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해선풍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8초

동해안에서의 이상 고파 (Abnormally High Waves on the East Coast)

  • 정원무;오상호;이동영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5-302
    • /
    • 2007
  • 2006년 10월 $23{\sim}24$일 동해안 일대에서 발생한 이상 고파(高波)를 5개 지점에서 관측하고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바람 자료를 함께 이용하여 고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번 이상 고파는 높은 너울이 동해안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시점에 동해상에 발달한 온대성 저기압의 영향으로 동해선풍이 지속적으로 강하게 불어서 발생하였다. 5개 관측 지점 중 가장 북쪽에 위치한 속초에서는 최대 순간풍속 63.7 m/s의 강풍과 최대 유의파고 9.69 m, 첨두주기 12.8 s의 고파가 관측되었다. 이처럼 높은 파가 발생한 이유는 강풍이 부는 동안 높은 너울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었고 강풍이 너울의 진행과 같은 방향으로 불어서 너울과 풍파의 중첩에 의한 파고 상승 효과가 극대화되었기 때문이다. 동해안에서는 겨울철에 이러한 돌발성 폭풍파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대응 방침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위성관측에 의한 동해상의 폭발적 저기압의 고찰 (Reviewing the Explosively Deepening Cyclone(Cyclonic Bomb) over the East Sea with the Satellite Observations)

  • 정효상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6-138
    • /
    • 1996
  • 1995년 늦가을인 11월 6일에서 8일 사이에 우리나라로부터 동해상으로 이동하면서 폭발적으로 발달한 저기압을 종관자료와 위성영상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저기압은 중국북부에서 이동하여 한반도 국경 부근에서 경압성 구름(Baroclinic Leaf Cloud)으로 형태를 띠었고 동해상에서 컴마형(Comma) 구름으로 발달하였으며, 다시 저기압 최성기에 동반되는 Lambda형 구름으로 발달하였다. 여러 과학자들이 동해선풍에 대한 이동과 발달에 대한 수치모사에 따른 예보를 할 때 이런 저기압의 큰 경압성, 수증기의 지속적인 유입, 그리고 따뜻한 해양상으로 한파의 내습이 보편적으로 고려되는 것 들이다. 저기압의 중심기압이 24시간 내에 40hPa 이상 하강하는 이런 저기압은 겨울철에는 종종 강한 바람과 폭우나 폭설을 동반하곤 한다. 위의기간 중 12시간 연속적인 위성영상과 기상변수의 분석에 의하면 이 저기압과 관련하여 해면기압과 500hPa 기압고도의 중심은 기상위성의 합성된 강조적의영상을 사용하여 동쪽으로 이동한 전형적인 모습을 잘 묘사하고 있다. 열대성저기압의 강도와 중심기압을 가진 이런 저기압에 동반된 강풍은 60놋트로 북아메리카의 저기압폭탄이나 대서양 폭풍과 유사하게 하루에 44hpa나 중심기압이 떨어졌다.

우리나라 동해안 너울성 고파의 발생원인 분석 (Analysis of the Reason for Occurrence of Large-Height Swell-like Waves in the East Coast of Korea)

  • 오상호;정원무;이동영;김상익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01-111
    • /
    • 2010
  • 최근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겨울철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너울성 고파의 특성을 파랑 관측자료 및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동해안 너울성 고파는 중국 내륙에서 발생한 온대성 저기압이 동해상으로 진출하면서 중심기압이 낮아지고, 그 주변으로 강한 기압골을 형성하면서 동해상에 강한 북동풍 계열의 바람이 지속적으로 붊에 따라 발생하게 됨을 다양한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입증하였다. 최근 동해안에 큰 피해를 입혔던 너울성 고파 중에서 2005년 10월 및 2006년 10월에 내습한 너울성 고파는 풍파의 특성이 지배적이었던 반면, 2008년 2월의 너울성 고파는 풍파에 의해 1차적으로 파고가 상승한 후 주기가 더 긴 너울에 의해서 다시 2차적으로 파고 상승이 일어남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실측 파랑자료를 이용하여 추정된 우리나라 동해 연안역의 파력 부존량 비교 (Comparison of Wave Power Resources in the Coastal Zone of the Korea East Sea Estimated by Using Field Measurement Wave Data)

  • 정원무;오상호;이달수;이동영
    • 신재생에너지
    • /
    • 제3권3호
    • /
    • pp.28-35
    • /
    • 2007
  • In this study, the wave power resources at the three locations [Sokcho, Hupo, and Onsan] on the east coast of Korea were estimated by using the field measurement data and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It was found that seasonal variation of the wave power is very significant on the 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The wave power was the smallest in the summer season at all the locations. At Hupo and Onsan, the highest value of the monthly-averaged wave power was observed in September, probably because the pathways of typhoon in September were close to both locations. At the northest location, Sockcho, in contrast, the monthly highest value of the wave power appeared in January, probably owing to the influence of storm waves driven by Donghae twister. The estimated annual average wave power was 4.5 kW/m at Sokcho, which was about two times larger than those at other two locations. It is noteworthy that this resul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past researches based on wave hindcasting data. In addition, the estimates of wave power by the past researches seemed to be smaller than those of the present study, especially at the northern region of the east coast.

  • PDF

속초 연안의 장기 파랑관측 및 분석 (Long-term Wave Monitoring and Analysis Off the Coast of Sokcho)

  • 정원무;류경호;조홍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274-279
    • /
    • 2015
  • 동해 중부에 위치한 속초항 연안에서 약 11년간 취득한 파랑자료를 스펙트럼법과 파별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대표적인 파랑 특성을 검토하였다. 유의파고는 동계에 크고 하계에 작으며, 첨두주기도 동계에 길고 하계에 짧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관측된 최대 유의파고는 8.95 m 였으며 동해선풍에 의하여 발생되었다. 유의파고와 첨두주기 모두 그 분포 형태를 Generalized Gamma 및 Generalized Extreme Value 분포함수보다는 Kernel 분포함수가 보다 잘 재현하였다. 한편, 인근 해역에서의 설계 및 시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파고 자료를 월별 및 파고 구간별로 세분하고 누적출현율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