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공추적 알고리즘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Mining Biometric Data to Predict Task Difficulty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프로그래머의 프로그램 난이도 예측)

  • Lee, Seolhwa;Lim, Heuiseok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231-234
    • /
    • 2016
  • 프로그래머들이 코딩을 할 때 발생하는 빈번한 실수는 많은 시간적 비용을 낭비할 수 있고 작은 실수가 전체 코드에 치명적인 에러를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프로그래머들이 코드를 작성할 때 전체적인 알고리즘을 얼마나 잘 이해하는지와 이전 코드에 대한 이해력과 연관이 있다. 만약 코드에 대한 이해가 어렵다면 정교하고 간결한 코드를 작성하는데 무리가 있을 것이다. 기존 코드에 대한 난이도를 평가하는 방법은 자가평가 등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사람 내부 변화를 직접 측정하면 더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동공 추적이 가능한 아이트래커와 뇌파 측정이 가능한 EEG장비를 이용하여 습득한 생체 데이터를 통해 프로그래머들의 프로그램 난이도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 PDF

Mining Biometric Data to Predict Task Difficulty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프로그래머의 프로그램 난이도 예측)

  • Lee, Seolhwa;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231-234
    • /
    • 2016
  • 프로그래머들이 코딩을 할 때 발생하는 빈번한 실수는 많은 시간적 비용을 낭비할 수 있고 작은 실수가 전체 코드에 치명적인 에러를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프로그래머들이 코드를 작성할 때 전체적인 알고리즘을 얼마나 잘 이해하는지와 이전 코드에 대한 이해력과 연관이 있다. 만약 코드에 대한 이해가 어렵다면 정교하고 간결한 코드를 작성하는데 무리가 있을 것이다. 기존 코드에 대한 난이도를 평가하는 방법은 자가평가 등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사람 내부 변화를 직접 측정하면 더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동공 추적이 가능한 아이트래커와 뇌파 측정이 가능한 EEG장비를 이용하여 습득한 생체 데이터를 통해 프로그래머들의 프로그램 난이도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 PDF

Wearable Robot System Enabling Gaze Tracking and 3D Position Acquisition for Assisting a Disabled Person with Disabled Limbs (시선위치 추적기법 및 3차원 위치정보 획득이 가능한 사지장애인 보조용 웨어러블 로봇 시스템)

  • Seo, Hyoung Kyu;Kim, Jun Cheol;Jung, Jin Hyung;Kim, Dong Hwa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7 no.10
    • /
    • pp.1219-1227
    • /
    • 2013
  • A new type of wearable robot is developed for a disabled person with disabled limbs, that is, a person who cannot intentionally move his/her legs and arms. This robot can enable the disabled person to grip an object using eye movements. A gaze tracking algorithm is employed to detect pupil movements by which the person observes the object to be gripped. By using this gaze tracking 2D information, the object is identified and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measured using a Kinect device installed on the robot shoulder. By using several coordinate transformations and a matching scheme, the final 3D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from the base frame can be clearly identified, and the final posi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DSP-controlled robot controller, which enables the target object to be gripped successfully.

Gaze Tracking System Using Feature Points of Pupil and Glints Center (동공과 글린트의 특징점 관계를 이용한 시선 추적 시스템)

  • Park Jin-Woo;Kwon Yong-Moo;Sohn Kwang-Hoo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1 no.1 s.30
    • /
    • pp.80-90
    • /
    • 2006
  • A simple 2D gaze tracking method using single camera and Purkinje image is proposed. This method employs single camera with infrared filter to capture one eye and two infrared light sources to make reflection points for estimating corresponding gaze point on the screen from user's eyes. Single camera, infrared light sources and user's head can be slightly moved. Thus, it renders simple and flexible system without using any inconvenient fixed equipments or assuming fixed head. The system also includes a simple and accurate personal calibration procedure. Before using the system, each user only has to stare at two target points for a few seconds so that the system can initiate user's individual factors of estimating algorithm. The proposed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work in real-time providing over 10 frames per second with XGA $(1024{\times}768)$ resolution. The test results of nine objects of three subjects show that the system is achieving an average estimation error less than I degree.

A Study on Iriscode Extraction for Iris Recognition in Cellular Phone (휴대폰 환경에서의 홍채 인식을 위한 홍채 코드 추출에 관한 연구)

  • Jung, Dae-Sik;Park, Kang-Ryou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5.05a
    • /
    • pp.813-816
    • /
    • 2005
  • 최근 휴대폰의 활용 범위는 단순히 사용자간의 통신이라는 기본적인 목적을 넘어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중 휴대폰에 카메라를 탑재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혼합한 휴대폰은 최근 각광을 받고 있으며 휴대폰에 탑재된 카메라의 기능은 디지털 카메라의 메가 픽셀 급 화질을 제공하는 정도의 수준으로 발전하였으며 이미 그 수요는 대중화되어 가고 있다. 이런 카메라 폰을 응용한 연구 분야로 생체 인식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휴대폰 환경에서의 홍채 인식을 위한 홍채 영역에서의 홍채 코드 추출에 관한 방법을 제안한다. 휴대폰에서의 홍채 인식에 사용되는 홍채 코드 추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폰 카메라를 통해 얻은 메가 픽셀 급 영상($2048{\times}1536$ pixel 8bit gray Image)에서 동공위치 추적 & 홍채 영역 추출 알고리즘[1]을 이용하여 눈 영상($640{\times}480$ pixel 8bit gray Image))을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눈 영상 중에 홍채 코드 인식 에러율을 좀더 낮추기 위해 눈썹영역, 안경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Specular Reflection), 눈꺼풀 영역을 눈 영역에서 제거 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얻어진 홍채 영상에 그대로 극좌표 가버 필터[2]를 씌워 홍채 코드를 추출해내기 때문에 기존 보간법을 이용한 스트레칭 된 홍채 영상에서의 홍채 코드 추출보다 잘못된 홍채 코드 정보를 줄일 수 있으며 휴대폰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의 홍채 코드 추출이란 점을 고려하여 가버 필터를 고주파와 저주파로 나누어 미리 설계해두어 좀더 빠르고 정확한 홍채 코드를 추출해 내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기존 방식보다 극좌표 가버 필터를 사용한 홍채 코드 추출 실험에서 보다 높은 인식률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