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작 분류

Search Result 50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mplementation of a Human Body Motion Pattern Classifier using Extensions of Primitive Pattern Sequences (프리미티브 패턴 나열의 확장에 의한 사람 몸 동작 패턴 분류기의 구현)

  • 조경은;조형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75-478
    • /
    • 2000
  • 사람의 몸 동작을 인식해야하는 여러 응용분야에서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이 분야로의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사람의 비언어적 행동을 자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인식기 개발에 관한 것으로 실세계 3 차원 좌표값을 입력으로 하는 사람 몸 동작 패턴 분류기의 구현방법을 소개한 것이다. 하나의 사람 몸 동작은 각 몸 구성 성분(손, 아래팔, 위팔, 어깨, 머리, 몸통 등)의 움직임을 조합해서 정의한 수가 있기 때문에 개별적인 각 몸 구성성분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조합해서 임의의 동작을 판별하려는 방법을 적용한다. 사람 몸 동작 패턴 분류기는 측정된 실세계 3 차원 좌표 자료를 양자화한 후 xy, zy 평면에 투영한 값을 자자 구한다. 이 결과를 각각 8 방향 체인 코드로 바꾸고 2 단계 체인 코드 평활화 사업을 하여, 4 방향 코드 체적화 및 대표 코드로의 압축단계를 거친다. 이로서 생성된 프리미티브 패턴나열들을 동작 클래스별로 분류하여 프리미티브 패턴나열의 확장으로 각각의 식별기를 구축하여 각 몸 구성 성분별 동작들을 분류한다. 일련의 실험이 행해져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으며, 차후에 이 분류기는 비언어적 행동 분석을 위한 사람 몸 동작 인식기의 전처리 단계로 사용되어진 것이다.

  • PDF

Motion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Deep Learning (딥 러닝을 사용한 동작 감지 및 분류)

  • Kim, Jiwoon;Kim, Dahui;Kim, Dong Hyun;Jang, Seung Soon;Cho, Hee Je;Han, Yeoung Jin;Kim, Jeong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205-207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deeo learning)을 이용하여 x, y, z 세 축의 가속도계 측정 값을 이용하여 5가지 동작을 분류하고, 5가지의 동작이 아닌 다른 동작이 들어왔을 때 아닌 동작이라 판단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으로는 동작 데이터 각 샘플 마다의 동작을 분류한 개별 판단을 적용하여 5가지 동작을 분류하고 5가지 동작이 아닌 다른 동작이 들어왔을 때 검출하도록 한다.

  • PDF

영상 분류를 위한 준지도 학습 기법의 분류와 동작 원리의 이해

  • Chae, Mun-Ju;Park, Jae-Hyeon;Jo, Seong-In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7 no.2
    • /
    • pp.10-18
    • /
    • 2022
  • 본 고에서는 준지도 학습의 개념과 목표 그리고 대표 기법들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 알아본다. 구체적으로, 영상 분류를 위한 준지도 학습 기법을 크게 label propagation 기반 기법과 representation learning 기반 기법으로 나누고, 이 두 가지 기법들의 특성을 분석하고, 대표 기법들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영상 분류 문제에서 위 두 가지 접근법들의 대표 기법들의 성능을 평가한다.

Artificial Neural Network based Motion Classification Algorithm using Surface Electromyogram (표면 근전도를 이용한 Artificial Neural Network 기반의 동작 분류 알고리즘)

  • Jeong, E.C.;Kim, S.J.;Song, Y.R.;Lee, S.M.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 /
    • v.6 no.1
    • /
    • pp.67-73
    • /
    • 2012
  • In this paper,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based motion classification algorithm is proposed to classify wrist motions using surface electromyograms(sEMG). surface EMGs are obtained from two electrodes placed on the flexor carpi ulnaris muscle and extensor carpi ulnaris muscle of 26 subjects under no strain condition during wrist motions and used to recognize wrist motions such as up, down, left, right, and rest. Feature is extracted from obtained EMG signals in time domain for fast processing and used to classify wrist motions using ANN. DAMV, DASDV, MAV, and RMS were used as features and accuracies of motion classification based on ANN were 98.03% for DAMV, 97.97% for DASDV, 96.95% for MAV, 96.82% for RMS.

  • PDF

Activity Recognition based on Accelerometer using Self Organizing Maps and Hidden Markov Model (자기 구성 지도와 은닉 마르코프 모델을 이용한 가속도 센서 기반 행동 인식)

  • Hwang, Keum-Sung;Cho, Sung-B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245-250
    • /
    • 2008
  • 최근 동작 및 행동 인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특히, 센서가 소형화되고 저렴해지면서 그 활용을 위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많은 행동 인식 연구에서 사용되어 온 정적 분류 기술 기반 동작 인식 방법은 연속적인 데이터 분류 기술에 비해 유연성 및 활용성이 부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속적인 데이터의 패턴 분류 및 인식에 효과적인 확률적 추론 기법인 은닉 마르코프 모델(Hidden Markov Model)과 사전 지식 없이도 자동 학습이 가능하며 의미 깊은 궤적 패턴을 클러스터링하고 효과적인 양자화가 가능한 자기구성지도(Self Organizing Map)를 이용한 동작 인식 기술을 소개한다. 또한, 그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해 실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류 성능을 분석 및 평가한다. 실험에서는 실제 가속도 센서를 통해 수집된 숫자를 그리는 동작의 성능 평가 결과를 보이고, 행동 인식기 별 성능과 전체 인식기별 성능을 비교한다.

  • PDF

Analysis of User Head Motion for Motion Classifier of Motion Headset (모션헤드셋의 동작분류기를 위한 사용자 머리동작 분석)

  • Shin, Choonsung;Lee, Youngho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2 no.2
    • /
    • pp.1-6
    • /
    • 2016
  • Recently, various types of wearable computers have been studied.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ead motion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motion classifier produced motion headset that the user can use while listening to music. The prototype receives music from smart phone over bluetooth communications, and transmits the mo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to the smart phone. And the smartphone classifies the motion of the head through a motion classifier. we implemented a prototype for our experiment. The user's head motion "up", "down", "left" and "right" were classified using a Bayesian classifier. As a result, in case of the movement of the head "up" and "down", there are a large changes in the x, z-axis values. In future we have a plan to perform a user study to find suitable variables for creating motion classifier.

Development of Gesture Classification system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신경망을 이용한 동작 패턴 분류 시스템의 개발)

  • Ha, Sang-Hyung;Lim, Sung-Bin;Choi, Woo-Kyung;Seo, Jae-Yong;Jeon, Hong-Tae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6.06a
    • /
    • pp.793-79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동작 패턴 분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며 3축의 자이로(각속도) 및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모듈과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동작 패턴을 분류해 주는 신경망 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 PDF

Activity Data Modeling and Visualization Method for Human Life Activity Recognition (인간의 일상동작 인식을 위한 동작 데이터 모델링과 가시화 기법)

  • Choi, Jung-In;Yong, Hwan-Seu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8
    • /
    • pp.1059-1066
    • /
    • 2012
  •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Smartphone contains diverse functions including many sensors that can describe users' state. So there has been increased studies rapidly about activity recognition and life pattern recognition with Smartphone sensors. This research suggest modeling of the activity data to classify extracted data in existing activity recognition study. Activity data is divided into two parts: Physical activity and Logical Activity. In this paper, activity data modeling is theoretical analysis. We classified the basic activity(walking, standing, sitting, lying) as physical activity and the other activities including object, target and place as logical activity. After that we suggested a method of visualizing modeling data for users. Our approach will contribute to generalize human's life by modeling activity data. Also it can contribute to visualize user's activity data for existing activity recognition study.

Effective Pose-based Approach with Pose Estimation for Emotional Action Recognition (자세 예측을 이용한 효과적인 자세 기반 감정 동작 인식)

  • Kim, Jin Ok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2 no.3
    • /
    • pp.209-218
    • /
    • 2013
  • Early researches in human action recognition have focused on tracking and classifying articulated body motions. Such methods required accurate segmentation of body parts, which is a sticky task, particularly under realistic imaging conditions. Recent trends of work have become popular towards the use of more and low-level appearance features such as spatio-temporal interest points. Given the great progress in pose estimation over the past few years, redefined views about pose-based approach are needed. This paper addresses the issues of whether it is sufficient to train a classifier only on low-level appearance features in appearance approach and proposes effective pose-based approach with pose estimation for emotional action recognition. In order for these questions to be solved,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pose-based, appearance-based and its combination-based features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scenario of various emotional action recognition.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pose-based features outperform low-level appearance-based approach of features, even when heavily spoiled by noise, suggesting that pose-based approach with pose estimation is beneficial for the emotional action recognition.

EEG Feature Classification for Precise Motion Control of Artificial Hand (의수의 정확한 움직임 제어를 위한 동작 별 뇌파 특징 분류)

  • Kim, Dong-Eun;Yu, Je-Hun;Sim, Kwee-B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5 no.1
    • /
    • pp.29-34
    • /
    • 2015
  • Brain-computer interface (BCI) is being studied for convenient life in various application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changing electroencephalography (EEG) for precise motion of a robot or an artificial arm. Thre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performed three-task: Grip, Move, Relax. Acquired EEG data was extracted feature data using two feature extraction algorithm (power spectrum analysis and multi-common spatial pattern). Support vector machine (SVM) were applied the extracted feature data for classification. The classification accuracy was the highest at Grip class of two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patients required prosthetic limb using EE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