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부 외상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31초

외상성 두부 손상에 의한 수두증의 Vojta치료 증례 (The Report of Vojta Therapy in Hydrocephalus on Traumatic Brain Injury)

  • 이근희;구봉오;배성수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4권1호
    • /
    • pp.125-130
    • /
    • 2002
  • This study was applied using vojta therapy in the patient with hydrocephalus occurred by on traumatic brain injury. Vojta treatment was a recently developed of the brain damage patient treatment which can be applied eariler than the other traditional metho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ip joint flexion contracture from $100^{\circ}$ to $15^{\circ}$ was improved on prone position. 2. Left convexity curve on thracolumbar region due to functional scoliosis the normal aligment. 3. The thumb finger was changed from thumb-in to thumb-out. 4. Right tilted pelvis on prone position became the normal symmetry

  • PDF

충격하중에 의한 두부외상의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Head Injury under Impact Load)

  • 신현우;서본철지
    • 기계저널
    • /
    • 제35권8호
    • /
    • pp.691-697
    • /
    • 1995
  • 인체 머리부분의 충격력이 가했을 때 어떠한 상해가 발생할 것인가에 대하여 수치해석적인 접 근을 시도하였다. 복잡한 생체구조의 단순화, 비선형적인 재료 특성으로 인하여 해석 결과는 정 량적인 정확성보다 정성적인 경향성에 보다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앞으로 개선할 여 지가 많다고 할 수 있다. 또 의학적인 부분에 관한 기초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의학계의 조건 또는 의학계와의 공동 연구가 요망된다고 하겠다. 해석 결돠의 검증은 과거에는 주로 사체 및 동물 심험에 의하여 행해졌으나 현재에는 사체 실함이 금지되어 있고, 동물(원숭이, 개, 돼지 등 )을 이용한 실험도 동물 보호단체의 반발로 여의치 않은 형편이다. 현재는 교통사고 등에서의 사체 부검 및 사고 상황의 역추적에 의해 생체 실함을 대신할 데이터가 마련되고 있으나, 정확한 사고 상황을 파악하는 것 자체가 또한 어려운 작업이다. 그래서 각 나라에서 일부분씩 가지고 있는 생체에 대한 데이터를 모아 전세계적인 데이터 베이스를 만들어 공유하려는 작업이 진행 되고 있다. 이렇게 실험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상황하에서는 수치 시뮬레이션이 주요한 해석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PDF

두부외상 후 발생한 지연성 소뇌 혈종 1례 (A Case of Delayed Intracerebellar Hematoma after Head Injury)

  • 김상현;황금;변진수;허철;홍순기;한용표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3호
    • /
    • pp.407-410
    • /
    • 2000
  • The traumatically induced mass lesions of the posterior cranial fossa are unusual. Various types of traumatic posterior fossa hematoma have been described ; the most common forms is epidural hematomas, and frequently traumatic intracerebellar hemorrhage is encountered. A sixty-six-old male patient was initially presented with the occipital skull fracture and contusional hemorrhage on the both frontal lobe, a developed delayed cerebellar hemorrhage. The patient was operated for hematoma removal with good postoperative recovery. We advise a consideration for delayed intracerebellar hematoma in patients with cerebellar contusion following trauma.

  • PDF

두부(頭部) 외상(外傷) 이후 발생한 이명(耳鳴)환자 치험 1례 (A Clinical Case Report of Tinnitus after Head Trauma)

  • 김현정;조아름;김창환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1-118
    • /
    • 2011
  • Objectives: Oriental medical treatment could be effective with the patient with tinnitus after head trauma. Methods: We experienced one case of tinnitus after head trauma treated with oriental medical treatment, acupuncture and oriental medicine(Hwaeo-jeon). Result: After the treatment the grades of VNRS, THI were decreased and clinical symptoms were improved. Conclusion: Oriental medical treatment, acupuncture and oriental medicine(Hwaeo-jeon) were effective on tinnitus after head trauma.

치료법을 달리한 상악골절후 부정유합 2예 (THE CARE OF DELAYED MALUNION AFTER MAXILLARY FRACTURE BY DIFFERENT METHODS:REPORT OF THREE CASES)

  • 유재하;이원유;류수장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117-127
    • /
    • 1991
  • 현대 사회에서 외상의 특성은 다발성 손상이 빈발하는 것이며 상악골절시 생명을 위협하는 다발성 전신손상이 동반되면 수술이 지연되어 골절부의 지연된 부정유합을 보일 수 있다. 또한 골절된 양상에 따라서는 관혈적 정복술의 적용여부가 고려되는데 특히 골절편의 분쇄가 심하면 수술시 골절부위의 이개 후 정상위치로의 이동이 어렵고 설사 골절편의 이동이 이루어졌다고 하여도 정상위치로의 고정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쇄골절편의 상실량이 많아지면 골이식까지 시행해야 하는 등 외과적이술식의 적용에 많은 난관이 예상된다. 따라서 상악골절 후 통상 6주일 간의 시간경과가 없다면 오히려 상악골절편의 이동방향을 예측하여, 전방견인용 headgear 또는 headcap 을 사용한 교정적인 치료를 시도함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더우기 reverse headgear를 이용한 치료법은 골절된 경우가 아니더라도 상악골의 전방이동에 유용함이 실험적으로나 임상적으로 입증된 만큼 이를 상악골절후 후퇴된 상악골의 전방견인에 적용할 경우 교정치료의 최대장애인 cortical bone의 연속성이 골절로 인해 끊어지고 섬유성 유착상태로 남게되어 교정력의 효과가 치아이동 뿐만 아니라 골편의 이동에 매우 유익하리라 사료된다. 이에 저자는 상악골적이 분쇄양상인 한 환자에서 headgear와 headcap을 이용한 교정치료법을 5개월간 적용해 양호한 결과를 얻었고, 골절양상이 분쇄형이 아닌 증례에서는 외상후 5주간 경과 되었지만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여 정상교합을 회복했으며, 심한 두부 손상으로 6개월만에 의식 회복을 한 LeFort I, II, III, 환자에서는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분석, 교합기 상에서의 모형분석, 전산화 단층촬영 검사 등을 시행한 후 새로운 골면에다 LeFort I -osteotomy with iliac bone graft를 시행해 정상교합 및 안모추형을 개선시켰기에 이를 보고한다.

  • PDF

골편적출술을 적용한 후두골 골절 치료 (Treatment of an Occipital Fracture by Esquillectomy)

  • 박진욱;조기래;장동우;최석화;김근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50-452
    • /
    • 2010
  • 4년령의 수컷 요크셔테리어가 두부의 둔상에 의한 구토와 무의식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육안검사에서 안면 부종, 피하 출혈, 과유연을 확인하였다. 방사선 검사에서 후두골편이 뒤쪽으로 변위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3차원으로 재구성한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에서 골편의 배쪽 부분이 불완전하게 부착되어 있음을 보여주었고, 골편의 불안정성 때문에 골편적출술을 실시하기로 결정하였다. 골편의 제거 후, 결손부는 널판근을 이용한 근육판으로 보강하였다. 환자 상태는 약간의 실조성 보행을 제외하고, 점차 개선되었다. 술 후 20개월째 추적조사에서 운동실조는 더 이상 관찰되지 않았다. 심한 두 개 내 출혈과 두개골 골절에도 불구하고, 수술적인 중재를 시작하기까지 환자의 신경학적인 상태는 심하게 악화되지는 않았다. 이는 바깥쪽으로 변위된 골편이 신경학적 악화를 야기할 수 있는 두개내압의 증가를 방지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구강보호장치의 재료적인 특성이 하악골 충격 시악골 및 두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유한요소분석 (FEM Analysis of the Effects of Mouth guard material properties on the Head and Brain under Mandibular Impact)

  • 강남현;김형섭;우이형;최대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25-334
    • /
    • 2008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하악골 충격 시 구강보호장치의 재료적 성질에 따른 악골과 두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재료 및 방법: 경질과 연질의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는 구강보호장치를 두부외상이나 뇌질환 병력이 없고 정상교합과 자연치열을 가진 한국 성인 여성에게 제작하고, CT를 이용하여 악골과 두부의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하였다. 이 유한요소모델은 두개골, 뇌, 상악골, 하악골, 관절원판, 치아와 구강보호장치를 포함하며 407,825개의 elements와 82,138개의 node로 구성되어 있다. 0.1초동안 하악골 3부위에서 800 N으로 사선 방향의 힘을 가하였을 때 두 가지 재료에 따른 상악 치아, 상악골 및 두개골의 응력분포를 평가하였고 동일한 조건하에서 두 재료에 따른 뇌의 변위량을 비교하였다. 결과: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치아에서 유효응력 값을 비교하였을 때 연질의 구강보호장치가 경질의 구강보호 장치보다 응력값이 유의차 있게 작게 나타났다 (P < .05). 2. 상악골과 두개골에서 응력값을 비교하였을 때 연질의 구강보호장치가 경질의 구강보호장치보다 응력값이 유의차 있게 작게 나타났다 (P < .05). 3. 경질의 구강보호장치에서 연질의 구강보호장치보다 상악치아 및 상악골과 두개골에 더 많은 응력집중부위를 보였다. 4. 경질의 구강보호장치와 연질의 구강보호장치 간에 하악 충격 시 뇌의 변위량은 연질의 구강보호장치 쪽이 크게 나타났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악골 충격 시에 경질 및 연질 구강보호장치가 상악골과 두개골에서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양상을 알 수 있었지만, 아직도 이의 상관관계를 모두 파악하기에는 불충분한 점이 많으리라 생각되며, 스포츠 외상에 따른 구강보호장치의 재료에 따른 상관관계에 대하여 보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세 미만 소아의 경도 두부 외상 후 두개골 골절 및 두개내 병변의 위험 인자 (The Clinical Usefulness of Halo Sign on CT Image of Trauma Patients)

  • 정종일;김아진;신동운;노준영;김경환;김홍용;박준석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0권2호
    • /
    • pp.83-89
    • /
    • 2007
  • Purpos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ich clinical signs and symptoms of brain injury are sensitive indicators of skull fracture (SF) and intracranial injury (ICI) in head injured children. Methods: We conducted a prospective study of minor head trauma in children younger than 2 years of age for a 1-year period. Skull radiographs, brain computed tomography (CT), and data forms, including mechanism of injury, symptoms, physical findings, and hospital course, were completed for each child. Results: Of 137 study subjects, 17 (12.4%) had SF/ICI. Falls were the most common mechanism of injury, and heights of fall above 1 meter were associated with incidence of SF/ICI (p<0.05). Scalp abnormalities were not associated with incidence of SF/ICI. As for clinical symptoms, lethargy and a grouping of features (irritability & vomiting) were associated with incidence of SF/ICI (p<0.05). The incidence of seizure, loss of consciousness, vomiting, irritability, and scalp abnormalit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ose with normal radiologic findings and those with SF/ICI. Among asymptomatic patients, 11 (14.5%) patients had SF/ICI, and among patients with normal scalp findings, 9 (12.7%) patients had SF/ICI. Conclusion: Clinical signs and symptoms, except for lethargy and a grouping of features (irritability & vomiting), were not sensitive predictors of SF/ICI. Nevertheless, SF/ICI occurred among normal children. In such a case, a liberal policy of CT scanning is warranted.

경증 두부 외상을 가진 환자의 경추 손상을 예측할 수 있는 관련 인자 (Predictive Factors for Cervical Spine Injury in Patients with Minor Head Injury)

  • 박철우;성애진;이준호;황성연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2권2호
    • /
    • pp.154-160
    • /
    • 200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new criteria for detecting independent factors with high sensitivity in cases of cervical spine injury. We compared the sensitivity, the specificity, and the false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of plain radiographs with those of computed tomography for cervical spine injury in patients with minor head injury.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ases of 357 patients who underwent both cervical plain radiographs and computer tomography from January 2006, to September 2008.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ervical spine injury group and the no cervical spine injury group. New criteria were organized based on variables tha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ogistic regression test. Results: Among the 357 patients, 78 patients had cervical spine injuries. The average age was $43.9{\pm}15.2$ yrs old, and the male-to-female ratio was 1.90. The most common mechanism of injury was motor vehicle acci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oss of consciousness, Glasgow Coma Scale (GCS)=14, neurologic deficit, posterior neck tenderness, and abnormality of the cervical plain radiographs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logistic regression test. New criteria included the above five variables. If a patient has at least variable, the area under the ROC curve of the new criteria was 0.850, and the sensitivity and the false NPV were 87.2% and 5.2%, respectively. Conclusion: New criteria included loss of consciousness, GCS=14, neurologic deficit, posterior neck tenderness, and abnormality of the cervical plain radiographs. If the patient had at least 1 variable, he or she could have a of cervical spine injury with a sensitivity of 87.2% and a false NPV of 5.2%.

외상성 횡경막 손상 28례 분석보고 (Clinical Analysis of Traumatic Diaphragmatic injuries Report of 28 cases)

  • 장진우;이연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402-407
    • /
    • 1997
  • 1986년 3월부터 1995년 3월까지 본 마산삼성 병원 흉부외과에서 경험한 총 28례의 외상성 횡 경 막 손상 환자를 분석 하였다. 들상에 의한 경우가 20례, 자상인 경우가 8례로서 둔상인 경우 1)례가 좌측, 자상인 경우 5례가 좌측으로 전반적으로 좌측이 우측보다 많았다. 대부분 다발성 손상을 동반하였으며 모든 예에서 흉통, 호흡곤란, 복통 등의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고 내원당시 응급실에서 횡경막 파열을 의심할 수 있었던 경우는총25례로서 흉부X선 20례 UGI 3례, 폐쇄식 흉관 삽관식 손가락으로 파열공의 직접 확인이 2례 였다. 수술적 접근은둔상의 경우개흉술이 16례,개흉복술이 1례,개복술이 I례며,관통상의 경우는개흉술 3례, 개복술이 5례로서 수상후부 터 수술까지의 경과시간은 5시간 이내가 19례였다. 좌측 손상시 12례에서 위장이 늑막강내로 올라가 있었으며, 모든 결손은 비홉수성 봉합사를 사용하여 직접 단순 봉합을 하였으며, 술후 5례에서 패혈증, 저혈성 쇽크, 두부손상, 신부전 으로 술후 3일이내 사 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