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굴생물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고씨동굴의 안전진단 평가보고

  • 변태근;임병기;경만호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7 no.38
    • /
    • pp.46-78
    • /
    • 1994
  • 동굴의 안전진단은 일반적인 민사사항에 대비하는 안전진단 만은 아니다. 즉, 동굴의 생태환경의 보전을 위한 보전책도 강구하며 특히 동굴생물의 생태유지 등의 실태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사실상 동굴은 소중한 천연적인 자연자원이다. 최근에 이르러 세계의 모든 나라에서는 이와같은 지하세계의 탑승을 위한 관광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에서는 전국에 총93개소의 동굴들이 공개된 관광동굴로 개발되어 있다.(중략)

  • PDF

고수동굴의 오손오염대답조사

  • 박면용;홍시환;노용태;이호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8 no.9
    • /
    • pp.24-49
    • /
    • 1983
  • 대체로 동굴속에서는 태양의 광선이 비추이는 동굴의 입구 부근에서만 자라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동굴이 개발되고 있는 내부 동굴에서는 조명등이 비추이는 부근에 이끼류나 양치류같은 하등식물이 자라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조명등의 빛과 온도에 관계되는데 이들 하등식물들이 자라게 되므로써 동굴생물의 생태계에 커다란 변화가 생긴다. (중략)

  • PDF

A List of Cave Fauna and Research Prospect in Korea (한국 동굴생물상 목록 및 연구 전망)

  • Kim, Byung-Woo;Choi, Young-Gun;Soh, Ho-Young;Lee, Hoon;Kim, Won-Rok;Lee, Won-Choe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2 no.1
    • /
    • pp.12-27
    • /
    • 2004
  • Studies on the Korean cave fauna were reviewed during the last seven decades since the first record of Antrokorean gracilipes Verhoeff, 1938. The cave animals have been reported by only 112 papers, 16 repoyts and ten books. In the results, a total of 257 species is recorded representing four phyla, ten classes, 31 orders, and 94 families, and also the holotype localities of 87 species are recorded from 36 caves and four wells in Boron. Arthropods are predominant consisting of 241 species (93.8%), and true spiders (Araneae) are a most diverse group with 97 species (37.7%) including 21 Korean endemic species belonging to 29 families.

한국동굴의 유형 구분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17
    • /
    • pp.34-46
    • /
    • 1988
  • 동굴은 분류하는 학자나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형태성, 성인ㆍ상, 규모별, 위치별, 지질영역별, 생물생태상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성태상으로는 석회동굴, 화산굴, 침식굴, 절리굴, 인공동굴 등으로 대별되는 그 중 침식굴은 해식굴과 하식굴로 다시 세분한다. 즉, 석회동굴은 협의로는 종유굴이라고 하는데 이른바 이차생성물인 종유석이 형성되어 있는 동굴을 가리킨다.(중략)

  • PDF

고수동굴의 이차생성물에 관한 지형학적 분석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2 no.33
    • /
    • pp.13-43
    • /
    • 1993
  • 고수동굴을 비롯한 수많은 석회동굴 속에는 많은 퇴적물들이 있다. 특히 사력, 점토 등 여러가지 종류의 퇴적물이 있는데 때로는 동굴내에 점토로 메꾸어져 있는 곳도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퇴적물들을 동굴 퇴적물이라고 부른다. 물론 때로는 이차생성물 중에서 석순이나 석주 등을 동굴퇴적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는 동굴속에 이몰되고 있는 사력이나 토사를 가리킨다. 이 고수동굴속에서도 많은 동굴 퇴적물층이 발견되고 있다. 그 동굴 퇴적물 가운데서는 고생물의 화석이나 때로는 토기 파편까지도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동굴 퇴적물들의 화석들을 분석 판별함으로써 동굴 생성의 과정을 판독할 수 있다.(중략)

  • PDF

동굴환경요인이 미생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 - 동굴학적 기초이론에 의해서 -

  • 임기영;조은희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1 no.12
    • /
    • pp.23-36
    • /
    • 1985
  • 한국에서의 동굴생물상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최등(1961)에 의한 울진 성류굴의 학술조사로부터 비롯되었으며 남궁준ㆍ이문순ㆍ이해풍ㆍ이병훈 등의 지속적이고 헌신적인 노력에 의해 현재 12망34목212종(일부 미확인종 포함)의 동굴생물이 분류되었다. (중략)

  • PDF

한국의 중요동굴동물의 모식산지의 보존문제

  • 남궁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13
    • /
    • pp.49-67
    • /
    • 1986
  • 동굴이 천연기념물이나 문화재로 지정되는 것은, 그 내부에 있는 화석이나 유적, 경관이나 형성체의 보존에서 뿐만 아니라, 학문적 중요가치를 지닌 동굴생물의 보존에 큰 의의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귀중한 신속, 신종동물의 모식산지로 지정된 동굴에 대하여는 우리의 민족 문화 가치면에서도 소중히 보존되어야 할 것이다. (중략)

  • PDF

온달굴 내부의 생물상에 관한 연구

  • 남궁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3 no.34
    • /
    • pp.41-52
    • /
    • 1993
  • 본 동굴은 엣적 부터 널리 알려져 온 동굴로써 원명은 "남굴"이였던 것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는 과정에서 "온달굴"로 개칭되었다. 원래의 동굴입구는 협소하였으며 내부에서 다량의 지하수류가 일출하고 있었으므로 평상시에는 입굴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윤년이 든 1, 2월에는 건수가 되어 촌민들이 상당히 깊숙한 내부에까지 들어갈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동굴 내부는 많은 파손과 오염이 된 바 있었다.(중략)

  • PDF

한국 동굴의 환경 파괴 분석

  • 김추윤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3.07a
    • /
    • pp.117-128
    • /
    • 1993
  • 동굴환경의 파괴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우선 동굴이 관광화되기 이전에 동네주민들이 호기심에 들어갔다가 석주ㆍ석순과 같은 형상이 좋은 퇴적물을 파괴하여 집에 가져오는 경우도 있고, 관광지로 개발된후 동굴내의 조명등에 의해서 새로운 형태의 녹색공해 즉 하등식물등이 자라거나, 관광객의 빈번한 출입에 의해서 동굴내부의 온도가 올라가 표피가 박리현상을 일으켜 탈피되거나 관광시설을 설치할때에 파괴되거나, 자연적으로 홍수때 오염된 물이 지하에 유입되어 동굴생물을 파괴시키는 경우등 그 원인이 여러가지 있을 수 있겠다.(중략)

  • PDF

한국동굴의 환경파괴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17
    • /
    • pp.109-120
    • /
    • 1988
  • 동굴환경의 파괴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우선 동굴이 관광화되기 이전에 동네주민들이 호기심에 들어갔다가 석주ㆍ석순과 같은 형상이 좋은 퇴적물을 파괴하여 집에 가져오는 경우도 있고, 관광지도 개발된후 동굴내의 조명등에 의해서 새로운 형태의 녹색공해 즉 하등식물등이 자라거나, 관광객의 빈번한 출입에 의해서 동굴내부의 온도가 올라가 표피가 박리현상을 일으켜 탈피되거나 관광시설을 설치할때에 파괴되거나, 자연적으로 홍수때 오염된 물이 지하에 유입되어 동굴생물을 파괴시키는 경우등 그 원인이 여러 가지 있을 수 있겠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