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물실험모델

검색결과 463건 처리시간 0.03초

Polycarprolacton으로 표면 수식된 나노 산화철 조영제의 합성에 관한 연구

  • 박동규;박지애;장용민;강덕식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3년도 제8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35-35
    • /
    • 2003
  • 목적: 나노 산화철 입자 및 생고분자인 PCL(Polycarprolacton)로 표면 코팅한 T2 MR 조영제를 합성하고 동물 종양 모델을 이용하여 In vivo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FeC1_2$.$4H_2$O와 $FeC1_3$.$6H_2$O을 무게비를 1:2로 정량하여 첨가하고 NaOH 혹은 TMAOH로 pH를 조절한후 PCL를 첨가하여 magnetite가 생성되는 동시에 고분자로서 코팅을 한후 증류수로 여러번 씻어준다. TEM, SEM, DLS 및 IR spectroscopy와 SQUID등을 측정하여 최종 반응물의 입자크기, 자성, 코팅 상태등을 평가하였다. 최소의 입자크기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실험 조건을 찾기 위해 반응온도, 코팅할 고분자의 함량, 교반속도별로 실험하여서 최적의 조건을 찾으려 하였다. 토끼의 간에 VX2 암종을 이식한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PCL로 표면 코팅된 나노자성체의 in vivo 영상 특성을 알아보았다.

  • PDF

Rat의 실험적 건망 모델에 있어 항치매 효과물질의 약효 검색에 관한 연구

  • 이영근;류항묵;김옥희;양지선;이숙영;노용남;강석연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61-161
    • /
    • 1993
  • 중추 Cholinergic성 신경계 작용약의 유발한 치매동물 모델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흰쥐에 Scopolamine, Physostigmine 및 생약을 반복 투여하였을 때의 active avoidance에 미치는 영향을 단회 투여하여 가역적인 작용을 가질때의 영향과 비교하고 이때 대뇌피질에서의 Cholinergic성 신경계의 활성 변화를 측정하여 중추 Cholinergic성 신경계의 학습, 기억 과정에서의 역할 및 나아가 치매의 발생 원인 및 발병 져로 규명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6 주된 Wistar계 웅성 래트에 Cholinergic성 신경계 작용약인 Scopolamine(1 mg/kg), Posostigmine (0.1mg/kg)과 생약인 Ginseng Total Saponine(100 mg/kg), 오미자 추출물 (150 mg/kg)등을 단독 혹은 병용으로 피하와 복강내로 7 일간 반복 투여하면서 Shuttle Box를 이용하여 Active Avoidance 의 습득율을 측정하고 이후 실험동물을 단두치사하여 대뇌피질 영역에서의 Acetylcholine 농도와 Acetylcholinesterase 활성 변화를 Chemi luminosence 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PDF

당뇨병(糖尿病)의 실험문헌적(實驗文獻的) 고찰(考察) (A Literatural Study on Diabetes)

  • 김영기;임종국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27-46
    • /
    • 1999
  • 소갈(消渴)과 당뇨병(糖尿病)에 대한 약침(藥鍼)의 응용(應用)을 약재(藥材) 및 침구(鍼灸)와 비교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해당되는 동물실험논문을 실험목적과 실험방법을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실험동물로는 백서(白鼠), mouse, 가토(家兎), KK mouse가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제공되었다. 2. 당뇨병(糖尿病)유발방법은 화학물질인 alloxan, streptzotocin, interleukin-$1{\beta}$, epinephrine, et hanol 등과 동물모델인 KK mouse가 이용되었음이 조사되었다. 3. 관찰항목은 혈중(血中) glucose, insulin, 체중(體重), 요량(尿量), 음수량(飮水量), 췌장(膵臟)의 조직변화 등을 가장 우선적으로 측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소갈(消渴)과 당뇨병(糖尿病)의 관계에 대한 정설이 필요하며 당뇨병(糖尿病)은 중소(中消)보다는 하소(下消)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하여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5. 당뇨병(糖尿病)에 대한 약침(藥鍼)의 실험방법론에 대한 깊이있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환경적용이 수면장애 모델 쥐의 혈중 멜라토닌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Environmental Application on Blood Melatonin Density in Sleep Disordered Rats)

  • 장상훈;김동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16
    • /
    • 2017
  • 목적 : 본 연구는 수면장애 동물모델 쥐에게 환경변화를 적용하였을 때, 혈 중 멜라토닌의 변화를 통하여 수면장애 개선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경북 소재의 동물실험실에서 실험을 진행하였고 수면장애 모델의 흰쥐 26마리에게 적용하였다. 3일간 환경변화를 적용한 실험군과 일반 케이지에서 환경변화를 적용받지 못한 대조군의 수면장애 모델 쥐 각각 13마리의 혈 중 멜라토닌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수면장애 모델 쥐에게 환경변화를 적용한 결과, 환경 적용 후 실험군에서는 3일간 일별 멜라토닌 농도의 변화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 대조군은 3일간 일별 멜라토닌 농도의 변화는 약간의 증가는 있었지만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p=.212). 환경 적용 전, 후 멜라토닌 농도의 변화는 실험군,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실험군에서는 멜라토닌 농도의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고, 대조군에서는 멜라토닌 농도의 유의미한 감소가 있었다. 결론 : 수면장애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환자들에게 적용되어지는 환경적용이 수면장애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동물모델을 제작하였고 인간의 환경변화와 유사한 환경변화를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면장애의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미세전류치료가 아주반트 유도 류마티스관절염 유발 흰쥐의 인터루킨-6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current Therapy on Interleukin-6 Expression in Adjuvant Induced Rheumatoid Arthritis Rat Model)

  • 이현민;이상열;장종성;이명희;강종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51-558
    • /
    • 2010
  • 연구목적 : 미세전류 자극이 아주반트로 류마티스 관절염을 유발한 실험동물의 염증반응과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동물의 발허리발가락관절내 염증반응 정도를 나타내는 인터루킨-6(interleukin-6)의 발현과 핫플레이트(hot plate)를 이용한 발도피지연시를 측정하여 미세전류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실험동물은 무작위로 대조군(n=18)과 미세전류를 적용한 실험군(n=18)으로 구분하였고, 각 군당 6마리씩 1일군, 7일군, 14일군으로 배정하였다. 류마티스 관절염 유발후 1일, 7일, 14일에 모든 실험동물의 열통각 역치를 나타내는 발도피지연시와 발허리발가락관절내 인터루킨-6의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각 집단 내의 기간에 따른 발도피지연시와 인터루킨-6의 면역반응성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분석으로는 Duncan의 다중범위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주반트 주사 1일후,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인터루킨-6 면역반응성과 발도피지연시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2) 인터루킨-6 면역반응성은 아주반트 주사 7일, 14일 후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5). 3) 발도피지연시는 아주반트 주사 7일, 14일 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5). 결론 : 이상의 결과로부터, 미세전류 자극이 아주반트로 유발된 류마티스관절염 모델에서 활액 조직내 염증반응을 감소시키고 열통각역치는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ECD TG데이터를 이용한 그래프 기반 딥러닝 모델 분자 특성 예측 (Toxicity prediction of chemicals using OECD test guideline data with graph-based deep learning models)

  • 황대환;임창원
    • 응용통계연구
    • /
    • 제37권3호
    • /
    • pp.355-380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OECD test guideline 데이터를 이용하여 graph기반 딥러닝 모델들의 성능을 비교하고자 한다. OECD TG는 화학물질들이 인체와 환경에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해 시험하는 방법이며, 많은 실험이 동물실험을 통해 독성을 확인한다. 동물실험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며, 윤리적 이슈가 있어 대안을 찾거나 최소화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딥러닝은 화학물질을 활용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독성예측 분야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graph 기반 모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우리의 목표는 OECD TG 데이터에 대한 graph기반 딥러닝 모델들의 성능을 비교하여 가장 성능이 좋은 모델을 찾는 것이다. 우리는 OECD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 eChemportal.org에서 OECD TG를 따른 결과를 수집하였으며, 전처리 과정을 통해 학습이 불가능하거나 부적절한 화학물질은 제거하였다. 수집된 OECD TG데이터와 화학물질 특성 예측 성능의 벤치마크 데이터셋인 MoleculeNet 데이터를 활용하여 5개의 graph기반 모델들의 독성 예측 성능을 비교하였다.

비허대서흡수공능적개변급운비치료적작용연구(脾虛大鼠吸收功能的改變及運脾治療的作用硏究) -비허(脾虛)의 동물모델 Rat의 흡수력 변화 및 운비법(運脾法)의 치료효과에 대한 연구

  • 손원령;해정군;축명걸;주위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55-259
    • /
    • 2001
  • 본 연구는 운비요법(運脾療法)이 脾虛 동물모델 Rat의 흡수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혈평(利血平)으로 Rat의 비허(脾虛) 상태를 유발시킨 다음 최초로 비허(脾虛) 상태에서의 혈청 중 Zn 및 소장검막의 구조변화를 관찰하였고, 임상적으로는 소아의 편식증, 영양실조성 빈혈, 반복적인 소아감염증상(RRI) 등에 대한 운비법(運脾法)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청결상태로 관리한 체중이 220-240g의 Wester계 웅성 Rat 15마리를 무작위로 각 5마리씩 정상군, 비허군(脾虛群), 중약투여군에 배분하여 3group으로 나누었다. 비허군과 중약투여군에는 모두 이혈평(利血平)을 소량으로 서서히 투여하였고, 중약투여군에는 동시에 중약 시럽(당장(糖漿))을 경구투여시켜 3주간 실험관찰하였다. 결과 : (1) 섭취량(g/일/마리) : 정상군은 22.1, 비허군(脾虛群)은 9.04, 중약투여군은 17.3으로 각각 나타났다. (2) 체중(g) : 정산군은 $284.2{\pm}32.51$, 비허군(脾虛群)은 $193{\pm}15.26$, 중약투여군은 $231.8{\pm}22.76$으로 각각 측정되었다. (3) 혈청 중 Zn함량(ug/1) : 정상군 $1911{\pm}993.8$, 비허군(脾虛群) $1094{\pm}249.4$, 중약투여군 $2599.8{\pm}1282.1$로 각각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중약투여군의 섭취량, 체중 및 혈청 중 Zn의 함량 모두 대조군에 비교하여 현저하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4) 소장의 정막구조 : 비허군(脾虛群)은 정상군에 비해 소장의 점막이 현저하게 얇고 융모상 돌기가 오그라들며 퇴화되는 변화를 나타냈고, 일부 융모상 돌기 끝의 상피세포는 국소적 괴사 및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중약투여군은 이에 비해 소장점막이 거의 정상에 가깝게 회복되었다. 결론 : 운비요법(運脾療法)은 비허(脾虛) 동물모델에 대한 흡수기능의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본 실험에서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동물 실험을 적용한 국내 간호 연구 동향 분석 (Use of Animals for Nursing Research in Korea)

  • 유해영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7권4호
    • /
    • pp.324-330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in Korea of nursing research using animals. Methods: 45 articles were review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from 2000 to 2015. Results: Nearly 50% of the studies were supported by research funds. Most of the animal species in the studies were rats (81.1%) and mice (15.6%). The major animal models for human disease were cerebrovascular diseases (24.4%), skin problems (17.8%), and nerve injuries (15.5%). Immunohistochemistry (24.3%) was mainly used as an experimental technique. The main intervention and treatments used in the studies were chemical treatments, exercise and surgery. Conclusion: In this review, relevant results were described to identify the trends of nursing research using animal experimentation in Korea. Expansion of various nursing research using animal models can be required for gaining knowledge applicable to the same conditions in hum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