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둥굴레속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 seconds

제주지역 특산식물의 현황 및 활용방안

  • Go, Jeong-G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10a
    • /
    • pp.5-5
    • /
    • 2010
  • 제주지역에 분포하는 특산식물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지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44과 75속 63종 17변종 13품종으로 총 93분류군에 대한 자생지 환경, 개체군 동태, 생육특성 및 위협요인 등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중 세계적으로 제주지역에만 분포하는 제주특산식물은 긴다람쥐꼬리(Huperzi integrifolium) 등 27과 46속 36종 12변종 8품종으로 총 56분류군으로 분석되었으며, 제주도를 포함하여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한국특산식물은 구상나무(Abies koreana) 등 20과 28속 24종 4변종 4품종으로 총 32분류군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조사대상 특산식물 중 바위좀고사리(Asplenium sarelii var. anogrammoides) 등 5분류군은 분류학적 검토와 함께 특산식물여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개나리(Forsythia koreana)는 조경용으로 식재된 종이므로 제주지역에 자생지가 확인된 특산식물은 39과 70속 59종 16변종 12품종으로 총 87분류군으로 볼 수 있다. 제주지역의 특산식물은 해안지대에서 확인된 갯겨이삭(Puccinellia coreensis)부터 한라산 정상에서 자라는 한라솜다리(Leontopodium hallaisanense)까지 제주도 전역 분포하고 있으나 종에 따라 서로 다른 분포특성을 보였다. 특히, 한라산 해발 1,400m 이상 아고산대에 집중 분포하는 특성을 보였다. 특산식물의 자생지내 개체군의 동태를 보면 대부분의 식물이 개체수 및 분포범위가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지리산오갈피(Eleutherococcus divaricatus var. chiisanensis)는 2개체만이 확인되어 종보전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한라솜다리, 모데미풀(Megaleranthis saniculifolia), 한라각시둥굴레(Polygonatum humile var. humillimum) 등 상당수의 식물 종이 수십 개체 이내로 매우 적은 개체수를 유지하고 있었다. 제주지역에 분포하는 특산식물은 인위적 또는 자연적 요인으로 인해 많은 자생지 면적감소나 개체수 감소 등의 위협요인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산간 이하에 자라는 특산식물은 접근성 등이 용이하여 도채 등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한라산국립공원 내에 분포하는 특산식물은 인위적 훼손 위험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나 자연적 요인 즉, 식생변화 등으로 인해 자생지 및 개체수 감소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 체계적인 종 보존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제주지역 특산식물 중 자생지가 확인된 식물 종을 대상으로 근연종 분석 등을 통해 유용성을 분석하면 식물체 일부가 약용으로 가능한 식물 종이 개족도리(Asarum maculatum) 등 전체의 67.1%를 차지하였고, 관상용으로 활용가치가 높은 식물 종은 구상나무(Abies koreana) 등 전체의 60.2%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대부분의 종이 희소성의 가치가 있어 모든 특산식물이 관상용으로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주지역에서 확인된 특산식물 중 전체적으로 90.9%가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아직까지 유용성에 대한 정보가 미흡한 종도 자원적인 연구접근에 따라 다양한 자원으로 활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Antioxidant Potency of Green Tea by DPPH Method (DPPH 방법을 통한 녹차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

  • 오중학;김은희;김정례;문영인;강영희;강정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3 no.7
    • /
    • pp.1079-1084
    • /
    • 2004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s, fermented teas and other related common teas by examining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DPPH (2,2 diphenyl l-picryl hydrazyl). Scavenging activity ($SC_{50}$/) of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for 0.1 mM DPPH radical was 5.5 $\mu$M or 4.2 mg/L by weight, then catechin, 14 $\mu$M or 2.5 mg/L and vitamin C, 22 $\mu$M or 3.9 mg/L, respectively. Kyokuro tea (okro) powder of 24.2 mg/L or green tea powder of 25.2 mg/L was used to reach $SC_{50}$/ for 0.1 mM DPPH. One serving of 2 g green tea provides antioxidant activity equivalent to 109∼147 mg EGCG, 145∼185 mg catechin or 131∼168 mg vitamin C. Teas from the first harvest had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hen compared with later harvest green teas grown in the same region, but there is virtually no difference by the harvest time. A Chinese green tea, Dragon well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mong other green teas tested providing antioxidant capacity equivalent to 168 mg EGCG or 188 mg vitamin C per 2 g serving, but partially fermented Chinese teas had much lower antioxidant activity than any green tea tested. Black tea which is fully fermented showed as strong antioxidant activity as green teas (76.3 mg vs 86.7∼67.6 mg per tea bag). One tea bag of green teas from market provided antioxidant capacity equivalent to 52∼86 mg EGCG, 70∼105 mg catechin or 63-96 mg vitamin C. Teas made of persimmon leaf, pine needle, mulberry leaf had comparatively low anti-oxidant activity equivalent to 2.5∼4.8 mg EGCG or 15∼21 mg vitamin C per teabag. The third brewed green tea still had enough antioxidant activity, while tea from tea bag brewed for 3 min or 5 min did not have any difference in their antioxidant activity. More systemic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 catechins and antioxidant capacity focusing on how growing, harvest time, fermentation and other processes can influence on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