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통

검색결과 834건 처리시간 0.03초

측두하악장애 연구진단기준(RDC/TMD)를 이용한 측두하악장애의 근육성 동통과 관절성 동통 환자군의 비교 (Comparison of Myogenous and Arthrogenous Pain Patient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using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박주선;김동희;정진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4호
    • /
    • pp.233-24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근육성 동통 및 관절성 동통을 가진 측두하악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측두하악장애 연구진단기준(RDC/TMD) axis II 지수 및 관련 요소들을 비교하여 동통과 관련된 장애와 사회심리학적 상태 그리고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를 내원한 측두하악장애로 진단되어진 25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측두하악장애 연구진단 기준을 이용하여 근육성 동통군, 관절성 동통군, 근육성 동통과 관절성 동통을 모두 보이는 혼합형 동통군으로 분류한 뒤, 측두하악장애 연구진단기준 설문지를 이용하여 통증의 강도, 동통과 관련된 장애 일수, 만성통증척도, 우울 지수, 신체화 지수, 하악기능과 관련된 기능제한 등을 조사하였으며, 동통의 기간, 치료 기간 및 치료 효과 등 임상적 요소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구대상자의 17.5%가 근육성 동통군, 31.0%에서 관절성 동통군, 51.6%가 혼합형 동통군으로 분류되었다. 성별 분포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으나 세 그룹간의 연령 및 성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측두하악장애 각 통증군의 사회심리학적 상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0.01). 관절성 동통군에 비해 혼합형 동통군에서 통증의 강도, 동통과 관련된 장애 일수, 만성통증척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 우울 지수 및 신체화 지수는 관절성 동통군에 비해 근육성 동통군과 혼합형 동통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3. 하악기능과 관련된 기능제한은 각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최대 개구량은 근육성 동통군 환자보다 관절성 동통군 환자에서 작게 나타났다(p<0.05). 4. 관절성 동통군 환자들은 다른 동통군의 환자들에 비하여 적은 수에서 만성 동통의 경향을 보였으며 (p<0.01), 혼합형 동통군의 환자들은 다른 동통군의 환자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p<0.01). 5.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치료 효과는 신체화 지수와 높은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beta}$=-0.251, p<0.05)

근막동통과 분사신장요법 (Myofascial Pain, and the Spraying and Stretching Technique)

  • 김병국;임영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5권3호
    • /
    • pp.325-329
    • /
    • 2000
  • 근막동통은 발통점과 중추흥분효과가 나타나는 국소적 근육성 동통이다. 발통점은 근육의 일부나 건 부착점에 나타나는 부위로서 단단한 띠로서 느껴지고 촉진시 통증을 유발한다. 통증은 관련된 발통점의 위치에 따라 연관된 부위에 나타난다. 이러한 근막 발통점에 따른 증상은 약한 기능이상부터 일상생활이 어렵게 되는 정도의 심한 통증까지 다양하다. 이의 발생에는 국소적 근육이상, 심부 동통, 심리적 스트레스의 증가, 수면장애와 전신적인 요인들도 관여한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보존적인 처치로써, fluoro-methane 같은 vapocoolant spray를 사용하는 사용하여 분사신장하는 방법이 있으며, 국소적인 주사, 마사지, 초음파, 온열요법등이 있다. 여러 환자에서 근막동통을 가지는 환자에 분사신장요법을 시행한 결과 대부분 환자에서 증상의 개선을 보였다. 근막동통의 치료시 분사신장요법은 매우 보존적인 처치로 임상가의 적용과 접근이 쉬우며, 환자로 하여금 치료에 따른 불안감을 줄이면서 만족을 느낄 수 있는 치료로 사료된다. 그러나 만성 환자의 경우 분사신장요법의 치료결과에 대한 만족도가 높지 않았다. 분사신장 용법은 근막동통을 가진 환자 모두에서 효과적이지는 않으나 치료의 도입으로, 근막동통을 진단시에 일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정한 보존적인 용법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치과의사 및 치과대학생의 측두하악장애와 만성 동통에 관한 개념과 지식

  • 정성창;김영구;김수용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5권1호통권332호
    • /
    • pp.34-42
    • /
    • 1997
  • 한국에 있는 치과병원의 전공의 및 대학원생과 치과 대학생의 측두하악장애와 만성 동통에 관한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대, 연세대, 경희대, 이화여대, 단국대, 원광대, 강남 성심 병원 전공의 및 대학원생 217명과 서울대, 연세대 치과 대학 3,4학년 학생 2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병태 생리, 정신 생리, 만성 동통, 및 정신과적 장애에 관한 전공의 및 대학원생과 치과 대학생의 응답과 미국 측두하악장애 및 만성동통 전문가의 응답을 비교하였는데, 정신 생리학적 및 정신과적 장애 항목에 대한 전공의 및 대학원생들과 치과 대학생들의 개념과 지식은 미국 측두하악장애 및 만성 동통 전문가들의 개념 및 지식과 유사하였으나, 병태 생리와 만성 동통 항목에서는 미국 측두하악장애 및 만성 동통 전문가들의 개념 및 지식에 미치지 못하였다.

  • PDF

악안면 동통환자의 치료

  • 정성창;김영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0권12호통권283호
    • /
    • pp.876-878
    • /
    • 1992
  • 사회가 복잡다단 하여짐에 따라 스트레스의 증가는 각종 정신신체질환의 발현빈도를 증가시켜 악구강 영역에서도 악관절 동통을 포함한 광범위한 악안면 동통을 유발하고 있다. 악안면 동통 환자의 치료시에는 수술과 같은 비가역적(관혈적) 치료방법을 선택하기에 앞서 환자에 손상이 적고 경제적 부담도 적은 가역적(보존적)치료 방법을 우선 선택하여야겠다. 이에 본 악안면 동통 진료실에 방법 및 그 증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악안면 동통환자의 치료

  • 정성창;김영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0권9호통권280호
    • /
    • pp.636-637
    • /
    • 1992
  • 사회가 복잡다단 하여짐에 따라 스트레스의 증가는 각종 정신신체질환의 발현빈도를 증가시켜 악구강 영역에서도 악관절 동통을 포함한 광범위한 악안면 동통을 유발하고 있다. 악안면 동통 환자의 치료시에는 수술과 같은 비가역적(관혈적) 치료방법을 선택하기에 앞서 환자에 손상이 적고 경제적 부담도 적은 가역적(보존적)치료 방법을 우선 선택하여야겠다. 이에 본 악안면 동통 진료실에 방법 및 그 증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악안면 동통환자의 치료

  • 정성창;김영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0권10호통권281호
    • /
    • pp.712-713
    • /
    • 1992
  • 사회가 복잡다단 하여짐에 따라 스트레스의 증가는 각종 정신신체질환의 발현빈도를 증가시켜 악구강 영역에서도 악관절 동통을 포함한 광범위한 악안면 동통을 유발하고 있다. 악안면 동통 환자의 치료시에는 수술과 같은 비가역적(관혈적) 치료방법을 선택하기에 앞서 환자에 손상이 적고 경제적 부담도 적은 가역적(보존적)치료 방법을 우선 선택하여야겠다. 이에 본 악안면 동통 진료실에 방법 및 그 증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만성 구강안면 동통의 기전

  • 김연중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3권10호통권317호
    • /
    • pp.706-711
    • /
    • 1995
  • 만성적인 동통은 오늘날까지도 의학 이나 치의학 분야에 있어서 고질적인 문제로 남아 있다. 그러나, 부단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기전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이었기 때문에 환자를 집접 치료해야 하는 임상가들도 치료를 위해서 이렇다할 해결책이 없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만성동통 환자의 증가로 인해,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활발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아직도 의문점들이 풀려가고 있다. 우리가 치과의사로서 흔히 접하는 급성 동통과는 달리, 만성 동통이 유지되는 기전을 이해하려면 다음에 소개할 몇가지 중요한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 PDF

악안면 동통환자의 치료

  • 정성창;김영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0권11호통권282호
    • /
    • pp.788-789
    • /
    • 1992
  • 사회가 복잡다단 하여짐에 따라 스트레스의 증가는 각종 정신신체질환의 발현빈도를 증가시켜 악구강 영역에서도 악관절 동통을 포함한 광범위한 악안면 동통을 유발하고 있다. 악안면 동통 환자의 치료시에는 수술과 같은 비가역적(관혈적) 치료방법을 선택하기에 앞서 환자에 손상이 적고 경제적 부담도 적은 가역적(보존적)치료 방법을 우선 선택하여야겠다. 이에 본 악안면 동통 진료실에 방법 및 그 증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측두하악관절장애를 가진 환자에서의 삶의 질의 평가 (Evaluation of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정진숙;허윤경;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2호
    • /
    • pp.127-139
    • /
    • 2006
  • 측두하악관절 장애를 가진 환자를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와 관절강 내 동통을 가진 환자 그룹으로 구분하여, 두 그룹사이의 동통의 정도나 기간의 차이, 그리고 수면질의 차이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총 61명의 환자는 관절강 내 통증을 가진 환자 24명과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 37명으로 구성되었다. 상기 환자들은 첫 내원 시 맥길 통증설문지(McGill Pain Questionnaire), 피츠버그 수면 질 평가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F-36 (Medical Outcome Study 36 Item Short Form Health Survey)을 작성하고 치과적 병력과 의과적 병력을 기록한 후, 전반적인 측두하악관절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두 그룹 사이에는 동통의 강도나 기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6개월 이상 측두하악관절장애를 가지는 환자 중에서는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가 관절강 내 동통을 가지는 환자보다 SF-36의 평균과 정신적인 부분에서의 점수에서 낮은 수치를 보인다(p<0.05). 피츠버그 수면 질 평가에서는 평사시의 수면 효율면에서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 ($1.9459{\pm}0.8481$)가 관절강내 동통을 가지는 환자 ($1.375{\pm}0.9237$)에 비해 낮은 효율을 보인다. 또한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군에서 피츠버그 수면 질 평가의 총점이 5이상인 나쁜 수면질을 가지는 군은 맥길 통증 설문지, SF-36에서 높은 동통 정도와 낮은 삶의 질을 가지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는 전체적인 삶의 질을 나타내는 SF-36에서는 감정적인 문제로 인한 역할의 제한, 생활력, 신체적 동통에서 관절강 내 동통을 가진 환자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삶의 질이 특히 정신적인 면에서 손상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노인의 만성동통 유무에 따른 건강상태 및 일상활동장애 비교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Activities for the Pain and No-pain Groups in the Elderly)

  • 김효정;김명애;박경민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4권1호
    • /
    • pp.79-89
    • /
    • 1999
  • 본 연구는 동통이 있는 노인 집단과 동통이 없는 노인 집단간의 제 특성, 건강상태와 일상 생활 장애정도와 비교해서 노인 동통관리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였다. 연구대상은 대구시 일부 저소득층 아파트 밀집지역의 가정노인 189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1997년 11월 6일부터 11월 16일까지 였으며 가정 및 복지기관을 방문하여 대상자와 일대일 면접으로 면접자가 직접 기록하였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국내 외 동통관련문헌을 고찰후 노인의 동통특성을 잘 나타내는 문항을 선택하여 작성하였다. 질문내용은 일반적 특성 7문항, 현재 건강상태에 관한 1문항, 지난 1년간 동통경험유무에 관한 1문항, 동통이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장애에 관한 5문항, 총 1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 Program으로 전산처리 하였으며 동통유무별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동통유무별 건강상태의 차이와 일상생활활동 장애정도의 차이검증을 위해 ${\chi}^2$ 검증을 이용하였다. 1. 전체 대상자수(N=189)에 대해 지난 1년간 동풍을 경험한 대상차 (N=158)의 비율은 83.6%였고 동통 경험이 없는 자(N=31)의 비율은 16.4%였다. 2. 성별 동통호소율은 남자에서 69.5%(N=41), 여자에서 90.0%(N=117)의 분포를 나타내 여자가 남자보다 훨씬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chi}^2$=12.448, df=1, P=.000) 3. 배우자 유무에 있어서는 '유'가 동통호소 집단에서 40.7%인 반면 비동통집단에서 73.3%로 더 많았고 '무'가 비동통집단에서 26.7%인 반면 동통호소집단에서 59.3%로 더 많아 두 집단간 배우자 유무분포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chi}^2$=10.736, df=1. P=.001) 4. 교육수준은 국문해독가능여부에 따라 '문맹'과 '국문해독가능'으로 측정한 결과 동통호소집단에서 운맹 비율(49.0%)이 높은 반면 비동통집단에서는 국문해독가능한 자의 비율(86.7%)이 더 높아 두 집단간 교육수준분포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chi}^2$=13.020, df=1, P=.000) 5. 직업에 있어서는 전일제 또는 시간제로 작업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동통호소집단에서 7.0%인 반면 비동통집단에서 32.3%로 직업을 가지지 않은 사함의 비율이 동통호소집단에서 더 높아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chi}^2$=18.807, df=2, P=.000) 6. 주관적인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분포에서, 동통호소집단은 건강 16.5%임에 비해 불건강은 61.4%이며 비동통집단은 각각 64.5%, 6.5%를 차지해, 동통호소집단에서 불건강호소률이 높아 두 집단간 건강상태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chi}^2$=40.055, df=1, P=.000) 7. 일상생활 장애정도에 대한 동통호소집단과 비동통집단의 비교에서는 동통호소집단이 비동통호소집단에 비해 활동량 감소율(${\chi}^2$=57.829, df=1, P=.000), 수면장애율(${\chi}^2$=12.785, df=1, P=.000), 근무, 집안일, 용무 등 일상생활을 잘 수행하지 못하는 비율(${\chi}^2$=39.196, df=1, P=.000), 친척이나 친구가 집에 방문했을 때 잘 응대하지 못하는 비율(${\chi}^2$=13.163, df=1, P=.000), 취미생활이나 오락활동과 같은 즐거운 일을 하지 못하게 되는 비율(${\chi}^2$=28.177, df=1, P=.000)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