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돼지고기시장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Export Strategies for the Pork Market in Hong Kong (홍콩 돼지고기 시장 수출전략)

  • Youn Sang, Choi;Yong Kwang, Shin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 Fisheries Research
    • /
    • v.24 no.4
    • /
    • pp.45-52
    • /
    • 2022
  • This study suggest strategies to expand pork exports to Hong Kong through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its pork market based on results from analysis on surveys on consumers and marketers. The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Hong Kong's consumers consider freshness and sanitation/safety of pork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ir purchase. The consumers are found to be very satisfied with Korean pork and have intension to purchase it in the future. The importers suggest that Korean pork should improve its price competitiveness and build up its brand images. Based on results of surveys, this study suggests four strategies, which are systematic disease controls, establishment of its brand image, effective quality and sanitation/safety management and government supports. And, as results from deriving economic effects of 2021 Korean pork export to Hongkong,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is 42.5 billion won and th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is 266 persons.

재래닭 생산물의 소비형태에 관한 조사연구

  • 한성욱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Poultry Science Conference
    • /
    • 1998.04a
    • /
    • pp.51-86
    • /
    • 1998
  • $\bigcirc$ 재래닭 생산물의 소비 및 구매형태 등에 대한 조사에서 종합적인 결론은 최종 소비자의 응답자는 총 2,250명이었으며 연령, 성별, 직업, 거주지, 주거형태, 가족수, 소득분포등이 비교적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판매업소의 특성은 지역별, 매장면적, 업주연령, 성별, 경력등에서 매장위치는 약 60%가 농촌이고 관광지 21.3%, 도시 19.0%순이였으며 매장 면적은 10-30평이 66.9%, 경력은 3년이하 27.4%, 3-5년 22.7%, 5-10년 22.2%였다. $\bigcirc$ 재래닭고기의 소비형태에서 육류선호도는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순이였으며 재래닭고기의 소비형태에서 전체 응답자의 64.4%가 먹어본 경험이 있었다. 주로 섭취시기는 74.5%가 여름철에 식구들과 같이 회식할 때 식사대용이나 부식용으로 섭취하였다. 소비자가 재래닭고기를 좋아하는 이유는 고기가 쫄깃쫄깃하여 씹는맛과 지방이 적으며 단백한 맛 때문에 독특해서 좋아한다고 하였으며, 싫어하는 이유는 너무 질기고 고기의 양이 너무 적다는 의견이 많았다. 선호하는 요리방법은 백숙, 삼계탕이었고 좋아하는 부위는 역시 다리부위였다. 재래닭고기의 섭취량에 대하여는 1회에 2인이 1마리를 먹는다가 36.4%, 3인이 1마리 31.8%로서 68.2%가 2-3인이 1마리를 먹는다고 하였으며, 가족구성원 중에는 가장이 제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igcirc$ 음식점에서 판매되는 요리한 재래닭의 1마리 가격에 대한 의견은 84.5%가 20,000원정도면 부담이 없이 먹겠다고 하였다. $\bigcirc$ 재래닭의 구입행동에서 구입주체는 주부였으며, 구입장소는 농.축협의 슈퍼와 정육점이었고 백화점과 재래닭 사육장에서 직접구입도 하고 있었다. 구입 동기는 가족들이 좋아하고 영양가를 생각한다가 62%였으며 구입정보는 주위사람의 권유로 구입하고 있었다. $\bigcirc$ 구입할 때 중점적으로 살펴보는 사항은 신선도와 순수재래종 여부, 위생상태였다. 한편 소비자가 언제나 구입할 수 없다는 의견이 85.2%나 되어 원활한 공급과 시장조성이 아직 정착되지 않고 있었다. $\bigcirc$ 현재 유통되고 있는 재래종닭은 소비자 대부분이 잡종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재래종과 일반육계와의 구별은 깃털색, 피부색, 정강이색등 외관상으로 구별하고 있었다. 체중에 대한 반응은 너무 작다는 의견이었고, 식품으로의 인식도는 비교적 고급식품으로 인식하고 있다. $\bigcirc$ 재래종닭고기의 브랜드화에 대한 견해는 젊고 소득이 높은 계층에서 브랜드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bigcirc$ 재래종달걀의 소비형태는 대부분의 소비자가 좋아하였으나 아직 먹어보지 못한 응답자가 많았다. 재래종달걀의 맛에 대해서는 고소하고 독특하여 차별성을 느끼고 있었다. $\bigcirc$ 재래종달걀의 구입장소는 계란판매점(축협.농협), 슈퍼, 백화점, 재래닭 사육 농장등 다양하였으며 포장단위는 10개를 가장 선호하였고, 포장재료는 종이, 플라스틱, 짚의 순으로 좋아하였다. $\bigcirc$ 달걀의 가격은 200원정도를 적정하다고 하였으며, 크기는 (평균 52g)는 가장 적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난각색은 대부분의 응답자가 갈색을 선호하였다. $\bigcirc$ 재래종달걀의 구입시 애로사항은 믿을수 없고, 구입장소를 몰라서, 값이 싸다 등이었고, 앞으로 신뢰할 수 있고 위생적인 생산 및 유통체계가 확립될 경우 더 많이 소비하겠다는 의견이었다. $\bigcirc$ 재래닭 판매업소(식당)의 판매형태는 66.7%인 대부분의 업소가 잡종과 개량종 유색닭을 판매하고 있었으며, 1개 업소에서 1일 판매수수는 5-10수의 영세한 판매형태였고, 계절적으로는 여름철에 대부분을 판매하였다. $\bigcirc$ 식당에서 판매하는 재래닭고기의 요리 종류는 주로 백숙이었고, 삼계탕, 닭볶음도 있었으며, 요리된 재래닭 1마리 가격은 20,000원 이상이었으며, 20,000원이하로 판매하는 잡종이 많았다. $\bigcirc$ 재래닭 판매업소에서 재래닭을 구입하는 방법은 재래닭 사육농장에서 1회에 수십마리 구입하여 판매업소의 간이 사육장에서 기르면서 판매하는 업소가 49.6%, 도계된 재래닭을 구입하여 판매하는 업소 26.9%, 직접 재래닭을 사육하면서도 도계하여 판매하는 업소가 21.7%였다. 판매업소에서의 재래닭 사육기간은 90일 이상이었으며 대부분의 업주는 야산에서 방사한 것을 좋게 생각하고 있었다.

  • PDF

Virulence Factor Profiles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Pork and Chicken Meats Obtained from Retail Markets (소매시장에서 판매하는 돼지고기와 닭고기에서 분리된 Escherichia coli의 병원성 인자)

  • Choi, Sun-Keum;Lee, Min-Hwa;Lee, Bog-Hieu;Jung, Ji-Youn;Choi, Chang-Sun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30 no.1
    • /
    • pp.148-153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rulence factor profiles of Escherichia coli strains isolated from pork and chicken meats purchased from retail markets in Korea. From 943 pork and 142 chicken meats, 217 isolates of E. coli were cultured. The presence of 11 virulence factors (elt, estI, estII, astA, stx, cdt, cnf, agg, inve, eae, afa) were detec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ty one (18.9%) of 217 E. coli isolates carried at least one virulence factor. Among 175 E. coli isolates from pork, the detection rate of astA, elt, eae, estII, estI, afa, and cnf were 6.9%, 4.6%, 4.6%, 4.0%, 2.3%, 1.1%, and 0.6%, respectively. However, stx, agg, and cdt were not detected in our isolates. Therefore, we conclude that astA is the most prevalent virulence factor in E. coli isolates contaminated in pork and chicken meats in Kore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helf-life of Domestic Exporting Pork (수출용 돼지고기의 유통기한 설정에 관한 연구)

  • 김영환;김일석;신대근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6 no.2
    • /
    • pp.188-193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quality of Korean pork regular loins and hams which m exported in Japanese market. The samples were stored at 0${\pm}$1$^{\circ}C$(A, B companies) and 2${\pm}$1$^{\circ}C$(C, D companies). In analysis of Korean pork exported to Japanese market, the pork of A and D companies showed below 10$\^$6/CFU/$\textrm{cm}^2$ of total aerobic bacteria at 40 days storage and panels felt off-flavor after 40 days. Therefore the edible period will be 40 days through the analysis of microbe and sensory test in porks of A and D companies. The porks of B and C companies showed over 10$\^$6/CFU/$\textrm{cm}^2$ of total aerobic bacteria at 50 days storage and panels couldn't feel off-flavor in sensory test after 50 days. Therefore the edible period will be 50 days through the analysis of microbe and sensory test in porks of B and C companies. As the results, shelf-life of A and D companies will be 32 days and B and C companies will be 40 days from edible period by a factor of 0.8. In analysis of stored pork for export in Korean market, the porks of A and B companies showed over 10$\^$6/CFU/$\textrm{cm}^2$ at 40 days storage and C and D companies did over 10$\^$6/CFU/$\textrm{cm}^2$ at 30 days storage in analysis of microbe. The pork of A and D companies showed 10$^4$CFU/$\textrm{cm}^2$ but B and C companies did 10$\^$5/CFU/$\textrm{cm}^2$ at 50 days in coliform count. Therefore shelf-life of the pork of A company was logest and the next were B and C, but shelf-life of the pork of D company was 20 days, therefore it was even shorter than the oth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