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공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21초

고등학생 안경착용자의 착용상태에 관안 임상적 연구 (The Clinical Study on Spectacle Wearers of Highschool Students)

  • 김상균;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9-27
    • /
    • 2004
  • 안경을 착용한 고등학생 (17~19세) 남녀 150명을 대상으로 안경착용으로 인한 불편감과 안경의 관리 방법 등에 관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안경이 갖추어야 할 여러 요건 중에서 안경의 경사각, 정점간 거리, 광학중심 높이, 동공 간 거리등을 중심으로 하여 안경의 착용상태를 관찰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안경착용자의 과거에 착용한 안경의 역학적 불편감으로는 코와 귀의 압박감이 34%, 안경의 흘러내림 30%, 시각적 불편감으로는 시력저하 30%, 안정피로 20%로 나타났다. 2. 현재 착용하고 있는 안경의 역학적 및 시각적 불편감은 압박감 50%, 흘러내림 30%, 칼라10%로 나타났다. 3. 비정시의 종류로 볼 때 안경착용자 중 근시가 56.7%, 나머지는 근시성 난시였으며 연구대상자의 60%는 양안 도수가 일치하지 않았다. 4. 착용안경의 경사각을 분석해 본 결과, 양안이 동일한 경우는 66.7%로 나타났고 평균 착용안경 경사각은 $10.07^{\circ}$로 나타났다. 5. 안경착용자의 정점간 거리를 분석한 결과, 양안의 정점간 거리가 통일한 경우는 65.3%로 나타났으며, 연구대상자의 정점간 거리는 평균 13.6 mm로 나타났다. 6. 연구대상자 150명의 단안에서 착용안경의 광학중심 높이와 착용자의 동공중심에서 대의 하부 rim까지의 수직거리가 RAL-RG915의 조제가공 허용오차범위 내에 있는 82안(54.6%)으로 나타났다. 7. 대상자 150명의 단안에서 착용 안경렌즈의 광학중심간 수평거리와 착용자의 동공중심간 거리가 RAL-RG915의 조제가공의 허용오차 범위 안에 86안(57.3%)로 나타났다.

  • PDF

시력교정술 후 써클콘택트렌즈 착용시 double-pass 원리를 이용한 시력의 질 평가 (The Evaluation of Visual Quality by Employing Double-pass Principle in Circle Contact Lens Wearers after Refractive Surgery)

  • 권기남;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7-284
    • /
    • 2015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써클콘택트렌즈의 착용이 시력교정술을 받은 눈에서 시력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40안과 시력교정술을 받은 30안에 무도수의 써클콘택트렌즈를 각각 착용시키고 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을 이용하여 변조전달기능(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객관적 산란지수(objective scatter index, OSI) 및 망막에 맺히는 상의 집속률(Strehl ratio)을 측정하여 객관적인 시력의 질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동공크기를 측정하여 객관적인 시력 질과 동공크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시력교정술을 받은 눈에 써클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을 경우는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눈과 비교하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변조전달기능이 더 저하되었고, 객관적 산란지수는 더 증가하였으며, 망막에 맺히는 상의 집속률은 더 감소하였다. 또한, 시력교정술을 받은 눈에서의 써클콘택트렌즈의 착용은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사람에 비하여 동공크기에 따른 변조전달기능, 객관적 산란지수, 망막에 맺히는 상 집속률의 증감에 미치는 상관관계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시력교정술 후 써클콘택트렌즈 착용은 실제 망막에 맺히는 상의 질에 근거한 객관적인 시력의 질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시력교정술을 한 경우에는 써클콘택트렌즈 착용하였을 때 시력의 질 저하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고려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카드뮴 이온으로 완전히 치환한 제올라이트 A를 진공 탈수한 구조와 이것에 요오드를 흡착한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s of Vacuum Dehydrated Fully $Cd^{2+}$-Exchanged Zeolite A and of Its iodine Sorption Complex)

  • 장세복;한영욱;김양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4-62
    • /
    • 1993
  • Cd2+ 이온으로 이온교환된 제올라이트 A를 650℃에서 2 ×10-6 T orr의 진공하에서 탈수한 구조 (a:l2.189(2)A)와 이 결정에 요오드가 흡착된 구조 (a:l2.168(2) A)를 21℃에서 입방공간군 Pm3m를 사용하여 단결정 X-선회절법으로 해석하고 정밀화하였다. 탈수한 가In-A의 구조 는 Full-rmoix 최소자승법 정밀화 계산에서 I > 3σ(I)인 186개의 독립반사를 사용하여 최종오차인자를 Rl:0.057, Ra:0.003 까지 정밀화 계산하였고, 이 결정을 요오드로 흡착시킨 구조는 181 개의 독립 반사를 사용하려 Rl = 0.082, R2 : 0.085가지 정밀화시켰다. 두 결정에서 단위세포당 6개의 Cd2+ 이온은 서로 다른 2개의 3회 회전축상에 위치 하고 있었다. 요오드가 흡착된 구조에서 4개의 Cd2+ 이온 은 0(3)의 (111) 평면에서 큰 동공쪽으로 약 0.68(1) A 들어간 I3- 이온이 결합하고 있고 나머지 2개의 Cd2+ 이온은 0(3)의 (111) 평면에서 소다라이트 동공 깊숙히 약 0.68(1) A 들어간 자리에 위치 하고 있다. 단위세포당 약 4개의 I이온이 큰 동공내에 흡착되었다. 각각의 I-는 6-링 Cd2+와 골조의 8-링 산소에 다리를 놓고 있으며 0(1)-I(1)-I(2) 각도는 172(1)˚로써 거의 선형이고 약한 전 하이동 착물을 골조의 8-링 산소와 이루고 있다. 큰 동공 내에 존재하는 I이온은 부분적으로 탈수된 효In-A에서 요오드 증기와 물분자가 반응하여 H+이온과 I-이온이 생성된 후 다시 I이온과 l2 분자와 반응하여 생성되었을 것이다.

  • PDF

대학생의 동적시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Kinetic Visual Acuity in College Students)

  • 심문식;김상현;강혜숙;심현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19-424
    • /
    • 2012
  • 목적: 대학생의 동적시력, 시력, 굴절이상, 동공크기, 손의 반응력 등을 비교 분석하여 동적시력 연구에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양안의 LogMAR 시력이 +0.1 이상인 안경광학과 학생 남녀 각각 39명을 대상으로 동적시력계(KOWA AS-4A), 손의 반응력 프로그램,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동적시력의 남녀 차이와 검사 항목간의 상호 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남자의 경우는 동공크기 6.00 mm, 손의 반응력 0.23 msec, 등가구면굴절력 -Q1.66 D, 시력 -Q0.07, 동적시력 0.59로, 여자는 동공크기 5.86 mm, 손의 반응력 0.24 msec, 등가구면굴절력 -Q2.08 D, 시력 -Q0.02, 동적시력 0.46으로 각각 나타났다. 동적시력에서는 남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시력, 굴절이상, 손의 반응력, 동공크기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동적시력과 좌안의 시력이 r=-Q0.406으로 검사 항목 중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전체적으로는 시력의 증가와 굴절이상의 근시량 감소에 따라 동적시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남자 대학생이 여자 대학생 보다 동적시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원거리 시력이 동적시력과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탈수한 $Ag^{+}$ 이온과 $Ca^{2+}$ 이온으로 치환한 제올라이트 $A,\;Ag_{12-2x}Ca_x-A\;(x=2\;and\;3)$를 Cs 증기로 처리한 결정구조 (Two Crystal Structures of Dehydrated $Ag^{+}$- and $Ca^{2+}$-Exchanged Zeolite $A,\;Ag_{12-2x}Ca_x-A\;(x=2\;and\;3)$ Treated with Cesium Vapor)

  • 송승환;김양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621-627
    • /
    • 1994
  • $Ag^{+}$ 이온과 $Ca^{2+}$ 이온으로 치환된 제올라이트 $A(Ag_{12-2x}Ca_{x}-A$, x=2 및 3)$를 탈수하고 $250^{\circ}C$, 0.15torr의 Cs 증기로 처리한 결정구조를 X-선 단결정 회절법으로 입방공간군 Pm{\bar\3m(a=12.344(2){\AA}$/ 과 12.304(2) $\AA$)을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이들 구조에서 최종 오차인자 값 Rw는 I > $3\sigma(I)$인 180 및 179개의 반사를 이용하여 0.091 및 0.093까지 정밀화시켰다. 이들 구조에서 Cs종은 네 개의 서로 다른 결정학적 자리에 위치하였다. 단위세포당 세 개의 $Cs^{+}$ 이온은 8-링 중심에 위치하여, 6.81~7.14개의 $Cs^{+}$이온은 큰 동공내의 3회 회전축상 6-링상에 위치하고, 1.83~2.03개의 $Cs^{+}$ 이온은 소다라이트 동공내의 3회 회전축상에 위치하고, 0.66~0.71개의 $Cs^{+}$이온은 4-링에 위치하였다. 또한 4.12~4.27개의 Ag 원자는 큰 동공 중심 가까이에 위치하였다. 이들 구조에서 단위세포내에 과잉으로 흡착된 Cs원자들은 3회 회전축상 위에 놓여 있는 $Cs^{+}$이온과 결합하여 선형의 $(Cs_4)^{3+}$ 클라스터를 형성하고 있었다. 또 $Cs^+$ 이온이 8-링을 차지하고 있어서 은 원자가 구조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막고 있었다. 이들 원자는 큰 동공 중심에서 hexasilver 클라스터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14개의 $Cs^{+}$ 이온과 배위하여 안정화되어 있었다.

  • PDF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원동력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5권1호통권392호
    • /
    • pp.34-37
    • /
    • 2002
  • IT의 세계 - 3주전 약물복용 가려내는 "동공인식기술"/BT의 세계 - 새 차원의 생명과학 "유전체 정보"/NT의 세계 - 극한의 물질조작기술로 기능성 구조물 창출/ET의 세계 - 세계 인구 21억되면 지구는 낙원

  • PDF

공개동굴의 문제점과 안전진단의 필요성 (The Problem and Necessity of Environmental Protection in Open Cave)

  • 변대준
    • 동굴
    • /
    • 제52호
    • /
    • pp.25-34
    • /
    • 1997
  • 동굴은 지하에 있는 동공으로서 미지의 세계이며 암흑의 세계이다. 예로부터 인간은 이 동굴의 대하여 공포심과 신비스러움을 동시에 느끼면서 생활하였다. 그 당시 동굴의 이용가치는 매우 작았으나 인간에게는 매우 중요한 장소로서 동굴의 위치와 규모, 주변환경에 따라서 동굴을 단순히 주거지, 피신처, 심신수련장 정도로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