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통

Search Result 83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Comparison of Myogenous and Arthrogenous Pain Patient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using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측두하악장애 연구진단기준(RDC/TMD)를 이용한 측두하악장애의 근육성 동통과 관절성 동통 환자군의 비교)

  • Park, Joo Sun;Kim, Dong Hee;Chung, Jin Wo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7 no.4
    • /
    • pp.233-242
    • /
    • 201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psychological profile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o compare treatment outcomes between myogenous pain and arthrogenous pain subgroup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based on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RDC/TMD). Two hundred and fifty two patients diagnosed as TM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RDC/TMD axis I diagnostic guidelines; myogenous pain group, arthrogenous pain group, and mixed pain (both myogenous pain and arthrogenous pain) group. RDC/TMD histor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each patient and depression, somatization, jaw disability, pain intensity, disability days, and graded chronic pain scale were analyzed. Bruxism, clenching, insomnia, headache, and unilateral chewing were assessed in a standardized TMD dysfunction questionnaire and the duration of onset, chronicity of pain, treatment period,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and improvement of symptoms also analyzed. Myogenous pain group had higher depression (p=0.002), and somatization scales (p<0.001) than the arthrogenous pain group. Mixed pain group showed higher pain intensity (p=0.008), disability days (p<0.001), graded chronic pain scale (p=0.005), somatization (p<0.001), and depression scores (p=0.002) than the arthrogenous pain group. Jaw disabil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p=0.058). Arthrogenous pain group reported more limitation of mouth opening than myogenous pain group (p=0.007). Duration of onset showed that the arthrogenous pain group had lowest prevalence of chronicity among three groups (p=0.002). Mixed pain group patients showed lowest symptom improvements among three groups (p=0.007).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treatment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matization score (${\beta}$=-0.251, p=0.03).

Myofascial Pain, and the Spraying and Stretching Technique (근막동통과 분사신장요법)

  • Kim, Byung-Gook;Lim, Young-Gwa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5 no.3
    • /
    • pp.325-329
    • /
    • 2000
  • 근막동통은 발통점과 중추흥분효과가 나타나는 국소적 근육성 동통이다. 발통점은 근육의 일부나 건 부착점에 나타나는 부위로서 단단한 띠로서 느껴지고 촉진시 통증을 유발한다. 통증은 관련된 발통점의 위치에 따라 연관된 부위에 나타난다. 이러한 근막 발통점에 따른 증상은 약한 기능이상부터 일상생활이 어렵게 되는 정도의 심한 통증까지 다양하다. 이의 발생에는 국소적 근육이상, 심부 동통, 심리적 스트레스의 증가, 수면장애와 전신적인 요인들도 관여한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보존적인 처치로써, fluoro-methane 같은 vapocoolant spray를 사용하는 사용하여 분사신장하는 방법이 있으며, 국소적인 주사, 마사지, 초음파, 온열요법등이 있다. 여러 환자에서 근막동통을 가지는 환자에 분사신장요법을 시행한 결과 대부분 환자에서 증상의 개선을 보였다. 근막동통의 치료시 분사신장요법은 매우 보존적인 처치로 임상가의 적용과 접근이 쉬우며, 환자로 하여금 치료에 따른 불안감을 줄이면서 만족을 느낄 수 있는 치료로 사료된다. 그러나 만성 환자의 경우 분사신장요법의 치료결과에 대한 만족도가 높지 않았다. 분사신장 용법은 근막동통을 가진 환자 모두에서 효과적이지는 않으나 치료의 도입으로, 근막동통을 진단시에 일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정한 보존적인 용법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치과의사 및 치과대학생의 측두하악장애와 만성 동통에 관한 개념과 지식

  • Jeong, Seong-Chang;Kim, Yeong-Gu;Kim, Su-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5 no.1 s.332
    • /
    • pp.34-42
    • /
    • 1997
  • 한국에 있는 치과병원의 전공의 및 대학원생과 치과 대학생의 측두하악장애와 만성 동통에 관한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대, 연세대, 경희대, 이화여대, 단국대, 원광대, 강남 성심 병원 전공의 및 대학원생 217명과 서울대, 연세대 치과 대학 3,4학년 학생 2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병태 생리, 정신 생리, 만성 동통, 및 정신과적 장애에 관한 전공의 및 대학원생과 치과 대학생의 응답과 미국 측두하악장애 및 만성동통 전문가의 응답을 비교하였는데, 정신 생리학적 및 정신과적 장애 항목에 대한 전공의 및 대학원생들과 치과 대학생들의 개념과 지식은 미국 측두하악장애 및 만성 동통 전문가들의 개념 및 지식과 유사하였으나, 병태 생리와 만성 동통 항목에서는 미국 측두하악장애 및 만성 동통 전문가들의 개념 및 지식에 미치지 못하였다.

  • PDF

악안면 동통환자의 치료

  • Jeong, Seong-Chang;Kim, Yeong-Gu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0 no.12 s.283
    • /
    • pp.876-878
    • /
    • 1992
  • 사회가 복잡다단 하여짐에 따라 스트레스의 증가는 각종 정신신체질환의 발현빈도를 증가시켜 악구강 영역에서도 악관절 동통을 포함한 광범위한 악안면 동통을 유발하고 있다. 악안면 동통 환자의 치료시에는 수술과 같은 비가역적(관혈적) 치료방법을 선택하기에 앞서 환자에 손상이 적고 경제적 부담도 적은 가역적(보존적)치료 방법을 우선 선택하여야겠다. 이에 본 악안면 동통 진료실에 방법 및 그 증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악안면 동통환자의 치료

  • Jeong, Seong-Chang;Kim, Yeong-Gu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0 no.9 s.280
    • /
    • pp.636-637
    • /
    • 1992
  • 사회가 복잡다단 하여짐에 따라 스트레스의 증가는 각종 정신신체질환의 발현빈도를 증가시켜 악구강 영역에서도 악관절 동통을 포함한 광범위한 악안면 동통을 유발하고 있다. 악안면 동통 환자의 치료시에는 수술과 같은 비가역적(관혈적) 치료방법을 선택하기에 앞서 환자에 손상이 적고 경제적 부담도 적은 가역적(보존적)치료 방법을 우선 선택하여야겠다. 이에 본 악안면 동통 진료실에 방법 및 그 증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악안면 동통환자의 치료

  • Jeong, Seong-Chang;Kim, Yeong-Gu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0 no.10 s.281
    • /
    • pp.712-713
    • /
    • 1992
  • 사회가 복잡다단 하여짐에 따라 스트레스의 증가는 각종 정신신체질환의 발현빈도를 증가시켜 악구강 영역에서도 악관절 동통을 포함한 광범위한 악안면 동통을 유발하고 있다. 악안면 동통 환자의 치료시에는 수술과 같은 비가역적(관혈적) 치료방법을 선택하기에 앞서 환자에 손상이 적고 경제적 부담도 적은 가역적(보존적)치료 방법을 우선 선택하여야겠다. 이에 본 악안면 동통 진료실에 방법 및 그 증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만성 구강안면 동통의 기전

  • Kim, Yeon-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3 no.10 s.317
    • /
    • pp.706-711
    • /
    • 1995
  • 만성적인 동통은 오늘날까지도 의학 이나 치의학 분야에 있어서 고질적인 문제로 남아 있다. 그러나, 부단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기전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이었기 때문에 환자를 집접 치료해야 하는 임상가들도 치료를 위해서 이렇다할 해결책이 없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만성동통 환자의 증가로 인해,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활발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아직도 의문점들이 풀려가고 있다. 우리가 치과의사로서 흔히 접하는 급성 동통과는 달리, 만성 동통이 유지되는 기전을 이해하려면 다음에 소개할 몇가지 중요한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 PDF

악안면 동통환자의 치료

  • Jeong, Seong-Chang;Kim, Yeong-Gu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0 no.11 s.282
    • /
    • pp.788-789
    • /
    • 1992
  • 사회가 복잡다단 하여짐에 따라 스트레스의 증가는 각종 정신신체질환의 발현빈도를 증가시켜 악구강 영역에서도 악관절 동통을 포함한 광범위한 악안면 동통을 유발하고 있다. 악안면 동통 환자의 치료시에는 수술과 같은 비가역적(관혈적) 치료방법을 선택하기에 앞서 환자에 손상이 적고 경제적 부담도 적은 가역적(보존적)치료 방법을 우선 선택하여야겠다. 이에 본 악안면 동통 진료실에 방법 및 그 증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of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측두하악관절장애를 가진 환자에서의 삶의 질의 평가)

  • Jung, Jin-Suk;Hur, Yun-Kyung;Choi, Jae-Kap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1 no.2
    • /
    • pp.127-139
    • /
    • 2006
  • Objectives: To explore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to evaluate it in terms of source and duration of the pain. Methods: A total of 61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pain source, they were divided into 2 groups, masticatory muscle pain (MMP) group and intracapsular pain (ICP) group. And each group was divided into acute phase group (pain duration <6 months) and chronic phase group (pain duration=6 months). The Medical Outcomes Study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was used to measure patients' quality of life. The scores for eight-scale profile and the physical component summary (PCS) and mental component summary (MCS) of the SF-36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MMP vs. ICP and acute vs. chronic). Student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scores of the SF-36 between MMP and ICP groups. Results: MMP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 in the 3 scales of the SF-36 (Role limitations due to emotional problems, Vitality, Bodily pain) when compared to ICP group. In acute pha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MP and ICP group in PCS as well as MCS scores, but in chronic phase MMP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MCS score than ICP group. Conclusions: The masticatory muscle pain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negatively influences the quality of life especially in chronic phase, and the mental components of quality of life are significantly interfered in the TMD patients with chronic masticatory muscle pain.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Activities for the Pain and No-pain Groups in the Elderly (노인의 만성동통 유무에 따른 건강상태 및 일상활동장애 비교)

  • Kim, Hyo-Jung;Kim, Myung-Ae;Park, Kyung-Mi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4 no.1
    • /
    • pp.79-8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health status and activities for the pain and no-pain groups in the elderly. The study subjects included 189 elderly people(65 years and older) living in an urban area. They were surveyed at their homes through interview using a closed-ended questionnaire from Nov. 6th. to Nov. 16th. 1997. The instrument used in the study was selected after carefully reviewing pain-related articles and records well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square tes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Of the 189 subjects, 83.6% reported experiencing the pain for the last year. By the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ain and no-pain group(${\chi}^2$=9.572, p=.023). The percentage of the pain complainers was the highest in 80 years and older(100.0%), followed by 70~74(89.1%), 75~79(81.3%), 65~69(76.8%) which presented crude increase according to age. By sex, men had lower pain prevalence(69.5%) than that of women(90.0%). The number of pain complainers was higher in women than men(${\chi}^2$=12.448, p=.02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ain and no-pain groups by spouse distribution(${\chi}^2$=10.736, p=.001), educational state(${\chi}^2$=13.020, p=.000), occupation(${\chi}^2$=18.807, p=.000). Pain prevalence in the subjects having no spouse(59.3%) was higher than those having spouse(40.7%), Illiteracy rate was higher in pain group(49.0%) than no-pain group(13.3%). The number of the subjects having occupation(full time or part time) was fewer in pain group than no-pain group. By health statu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chi}^2$=40.055, p=.000). : the pain group showed poor(61.4%), followed by moderate(22.1%), good(16.5%) while no-pain group showed good(64.5%), moderate(29.0%), poor(6.5%). By activ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ain and no-pain groups. The pain group was disturbed more severely than the no-pain group in movement(${\chi}^2$=57.829, p=.000), sleep(${\chi}^2$=12.785, p=.000), usual activities(${\chi}^2$=39.196, p=.000), receiving guests(${\chi}^2$=13.163, p=.000), and hobbies and recreation(${\chi}^2$=28.177, p=.00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