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부 계측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25초

혼합 치열기 아동의 연조직 측모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 서정훈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4권2호통권201호
    • /
    • pp.143-152
    • /
    • 1986
  • The soft tissue profiles of 56 normal children were studied on their cephalograms and follow ing conclusions were made. 1. Upper facial height, Lower facial height, lower lip length were longer in female. 2. Facial convexity including the nose was convex in female. 3. Nasolabial angle, columella facial angle were larger in female. 4. Standard deviation wiggle grams were made.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계측학적 특징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정송우;홍성규;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7-325
    • /
    • 1999
  •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정확한 진단과 분석에 있어서 삼차원적인 골격부조화의 양상이나 안면부조화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 상에서 나타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계측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양호한 안모와 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정상교합자 60명과 전후방적 부조화가 심한 III급 부정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측모와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여 안면폭경, 고경, 각각의 비율, 측모계측치에 대응되는 정모계측치의 비율을 구하였고, 각각의 계측치와 비율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골격의 전후방적 부조화는 정상군보다 상악골길이(Cd-A)가 짧은 것보다는 하악골길이(Cd-Gn)가 긴 것에 기인하였다. 2.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는 정상교합자보다 긴 안모를 가지는데, 이는 상안면고경(Cg-ANS)보다는 하안면 고경(ANS-Me), 특히 하악골 고경(Cd-Me)의 증가로 인한 것이었다. 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폭경은 단지 여자의 상$\cdot$하악 대구치간 폭경(U6-U6, L6-L6)과, 하악폭경(Ag-Ag)만 정상교합자보다 컸을 뿐, 이외 어떤 폭경항목도 정상과 차이가 없었다. 4.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하악골 길이의 증가는 안모의 고경 특히 하안면 고경의 증가로 나타나지만, 하악골 폭경에서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 PDF

His선(線)과 상하안모(上下顔貌) 관계(關係)에 관(關)한 두부방사선(頭部放射線) 계측학적(計測學的) 연구(硏究)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His' Line to the Upper and Lower Face)

  • 배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5-71
    • /
    • 1968
  • 저자(著者)는 성장(成長) 발육기(發育期)에 있는 한국인(韓國人)의 His' line과 전두기저선(前頭基底線) 안이평면(眼耳平面) 하악평면(下顎平面) 구개평면(口蓋平面)이 이루는 각도적(角度的) 변화(變化)를 관찰(觀察)하기 위하여 정당교합인(正當咬合人) 남(男) 여(女) 195명(名)의 두부방사선규격사진(頭部放射線規格寫眞)을 Hellma의 치령 분류법(齒齡 分類法)에 의(依)하여 분류(分類)하고 계측(計測) 관찰(觀察)하였든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성장(成長) 발육기(發育期)에 있어서 전두기저선(前頭基底線)과 His' line이 일정(一定)한 각도(角度) 관계(關係)를 유지한다. 2. His' line은 수평성장축(水平成長軸)으로 생각(生覺)할 수 있다. 3. His' line은 구개평면(口蓋平面)과 대부분(大部分) 일치(一致)하며 남녀(男女)에는 별 차이(差異) 없다. 4. 하악평면(下顎平面)과 His' line이 이루는 각(角)이 심한 것으로 보아 강(强)한 경사도(傾斜度)를 나타내고 있다. 5. 서양인(西洋人)에 비해 하악골(下顎骨)의 후퇴(後退)를 볼 수있다.

  • PDF

건성방사선 두부계측사진과 기존방사선 두부계측 사진과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XERORADIOGRAPHIC CEPHALOMETRY WITH CONVENTIONAL CEPHALOMETRY)

  • 이희인;윤중호
    • 치과방사선
    • /
    • 제21권1호
    • /
    • pp.127-135
    • /
    • 1991
  • This study purports to make in consideration of the recent xeroradiographic development an exact analysis, by comparison, of conventional cephalometry and xeroradiographic cephalometry that are indispensably utilized in the field of orthodontics as a means of cephalometric measuring For that purpose attached to ten landmarks on a dry skull was a lead ball, a radio-opaque substance, and projected X-ray beam one time each by means of the two methods, and then ten times each without change of locations of the skull, in the state in which the lead ball was removed. These data were committed to ten dentists for tracing to determine a difference between the same kind of cephalometries. A computerized statistic analysis of the data shows findings, as follows: 1. Conventional cephalometry shows higher accuracy in Nasion, as compared with xeroradiographic cephalometry. 2. Xeroradiographic cephalometry is found more accurate in Anterior Nasal Spine, 'A' Point, Pogonion, Gonion, Porion, Prosthion and Orbitale than conventional cephalometry. 3.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both methods in Basion. 4. At test between the two methods by all the dentists reveals that xeroradiographic cephalometry is more accurate than conventional cephalometry.

  • PDF

제 I 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치료전후 PAR지수와 두부방사선계측치의 변화 (The Treatment Change of PAR(Peer Assessment Rating) Index and Cephalometric Measurements in Class I Malocclusion Patients)

  • 김현혜;이기헌;김종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77-284
    • /
    • 1999
  • 제 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PAR지수가 교정치료기간 및 측모두부방사선 계측 항목과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100명의 교정 환자의 치료 전후 석고모형에서 PAR지수를 구하고,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12개의 계측치를 측정하여 분석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료 기간은 발치 여부 및 치료전 PAR지수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2. ANB, FMA, FMIA, IMPA는 치료전 PAR지수와 치료전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치에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3. $\underline{1}$ to FP는 치료후 PAR지수와 치료후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치에서 순상관관계를 보였고 $\overline{1}$ to FP는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4. $\underline{1}$ to SN, IIA, $\bar{1}$ to FP는 ${\%}\;PAR$와 치료전후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치의 변화량과의 관계에서 순상관관계를 보였고 FMA, FMIA, WITS, UL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석고모형상의 치아관계에서 측정한PAR지수가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치 중 상하 전치와 관련된 항목과 연관이 있으며, 제I급 구치 관계를 보이는 환자중 ANB 값이 크고 hyperdivergent한 안모를 갖는 경우 치료전 PAR 지수가 큰 경향을 나타냄을 시사하였다.

  • PDF

측두 규격방사선사진 촬영시 두부의 위치변화가 확대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HE ENLARGEMENT RATIOS DUE TO CHANGES OF HEAD POSTURE ON LATERAL HEADFILMS)

  • 서영훈;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5-194
    • /
    • 2001
  • 측두 규격방사전사진 촬영시 피사체의 정중시상면과 필름의 평행관계가 유지된 상태에서 피사체의 수직회전 그리고 피사체의 정중시상면과 필름의 평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피사체의 수평회전에 따른 확대율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직회전 및 수평회전을 정밀하게 재현할 수 있는 입체적 기구를 제작하여 측두 규격방사선사진을 촬영한 후, 현상된 필름 상에서 선계측치 및 각도계측치에서의 확대율, 그리고 피사체의 정중시상면을 중심으로 한 좌우 대칭적인 해부학적 구조물 간의 거리차에 의한 확대율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측두 규격방사선사진을 촬영시 피사체의 정중시상면과 필름의 평행관계가 유지된 상태에서 두부 고정장치의 양측 귀꽂이를 중심축으로 한 수직회전은 모든 계측치의 확대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정중시상면의 수평회전이 커질수록 수평계측치에서는 대체로 확대율의 감소가 커지는 반면. 필름 우측의 수직계측치에서는 확대율의 점진적인 증가가, 좌측의 수직계측치에서는 확대율의 점진적인 감소가 나타나며, 동일한 회전량일 때 수직계측치에서보다 수평계측치에서 대체로 더 큰 차이가 나타나 측두 규격방사선사진의 촬영 시에는 피사체의 정중시상면과 필름과의 평행관계 유지의 중요성과 함께 피사체의 수평회전의 정도에 따른 필름의 부위별 확대율 변화의 유형을 숙지해야 할 것으로 가늠된다.

  • PDF

안면비대칭자의 하악골 악교정수술 후 정면 연조직 변화 예측을 위한 연구 (Prediction of frontal soft tissue changes after mandibular surgery in facial asymmetry individuals)

  • 황현식;;황정현;최학희;임회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52-264
    • /
    • 2008
  •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 환자의 악교정수술 시 경조직 이동에 따른 연조직 변화를 정면에서 평가함으로써 정면 얼굴 이미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안면비대칭이 동반된 하악골 수술 예정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정모 두부방사선규격사진과 얼굴사진(photo)을 술전 및 술후에 각각 같은 각도로 촬영한 후, 술전 및 술후의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경조직 계측점의 변화를, 얼굴사진을 이용하여 연조직 계측점의 변화를 수평 및 수직으로 구분하여 각각 측정한 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연조직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조직 변화와 경조직 변화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1 : 1 mean ratio 산출을 위하여 서로 상관성이 가장 높은 경조직 계측점을 연조직 계측점별로 선택한 결과 직하방에 있는 경조직보다는 다소 멀리 떨어져 있는 경조직 계측점이 선택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경조직 변화를 이용하여 연조직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회귀방정식을 연조직 계측점별로 산출한 결과 연조직 수평변화 예측에 경조직 수직변화도 사용되고 연조직 수직변화 예측에 경조직 수평변화도 사용되었으며, 수평과 수직변화 모두에서 가장 설명력이 높은 방정식은 연조직 menton에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하부 경조직 계측점과 상부 연조직 계측점의 비율을 이용하는 1 : 1 mean ratio 방법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회귀분석을 이용한 연조직 변화 예측은 임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면 이미지의 경우 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반드시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McNamara분석법에 의한 III급 부정교합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THE LATERAL CEPHALOMETRIC STUDY OF THE GROWING CHILDREN WITH CLASS III MALOCCLUSION BY MCNAMARA ANALYSIS)

  • 양규호;김지영;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12-420
    • /
    • 2001
  • 정상교합아동과 비교적 조기치료가 요구되는 III급 부정교합을 갖는 성장기 아동에서 측모 두부 방사선 계측치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전남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7세에서 9세사이의 III급 부정교합 아동 83명과 안모가 단정하고 정상교합을 갖는 광주지역 초등학생 84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방사선촬영을 하여 McNamara 분석법을 이용한 계측치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남아에서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교합자간의 계측치에서 Effective maxillary length, Maxillomandibular differential, Facial axis, Nasion perp to pogonion, Point A perp to Mx 1, A-Pog line to Mn 1의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2. 여아에서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교합자간의 계측치에서 Nasion Perp. to Point A(p<0.05), Effective Mandibular length, Effective Maxillary length, Maxillomandibular differential, Mandibular plane angle, Point A perp to Mx 1, A-Pog line to Mn 1의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3. Effective Mandibular length는 남아에서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교합자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여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그러나 Effective Maxillary length는 III급 부정교합자가 남녀 모두에서 정상교합자보다 유의성있게 짧았다(p<0.01). 4. Anterior lower facial height는 남녀 모두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교합자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남아와 여아의 계측치 비교에서 Anterior lower facial height와 Mandibular plane angle은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 교합자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 PDF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치관-치근 각도(Collum Angle)에 대한 연구 (MAXILLARY INCISOR CROWN-ROOT ANGLE(COLLUM ANGLE) IN DIFFERENT MALOCCLUSIONS)

  • 홍희숙;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53-463
    • /
    • 1995
  • 측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상악 중절치의 장축은 치근첨(Root Apex)과 절치단(Incisor Edge)를 연결한 선을 사용하지만 일부 부정교합 환자에서는 치관장축과 치근장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두장축이 이루는 각을 치관-치근각도(Collum Angle)라 하며, 이 각도는 교정치료의 진단 및 치료과정에 고려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 I 급 부정교합 환자 31명, 제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 30명, 제 II 급 2류 부정교합 환자 31명,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31명에서 치관-치근 각도를 계측하여 부정교합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측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사용되는 항목들과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치관-치근 각도의 평균값은 제 I 급 부정교합에서는 $3.11^{\circ}{\pm}3.54^{\circ}$, 제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는 $1.23^{\circ}{\pm}2.41^{\circ}$, 제 II급 2류 부정교합에서는 $3.77^{\circ}{\pm}4.39^{\circ}$, 제 III급 부정교합에서는 $3.90^{\circ}{\pm}4.08^{\circ}$ 이었다. 2. 제 II급 1류 부정교합군의 치관-치근 각도와 제 II급 2류, 제 III급 부정교합군의 치관-치근 각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3. 치관-치근 각도와 측모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에서 사용되는 다른 항목들과의 상관관계에서 제 I급 부정교합에서는 IMPA, 제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는 Wits, 제 II급 2류 부정교합과 제 III급 부정교합에서는 Overbite이 가장 큰 상관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