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족마을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동족마을의 자연 환경과 사회.경제의 변화: 상곡마을과 수촌마을을 중심으로 (Natural Environments and the Change of Social-economic Conditions in the Clan Villages: In Case of Sanggok and Suchon Clan Village, Kyongbuk Region)

  • 박규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70-295
    • /
    • 2010
  • 본 연구는 성주와 고령에 위치한 두 동족마을의 자연 환경과 사회 경제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동족마을의 위치와 자연환경은 마을 내 외부와의 관계, 자연 재해, 생산 활동, 주민의 의식 등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둘째, 1970년대 이후 인구의 감소는 상곡과 수촌의 두 동족마을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두 마을의 자녀 출생과 주민의 도시이주를 통해서 잘 알 수 있다. 셋째, 1970년대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는 동족마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대구광역시와 맞닿아 있는 상곡마을은 1990년대 이후 대구광역시의 외연적 팽창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다. 이에 반해 가야산계에 가까이 위치한 수촌마을은 참외를 상업적 작물로 재배하게 됨에 따라 전통적 동족마을의 모습이 변하게 되었다. 넷째, 마을의 농업상태에 대해 상곡과 수촌마을 주민의 인식에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 두 마을의 주민은 농촌이 직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자신들이 살고 있는 마을의 사회 경제 상황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였다.

  • PDF

경남(慶南) 산간지역(山間地域) 전통(傳統)마을의 공간구성(空間構成)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A Study on the Spatial Organization in the Traditional Village among the Mountains in Gyeongnam)

  • 이상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10
    • /
    • 2001
  • This paper analyses the spatial organization in the traditional village among the mountains that is well preserved in the original form as a cultural heritage. The subject of research materials are important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n the housing form and the traditional village pattern in Kimbong-li, Bongsan-myun, Habchun-gun, Gyeongsangnam-do. From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form and village pattern in the specific region, and collect data which can keep cultural heritage in the original form.

  • PDF

한국 근대 주거 및 취락의 공간적 질서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Layout of Modern Settlements in Hwangjon Korea)

  • 이현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호
    • /
    • pp.197-202
    • /
    • 1997
  • In this study, we surveyed historical housing settlements of Hwangjon in Bonghwa-a clan village in Youngnam district which was formed in the Chosun Dynasty. We observ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patial layout of clan villages, the water flows and the family hierarchies as follows; (1) when a clan village was initially formed, the water flow, which is the phylosophical foundation of Poong Soo,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determining the original location; (2) as villages prosper, the water flow and the family hierarchy stil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following geological locations; (3) in modern age, however, the water flow and the family hierarchy lost the role in detrmining the geological locations; (4) consequently, in present days, each household becomes isolated from the village. Reflecting on these observations, for village to be maintained, we conclude that we need novel practical and cohesive village forming drives that can replace the water flows and the family hierarchy in the past.

  • PDF

아산 외암마을 일원의 변화과정 추적을 통해 본 문화경관상(文化景觀相) (Shape of Cultural Landscape in Oeam Village, Asan by Investigating Changes)

  • 이창훈;이원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88-97
    • /
    • 2017
  • 본 연구는 아산 외암마을을 대상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문화경관상(文化景觀相)을 살펴 마을의 소경관(素景觀)의 형성배경과 시기별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암기(巍巖記)"를 비롯한 여러 문헌에서 언급되는 외암마을의 주변 지형과 경관요소의 내용에서 과거 선인들에게 인식되었던 소경관의 내용을 확인하였고, 지형분석을 통해 외암마을이 형성되기 전에 흐르던 자연수계와 마을 내 인공수로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분석하였다. 둘째, 외암마을의 경관변화를 특정 지을 수 있는 (1) 예안 이씨 동족촌의 확장기, (2) 마을 경관에 큰 변화가 없이 주민 간에 유기체적 관계를 형성하며 마을이 유지된 정체기, (3) 국가정책에 의해 마을 경관모자이크가 가장 크게 변하는 변화기, (4) 문화재 지정 이후 보존을 원칙으로 한 관광활용을 도모하는 보존 활용 시기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셋째, 과거 마을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였던 지역은 마을의 동쪽에서 서측으로 이동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과거에는 마을의 동측지역에서 마을의 생성과 확장의 과정에서, 농업을 중심으로 한 기능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마을이 산업화와 관광화의 외부간섭을 받는 과정에서 마을의 서측에 위치한 진입부로 마을 주요 기능을 담당하는 중심지가 변화하는 양상을 파악하였다. 외암마을의 과거모습의 이해를 위한 문헌발굴과 해석을 통한 진정성 규명 연구가 병행되어야 하며, 마을 내 세부 경관요소의 변화과정과 특성비교 등의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전통주거지 조영에서 나타난 안동지방 동족반촌마을권의 형성과정 과 배경요인 (Formation Process & Background Factor of a Sphere of the Traditional Clan Villages in Andong Area of the Yi-Dynasty)

  • 이학동;최종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8-79
    • /
    • 1992
  • This is a study of Sadaebu(previllaged class in a Yi-Dynasty士 大夫) clan villages in the Andong Area with emphasis on Formantion Process of development. The purposes an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 1. To review the process and the background fo growth of Myung-Mun-Se-Ga(名文大家:the traditional famed & mighty clans) in Yi-Dynasty, in cases of Andong(安東) province. 2. To analyze about formation process of a sphere of their homogeneous clan villages, and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sphere. 3. To identity the background factor of formation of their sphere of traditional clan villages in Andong province.

  • PDF

아산 외암마을 토속경관의 문화유산적 가치 (The Landscape Value of Asan Oeam-ri's Folk Village as Cultural Heritage)

  • 신상섭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1호
    • /
    • pp.30-51
    • /
    • 2011
  • 근대화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수많은 농촌마을은 문화경관적 건전성을 상실한 채 변질이나 해체과정을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충청남도 아산에 위치하는 외암마을(국가지정 문화재 중요민속자료 제236호,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은 신전통주의 부흥을 추구하며 지속성을 유지한 채 한국의 대표적인 민속마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외암마을은 예안이씨 동족마을로 500여년의 긴 역사 동안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지속성과 건전성을 지켜온 민속마을로서 문화유산적 가치 측면에서 'Outstanding Universal Value'의 필요충분조건을 갖춘 토속경관 사례이다. 유교적 문화경관 지표물(종가, 사당과 묘역, 신도비, 정려와 송덕비, 정자 등)과 다양한 민간신앙 요소(장승과 솟대, 당산목, 산신당, 마을숲 등), 그리고 유 무형의 생활문화(활발한 문중활동과 엄정한 조상숭배 의례, 가계계승의식, 공동체 농경문화 및 생태환경의 보존 등)를 지속성있게 전승함으로써 전통시대 양반촌을 상징하는 보편성과 완전성, 그리고 진정성을 유지한 채 정체성을 표출하고 있다. 특히, 동아시아의 독특한 환경설계원리인 풍수지리적 관점에서 마을을 자리 잡기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한 정주공간(nature + economy + environment + community)을 구축함으로서 토속성 짙은 문화경관을 완성한 사례가 되는데, 외암오산(광덕, 설아, 송악, 월라, 면잠)과 외암오수(용추, 인곡, 반계, 역천, 온정)와 같은 광역 생태문화경관의 보전과 같은 자연환경의 절제, 그리고 생태환경의 질서와 문화적 가치를 중시하는 환경관(capacity + healthy + sustain-ability)을 결합하여 지속성과 진정성을 지켜나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외암마을 토속문화경관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록기준 IV(인류역사의 발달단계를 보여주는 뛰어난 유형의 건축물이나 건조물 집합체 또는 조경유산)와 V(뛰어난 유형의 전통 인간 거주지 또는 급격한 변화로 파괴의 위험에 직면한 문화의 대표적 유산으로서 토지에 기반을 둔 유산)의 범주에 포함되는 우리나라 공동체 사회의 대표적 사례가 된다.

동족(同族)마을의 설촌(設村)시기에서 나타난 입지(立地)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dition of Location According to the Formed Time in the Clan Village)

  • 박명덕;박언곤
    • 건축역사연구
    • /
    • 제1권1호
    • /
    • pp.68-87
    • /
    • 1992
  • This study is the conditions of location according to formed the times in the clan vill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the 15th century, the characterestics of the village established residencial place where mountain stream flowed surrounded by the mountain and deep in the mountains with superior quality land. That's because Sa-dae-bu put equal importance on beautiful scenery and practical benefit for living. Stream House provided economical foundation for Sa-dae-bu to be able to keep confucial manners by putting limit their economic status to small medium sized land owner. Topographical condition such as valley or hollow separated from the exterior maintained unification of consanguineous village in self sufficient farming society and held on to independent territory against external to be able to stay away from turbulent days so that they formed residential area of Sa-dae-bu clan. And the valley where flowed clean water was considered as the connection of continuous place where distinctiveness of form in each curve and and factor of calm and dynamic scenery of the clean stream. Scholars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located in the utopia as place for confucious retirement to study, a place for refinement by combination with the nature or as a way of spacial practice based on Confucious view of nature. 2. in the 16th-l7th century, Most of existing consanguineous villages adopt deep in the mountains for refuge. at that place, upward rank was established by settlement of the ancestor who entered in the village first, the principal wa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and since descendants became numerous, it was serialized as the space of descendants. So, it was arranged in the order of social rank. Most of the villages showed development step by step started from precaution by apperance of the mountain to the lower part. It's because the topography of valley around the village worked as the natural hedge against external force and genealogy of the clan, regularity of social status, order of entrance into the village were reflected into residencial destribution. Also, order of the rank coincided with the one of aspects on geomancy. Genealogical rank within the village represented spacial rank. Houses of descendants and branch families were placed lower than the principal which showed worship to the principal. 3. In 18th century after, as the village was settled nearby cultivated land considering economical loss caused by long distance between residencial area and cultivated land, direction of sect followed by development of village expanded from the front part of the village to the rear part. The principal that was poped out to the front presented frontage over exterior. Therefore, residencial area of branch families expanded to the rear starting from the principal. This represented a slice of social structure at that time. after 18th century, spirit was percieved superior over material, After then, development of cultivation and expantion of land created difference of economic strength within one village. In order to maintain and show off the status of Yang-ban, economic power of indigenous land owner became fundamental, so, sense to worship and to keep the principal became weak eventually. Taking advantage of that situation, residencial area of branch family expanded to the rear part of the principal which showed dual disposition conflicted with each other. However, these clan rules were destroyed and new rules were created after 18th century because of the situation and consciousness at that ti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