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체부 측면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남성의 동체부 체형분류(제2보) -측면체형의 분류 및 정면과 측면 체형의 조합- (Classification of Men's Somatotype According to Body Shape and Size(Part II) -Classification of Side View and Compound of Front and Side View-)

  • 정재은;김구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443-1454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body type of adult males into several kind of shape and to provide the characteristics of size of each group which has same shape. As the sample, subjects were 1290 males of 20 to 54 year-old. The procedure and results were follows; 1. As the result of the previous reserch, the front line of body was classified in X, H, Y and A types. 2.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used to obtain the shape factor of the side line of the trunk. 9 factors in the side were extracted. As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of factor scores, the side line of body was classified in 5 types. It was named X, A, Y and H type in the front and S, D1, d, I and D2 type in the side. 3. In order to consider the shape of body as a whole, the body shape of the front and side were compounded. The whole body shapes of adult male were very various, and 6 body shapes, XS, YS, Yd, YI, AD2 and HD1 were selected as the basic types. In each type of body, several groups were classified by size factor, height and chest girth and master size was selected considering appearance frequency.

과학적 실행의 회색상자(grey box): 비/가시적 협력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로서의 실험실 공간 (The Grey Box of Technoscientific Practices: Laboratory as a Heterotopic Space where In/visible Collaborations Take Place)

  • 이준석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1-39
    • /
    • 2013
  • 과학적 실행에서 기술과학자들의 협력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과학의 주변부에 위치지어진(situated) 한국의 기술과학자들은 실험실에서 맥락화된 형태로 협력연구를 하게 된다. 이러한 협력은 실험실의 블랙박스를 열기 전에는 보이지 않다가, 논쟁 토론 공동연구 하청 등의 특정한 상황 하에서는 가시성을 획득하여 화이트박스가 된다. 그리고 해당 상황이 종료되면 다시 블랙박스화가 이루어져 기술과학자 본인들과 외부의 관찰자 모두에게 비가시적이 된다. 블랙박스가 열리고 닫히는 이 과정은 실험실 공간에서 순간순간 서로 겹쳐진 형태로 무수히 발생하여 매 단계 이를 구분하는 것이 어려울 정도이며, 실험실에서 과학적 실행의 결과로 정돈된 불변의 동체가 생성되는 과정을 블랙박스화의 과정으로 본 크노르-세티나나 린치, 라투어-울가 등의 분석은 지나치게 단층적이고(single-layered) 실제 상황을 충분히 잘 묘사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실험실에서의 협력은 가시성과 비가시성을 동시에 갖는 비/가시적 특성을 지니며, 이는 블랙박스와 화이트박스를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한 회색상자에 가깝기 때문이다. 또 이러한 기제의 작동 공간인 실험실은 푸코가 주장한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로서 기능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