we figured out how design factors of seatbelt affect submarine of rear female passenger by sled test. And we verified that rear passenger submarine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intersection angle of seatbelt anchor and rotation amount of seatbelt buckl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oposes a new invention of seatbelt buckle and anchor that can improve rear passenger submarine. One is seatbelt buckle that can be detached from stopper to prevent rotation and the other is seatbelt anchor that can be changed the structure so as to incline forward during crash. Finally we proved that submarine of rear female passenger can be improved by the effectiveness of new inventions.

A Study on the Modeling of a Passenger Car Cavity with consideration of Trunk Coupling Effect (트렁크 연성 효과를 고려한 차실 음향 모델링에 관한 연구)

  • 강상욱;이장무;김석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10a
    • /
    • pp.300-305
    • /
    • 1994
  • 차실 음향 공동의 특성을 유한요소법에 의해 해석하고자 할 때, 과거에는 차실 음향공동과 트렁크 음향공동과의 상호연성을 고려하지 않고, 두 공동의 경계면을 강체 경계조건으로 생각하여 해석 대상 모델을 차실 음향 공동만으로 국한시켰다. 이러한 해석 방법을 통해서는, 차실과 트렁크 공동이 완전히 밀폐되어 있지 않고 단지 뒷좌석에 의해 두 공동이 구별되어지는 차종에 대해서는 실험과 근접하는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차실 공동과 트렁크 공동의 경계면을 가상의 탄성벽 경계조건으로 생각하여 그 탄성벽을 통한 두 공동의 상호 연성을 고려하는 유한요소 모델을 구현하여야 한다. 실제로 트렁크가 차실에 미치는 연성효과를 고려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할 경우 차실의 고유진동수와 고유모드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히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내용에서는 차실과 트렁크 공동, 그 사이의 탄성벽을 이론적으로 해석 가능한 1차원으로 모델링하여 실험 결과와 근접하는 3차원 유한요소 모델링 기법을 제시한다.

  • PDF

Trends of airbag technology (에어백 기술의 발전동향)

  • 김권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8 no.5
    • /
    • pp.1-9
    • /
    • 1996
  • 에어백 관련기술은 차체 충돌특성 평가, 승객거동분석, 좌석벨트/조향축/에어백의 조화설계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술과 충돌감지센서, 가스발생기, 모듈 등을 포함하는 주요 기능 부품의 설계 및 제조기술로 구분된다. 이 중 시스템 엔지니어링 기술은 국내의 완성차 업계의 노력에 의하여 선진국의 수준에 근접하고 있으나 부품의 설계 및 제조기술은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80년대 후반부터 각국의 에어백 관련 특허 출원 건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능의 부품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에어백 기술의 발전방향은 소형화, 경량화, 저렴화로 요약된다. 차량의 전방 충돌에 대비한 에어백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측면 충돌에 대비한 side bag, 뒷자석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rear bag 등이 개발되고 있고 최근에는 버스 등 대형차량이나 모터사이클 등에도 에어백을 부착하기 위한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에어백은 충돌센서(crash sensor), 가스발생장치(inflator), 공기주머니(bag), 덮개(cover), 배선(wire harness)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 중에서 공기주머니, 덮개, 가스발생장치를 결합한 부분 조립품을 모듈(module)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하에서는 에어백을 구성하는 주요 기능부품들의 종류, 특성과 기술개발 동향을 알아보기로 한다.

  • PDF

Development of a system for children's safe back and forth school (아동의 안전 등하원을 위한 시스템 개발)

  • Kim, Dayun;Kang, YuBin;Shin, GaYeon;An, Seongmin;Lee, Chang-Ho;Shim, Hyeo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236-23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셔틀버스 내부 갇힘 사고 방지 및 사고 발생 시 빠른 처리를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셔틀버스 운행 종료 후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 남아있는 아동 확인 후 맨 뒷좌석에 부착된 지문인식을 이용한 슬리핑 차일드 체크를 실시한다. 또는 사고 발생 시 차량 내 적외선 인체 감지 센서로 감지한 후 카메라로 촬영한다. 촬영 영상은 GPS 모듈로 파악한 현재 위치와 함께 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