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굴 내부 온도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Variation of Air Temperature Inside Carbonate Area Caves (석회암 지역에 분포하는 동굴의 내부 온도 변동 특성)

  • Kim, Lyoun;Park, Youngyun;Lee, Jonghee;Choi, Jaehun;Jung, Qyusung;Kim, Jungtae;Kim, Insu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3 no.1
    • /
    • pp.52-63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air temperature fluctuation inside the Daegeumgul, Ondaldonggul, and Seongnyugul Caves, which are the most representative limestone caves in Korea, and also to assess the effects of air temperature on cave temperature. Temperature was measured hourly at three sites in Daegeumgul, Ondaldonggul, and Seongnyugul Caves from April 13 to June 25, 2019. Additionally, air temperature data for the areas around the caves was provided by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Using this collected data, the basic statistical measure of fluctuation characteristics over time was ascertained, and time series analyses were performed. Wide variation of temperature was exhibited in the order of the cave entrance, the cave water inflow point, and the midpoint. Cave temperature was observed to increase gradually during the study period. There was a vast range in temperature at the Daegeumgul station located approximately 150 m outside the cave, but it remained nearly constant beyond the midpoint. Although the effect of air temperature was not significant due to the influence of visitors, the effect of air temperature on cave temperature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entrance to the interior. At Ondaldonggul, there was a wide range in temperature recorded at the entrance due to the influence of air temperature, but it stayed almost constant in the interior. However, at the site where cave water flows into the cave, temperature was influenced by the cave water temperature. At Seongnyugul, there was a distinct fluctuation in temperature recorded at the cave entrance, while the middle of the cave remained nearly constant. Temperature fluctuated due to the air temperature at the entrance, while at the middle of the cave, measurements were expected to be affected to a greater extent by the lake water temperature than by the air temperature. However, this pattern was not observed.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analysis results, in all caves, fluctuations of air temperature affected cave temperature after approximately one hour. Cave size and structure, water presence, the entrance's size and shape, air flow, and visitor patterns can all influence cave temperature. Therefore, consideration of these factors is very important in the pursuit to clearly understand cav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온달굴 내부의 생물상에 관한 연구

  • 남궁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3 no.34
    • /
    • pp.41-52
    • /
    • 1993
  • 본 동굴은 엣적 부터 널리 알려져 온 동굴로써 원명은 "남굴"이였던 것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는 과정에서 "온달굴"로 개칭되었다. 원래의 동굴입구는 협소하였으며 내부에서 다량의 지하수류가 일출하고 있었으므로 평상시에는 입굴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윤년이 든 1, 2월에는 건수가 되어 촌민들이 상당히 깊숙한 내부에까지 들어갈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동굴 내부는 많은 파손과 오염이 된 바 있었다.(중략)

  • PDF

석회동굴의 일반적 특성

  • 류충걸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11a
    • /
    • pp.115-116
    • /
    • 1994
  • 1. 서론 2. 동굴의 일반적 특성 1). 우리나라의 자연동굴에는 석회동굴과 화산동굴, 그리고 해식동굴이 주가 되고 있다. 2). 이 자연동굴들은 편재적으로 분포되고 있으며, 석회동굴은 반도부에. 화산동굴은 제주도에 해식동굴은 해안에 분포한다. 3). 대체로 석회동굴은 고기암층에서 형성되어 그 경관이 웅대한 것이 대부분이고 화산동굴은 용암의 유동성과 관계되어 장대한 것이 특징이다. 4). 석회동굴에서는 화려하고 웅대하나 그 규모가 큰 것이 적다고 하겠으나 화산동굴은 세계굴적인 규모인 동굴이 많다. 5). 특히 협재굴, 황금굴, 표선굴 등과 같은 것은 화산동굴이나 2차생성물이 발달되어 있는 특이한 동굴이다. 6). 동굴의 기온은 지표의 기온에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 것은 아니나 대체로 경도와 해발고도에 관계되고 있다. 7). 하리절의 동굴내 기온의 차는, 높은 위치에 있는 동굴의 기온이 낮은 위치에 있는 동굴보다 그 기온이 높게 나타난다. 8월의 고씨굴은 $16^{\circ}C$ 기온으로 나타났는데 같은 날 용연굴의 기온은 $17^{\circ}C$로 나타났다. 8). 동굴입구에서 깊은 내부의 대기의 기온차는 동벽의 온도와 거의 비슷하게 된다. 즉. 그 지층의 구조암석인 석회암의 기온에 지배되며, 이 온도는 거의 지표의 년간 평균온도와 비슷하다.(중략)

  • PDF

우리나라 동굴의 일반적 특성

  • 홍현철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2.07a
    • /
    • pp.31-32
    • /
    • 1992
  • 1. 서론 2. 동굴의 일반적 특성 1). 우리나라의 자연동굴에는 석회동굴과 화산동굴, 그리고 해식동굴이 주가 되고 있다. 2). 이 자연동굴들은 편재적으로 분포되고 있으며, 석회동굴은 반도부에, 화산동굴은 제주도에 해식동굴은 해안에 분포한다. 3). 대체로 석회동숙은 고기암층에서 형성되어 그 경관이 웅대한 것이 대부분이고 화산동굴은 용암의 유동성과 관계되어 장대한 것이 특징이다. 4). 석회동굴에서는 화려하고 웅대하나 그 규모가 큰 것이 적다고 하겠으나 화산동굴은 세계굴적인 규모인 동굴이 많다. 5). 특히 협재굴, 황금굴, 표선굴 등과 갈은 것은 화산동굴이나 2차생성물이 발달되어 있는 특이한 동굴이다. 6). 동굴의 기온은 지표의 기온에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 것은 아니나 대체로 위도와 해발고도에 관계되고 있다. 7). 하리절의 동굴내 기온의 차는, 높은 위치에 있는 동굴의 기온이 낮은 위치에 있는 동굴보다 그 기온이 높게 나타난다. 8월의 고씨굴은 16$^{\circ}C$ 기온으로 나타났는데 같은 날 용담굴의 기온은 17$^{\circ}C$로 나타났다. 8). 동굴입구에서 깊은 내부의 대기의 기온차는 동벽의 온도와 거의 비슷하게 된다. 즉, 그 지층의 구조암석인 석회암의 기온에 지배되며, 이 온도는 거의 지표의 년간 평균온도와 비슷하다.(중략)

  • PDF

고수동굴의 오손오염대답조사

  • 박면용;홍시환;노용태;이호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8 no.9
    • /
    • pp.24-49
    • /
    • 1983
  • 대체로 동굴속에서는 태양의 광선이 비추이는 동굴의 입구 부근에서만 자라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동굴이 개발되고 있는 내부 동굴에서는 조명등이 비추이는 부근에 이끼류나 양치류같은 하등식물이 자라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조명등의 빛과 온도에 관계되는데 이들 하등식물들이 자라게 되므로써 동굴생물의 생태계에 커다란 변화가 생긴다. (중략)

  • PDF

A Case Study o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n Caves (개방동굴의 환경오염 사례연구)

  • Shin, Dong-Won;Jung, Kyu-Whan;Cho, Yong-Ho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7
    • /
    • pp.18-22
    • /
    • 2008
  • A cave starts to be destructed and damaged as soon as it's open to the public. Due to many convenience facilities for tour visitors, it's gradually polluted. For example, lamplight causes green and black mold while temperature rise caused by many tourists and lamplight brings vatting and exfoliation. In addition, visitors'reckless behavior have caused water pollution and destructed cave creatures' habitat.

한국 동굴의 환경 파괴 분석

  • 김추윤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3.07a
    • /
    • pp.117-128
    • /
    • 1993
  • 동굴환경의 파괴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우선 동굴이 관광화되기 이전에 동네주민들이 호기심에 들어갔다가 석주ㆍ석순과 같은 형상이 좋은 퇴적물을 파괴하여 집에 가져오는 경우도 있고, 관광지로 개발된후 동굴내의 조명등에 의해서 새로운 형태의 녹색공해 즉 하등식물등이 자라거나, 관광객의 빈번한 출입에 의해서 동굴내부의 온도가 올라가 표피가 박리현상을 일으켜 탈피되거나 관광시설을 설치할때에 파괴되거나, 자연적으로 홍수때 오염된 물이 지하에 유입되어 동굴생물을 파괴시키는 경우등 그 원인이 여러가지 있을 수 있겠다.(중략)

  • PDF

한국동굴의 환경파괴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17
    • /
    • pp.109-120
    • /
    • 1988
  • 동굴환경의 파괴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우선 동굴이 관광화되기 이전에 동네주민들이 호기심에 들어갔다가 석주ㆍ석순과 같은 형상이 좋은 퇴적물을 파괴하여 집에 가져오는 경우도 있고, 관광지도 개발된후 동굴내의 조명등에 의해서 새로운 형태의 녹색공해 즉 하등식물등이 자라거나, 관광객의 빈번한 출입에 의해서 동굴내부의 온도가 올라가 표피가 박리현상을 일으켜 탈피되거나 관광시설을 설치할때에 파괴되거나, 자연적으로 홍수때 오염된 물이 지하에 유입되어 동굴생물을 파괴시키는 경우등 그 원인이 여러 가지 있을 수 있겠다.(중략)

  • PDF

Cavern Environment in Uro Cave (우로굴의 동굴환경)

  • 김추윤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62
    • /
    • pp.11-16
    • /
    • 2004
  • Uro cave is a livestone cave formed at the Cambrian period. Uro cave is situated in Urosil, HogyeMyen, Moonkyunssi, HyungBok province. The temperature of the Uro cave is about 12~$15^{\circ}C$, humidity 90~95%, pH 7~8, Water temperature 12~$15^{\circ}C$, Carbon dioxide 500~900ppmv, hardness 110mg/$\ell$ in Conclusion, Uro cave does not have values of topography, environment, and tourism resource.

A Study on the natural environment of Hoe-ok cave in Wonju (원주(原州) 회옥굴(窟)의 자연환경(自然環境)에 관(關)한 연구(硏究))

  • Kim, Byoung-Woo;Park, Jong-Beom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4
    • /
    • pp.10-21
    • /
    • 2008
  • In order to accumulate the basic informations to assess the scientific and natural values of the Hoe-ok Cave located in Mountain Chi-ak, Seong-nam 2 ri, sin-rim myeon, the natural environments in the cave were investigated from November 2004 to June 20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verage temperature in the cave was 2.5$^{\circ}C$ in the winter, 5.5$^{\circ}C$ in the spring, 6.8$^{\circ}C$ in the summer. The average humidity in the cave was 82.5% in the winter, 86.0% in the spring, 86.0 in the summer. this results show that the temperature was 10$^{\circ}C$ lower, and the humidity was 4$\sim$10% lower than those in the Go-su Cave. Inside of the Heo-og Cave, the damages from the garbages and smoke stains by the reckless civilians are expanding. It is necessary to execute the research on the geological facts of the cave and the reassessment on its values in the natural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