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만강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4초

두만강 하구 녹둔도의 위치 비정에 관한 연구 (Geographical Study on the Location of Nokdun-do in Lower Tuman River)

  • 이옥희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44-359
    • /
    • 2004
  • 본 연구는 과거 우리 선조들의 거주지였으나 현재는 러시아의 실효적 지배 하에 있는 녹둔도의 실체를 확인하기 위한 지리적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각종 역사자료의 해석과 지도 분석, 위성영상분석(Landsat 7 영상)과 그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한 현장답사를 병행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조선조까지 녹둔도는 두만강 하구에 있는 섬으로 북방방어의 전초기지였으며 경흥지방의 주민들이 개척한 경작지가 넓어 선조 때 일시 둔전도 설치되었던 우리의 영토였다. 조선 후기 러시아로의 연육과 북경조약으로 인해 부당하게 러시아 영토로 귀속되었지만. 스탈린에 의한 강제이주가 있기까지 녹둔도 일대는 여전히 우리 선조들의 삶의 터전이었고 실질적인 우리의 영역이었다. 지금은 두만강의 범람과 퇴적작용으로 하구의 지형이 크게 바뀌어 녹둔도 본래의 모습을 알 수 없으나, 고기록을 근거로 한 현장탐구 결과, 논밭의 이랑, 집터, 연자방아 등 우리 선조들의 자취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조선 초기에 구축된 토축(토성)으로 추정되는 구조물을 확인함으로써 초기 녹둔도의 정확한 위치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두만강 하류 사구의 분포와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Changes of Sand Dune at the Lower Reach of Duman River, North Korea)

  • 이민부;김남신;이광률;한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31-345
    • /
    • 2006
  • 본 연구는 두만강 하류 지역에 대규모로 발달한 사구 지형의 분포 및 지표 환경, 퇴적물의 특성, 기원 및 형성과정을 밝히고, 두만강 하류 일대의 하천 및 해안 환경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Landsat, Spot 영상을 이용하여 지표피복을 분석하고, 2회의 현지 야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입도분석 및 현미경 관찰을 통해 사구 퇴적물 시료를 분석하였다. 위성영상에서 파악된 사질퇴적지형 요소들은 삼각주, 사취, 이동사구, 정착사구, 사주, 사주피복 수변식생으로 구분되었다. 사구 퇴적물에 대한 입도 분석 결과, 조사 지역 중 가장 상류 쪽에 해당하는 DM3과 DM4에서 하성보다는 해성 모래와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현재 사구를 이루는 모래의 입도 특성이 두만강 하류 지역의 현재 자연환경을 반영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현미경 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풍화에 가장 강한 석영의 비율이 $65{\sim}83%$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30{\sim}40%$를 차지하는 광물 입자의 표면은 화학적 풍화를 받아 황색의 물질로 표면이 코팅되어 있으며, 물리 화학적 풍화에 의한 바늘 및 그물 모양의 거친 표면 형태와 에칭 피트가 나타난다.

훈춘시 토지 자원의 개발과 이용

  • 림철호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1992년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43-44
    • /
    • 1992
  • 훈춘시를 개발하고 건설함에 있어서 우선 전시의 토지자원이 명확히 장악되어야 한다. 개발과 건설에 수요되는 각 항 용지를 과학적으로 규획하는 것은 훈춘시와 전반 두만강 중하류지역의 대규모적인 개발의 토대로 된다. 본문은 세밀한 야외조사와 유관부문의 자료를 참작하여 훈춘시 토지자원의 개발과 이용문제에 대한 초보적인 연구를 하였다.(중략)

  • PDF

두만강 북안 상류 농촌마을 공간구조의 변화 -화룡시 숭선진 이수마을을 대상으로- (The Change of Spatial Structure of a Lishu Settlement on the Upper Reaches of Tumen Riverside in China)

  • 임금화;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83-90
    • /
    • 2006
  • 1) Lee-Su village is located in a riverside of an upper Tu-men river. Since an upper stream of Tu-men river is narrow and easy to pilot a boat, early in the past, it facilitated the form of the village near to the North Korean. 2) The form of the village is parabolic from the founding period. That is, increasing the number of houses in the time of the Cultural Revilution Campaign, and the Japanese colony, the village has transformed into the bigger size about 72 families from the small town.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due to private asset allowed in accordance with the Chinese Reform and Open Policy, the number of families in the town and the population have been decreased. As a result, 28 families live in the village currently. 3) The town which was well-order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s been changed to a very disordered and agricultural town, owing to the decrease of the families A road system has been also ruined naturally in accordance with the decline of the number of the families.

  • PDF

두만강 유역의 합리적인 수자원 개발방안 도출을 위한 2인 비영합 협력게임 적용 (Application of the cooperative two-person nonzero-sum game for water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Tumen river basin)

  • 박완수;이상은;박희경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3-72
    • /
    • 2010
  • This study aims to make a decision about the rational option for a multipurpose dams development of the Tumen river basin so that the adjoining countries will effectively deal with the chronic problems and fully satisfy the fast growing demand of water and power. It has been thus far investigated that the interest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closely depend on the selected option, and they are not well 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se situations are defined in terms of the cooperative two-person nonzero-sum game. The Nash bargaining model is then applied to contemplate the rational option, considering two scenarios of economic growth of the North Korea. After analyzing the model, it was expected that 1) two multipurpose dams must be cooperatively developed, and 2) their benefits should be allocated according to demand of each country. The authors finally suggest that a cooperative organisation be established to effectively manage the dams beyond the border of the countries.

위성강우와 글로벌 지형 자료를 이용한 미계측 지역 홍수터 침수모의 : 두만강 도문/남양 지역을 중심으로 (Inundation Analysis on the Flood Plain in Ungauged Area Using Satellite Rainfall and Global Geographic Data: In the case of Tumen/Namyang Area in Duman-gang(Riv.))

  • 최윤석;김주훈;김지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1-6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위성강우와 글로벌 지형자료를 이용하여 미계측 지역에 있는 홍수터에서의 홍수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두만강의 도문/남양 지역 홍수터에 대한 범람을 모의하고 대상 지역의 침수 상황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강우는 위성영상으로부터 유도된 강우 자료인 IMERG 자료를 이용하였다. 유출모의는 GRM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도문/남양 지역의 범람해석은 G2D 모델을 이용하였다. 홍수사상은 2016년 8월 태풍 라이언록으로 인해 발생된 홍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출모의 결과의 검증은 도문/남양 지역의 첨두유량 기록을 사용하였으며, 범람해석 결과의 검증은 현지답사를 통해 수집된 홍수상황과 홍수 전후의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유출모의 첨두유량은 7,639㎥/s로 기록된 첨두유량 7,630㎥/s와 약 0.1%의 상대오차를 나타내었다. 범람모의에서는 홍수발생 당시에 대한 상황 조사 자료 및 위성영상에서 확인된 침수 범위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도문/남양 지역의 홍수터에서 침수심의 변화와 침수시간을 평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방법과 연구결과는 향후 미계측 지역에서의 홍수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 국가의 주제명표목표에 나타난 한국의 국경관련 주제명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Subject Headings Related to Korean Border in the Subject Headings of Major Countries)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17-239
    • /
    • 2013
  • 주요 국가의 주제명표목표 즉, 전거레코드 파일에 수록되어 있는 한국의 국경관련 주제명의 실태 및 특성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한국의 국경관련 문헌이 소장되어 서지 레코드가 작성되어 있더라도 국경관련 주제명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다수 발견되고 있으며, 또한 프랑스의 경우 '압록강'과 '두만강', 스페인의 경우 '황해', '두만강', '백두산'에 관한 서지 레코드조차도 전혀 검색되지 않았다. 둘째, 우리가 실효적 지배를 하고 있는 '독도'에 대해서도 미국과 프랑스를 제외하고는 한국이라는 지명이 나타나 있지 않았다. 독일은 한국과 일본이라는 지명을 함께 표시하고 있다. 셋째, '동해' 관련 주제명에 대해서는 이미 대부분의 국가도서관 목록에서 '일본해'라고 표기하고 있으며, '황해' 관련 주제명에 대해서는 '황해'라고 표기하고 있다. 넷째, '압록강'과 '두만강'의 경우 대부분의 경우 중국식 발음으로 표기하고 있다. 다섯째, '백두산'의 경우 대부분 한국식 발음으로 표기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장백산'과 구분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장백산'을 '백두산'의 이형 접근점으로 표기하고 있다.

러시아 연해주 남서 지역 두만강 하류의 지속 가능한 개발 문제 (Issues on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Lower Tumen River, Southwest Primorskii Krai of the Russian Federation)

  • P. Ya. Baklanov;K. S. Lee;V. V. Ermoshin;S. S. Ganzei;O. H. Lee;H. S. Choe;J. S. Ahn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29-240
    • /
    • 2004
  • 본 연구는 러시아 연해주 남서지역에서 이 지역 특유의 생태적 다양성을 보호하면서 경제적 발전을 꾀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자연환경 조건과 천연자원 및 현재의 경제활동을 분석하였다. 경제 개발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이 지역 특유의 생물적 다양성을 보호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특히 두만강 하류 습지대의 생물적 다양성의 보호활동에 중점을 두고 기능지역 구획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주요 방안은 다음과 같다. 경제적으로 효과적이고 생태적으로 수용 가능한 형태의 활동(양식, 사슴 농장 휴양지 등)과 효율적인 지역 구획을 규정한다. 지역의 산업이나 경제개발에 제한을 둔다. 모든 토지 이용자들과의 협력 하에서 기능지역 구획을 세우고 기존의 여러 보호 구역들을 국제 생태 네트워크에 통합되는 단일 시스템으로 재조정함으로써 합리적인 토지이용 방안을 구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