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돌연변이원성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36초

조리 조건을 달리한 가열조리된 육류(돼지고기)의 변이원성 검색과 제어에 관한 연구 (The screening of the mutagenicity and desmutagenicity for cooked pork meats according to cooking conditions)

  • 정경숙;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716-722
    • /
    • 2002
  • 조리조건을 달리하여 가열조리된 육류에서 형성된 단백질의 열분해 산물의 발암성을 검색하고 이의 제어방법을 검토하여 보다 안전한 조리법을 확립하고자 육류 중 돼지고기를 가스그릴(GG)과 전기그릴(EG) 및 전자렌지(MW)를 이용하여 온도별로 조리 한 후 이의 80% 메탄올 추출물에 대해 변이원성을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in vitro), micronucleus test(in vivo)를 실행하여 검색하였다. 또한 가열조리 중 생성되는 변이원성을 제어하고자 항암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진 채소즙과 녹차 추출물을 시료로 침지후 조리하여 이의 변이원성을 검토하였다. 가열 조리한 시료의 농도별(0.5, 2.5, 5.0, 10.0 mg/plate) 변이원성은 농도의존성을 나타내었고, 시료농도 5 mg/$m\ell$/plate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변이원성을 나타냈다(p<0.05). 또한 시료의 조리온도가 상승할수록 변이원성이 증가하여 조리온도 의존성을 알 수 있었고 S-9 mixture 첨가시 변이원성이 2-4배 정도 증가하여 간접 돌연변이원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육류의 종류별 변이원성은 돼지고기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변이원성을 보였고 닭고기가 가장 낮은 변이원성을 나타냈다(p<0.05). 돼지고기를 채소즙 및 녹차즙에 침지후 GG, EG로 조리하였을 때 생강>양배추>무즙의 순으로 생강즙에 침지한 시료에서 변이원성이 유의성 있게 낮게 나타났다(P<0.05). 돌연변이원 생성 억제 효과가 높았던 시료를 이용하여 Micronucleus test를 한 결과 생강즙 처리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소핵 형성률을 나타내어 생강이 소핵 형성 억제 효과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실용적인 면에서는 생강즙은 물과 동량인 경우 냄새가 너무 강하여 맛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양배추나 무즙을 이용한다면 고온 가열 조리시보다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환삼덩굴(Humulus japonicus)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Flavonoid 성분의 분리 (Antimutagenic Effects and Isolation of Flavonoids from Humulus japonicus Extract)

  • 박승우;김성환;정신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97-901
    • /
    • 1995
  • 환삼덩굴의 생리활성물질을 구명하기 위하여 환삼덩굴을 물과 메탄올로 추출하여 돌연변이원성과 항돌연변이 효과를 조사하고 TLC와 HPLC로 flavonoid 성분을 분리하였다. 환삼덩굴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 test에서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환삼덩굴의 메탄올 추출물은 NPD와 NQO로 돌연변이를 유도한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에 대하여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분획별 항돌연변이 효과는 헥산분획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50% 돌연변이 억제농도($IC_{50}$)는 TA98에 대하여는 2.O mg/plate, TA100에 대하여는 0.5 mg/plate 였으며, 4.O mg/plate의 농도에서 TA98에 대하여는 약 58%, TA100에 대하여는 약 88% 정도의 돌연변이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삼덩굴의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에서 quercitrin과 luteolin을 확인하였다.

  • PDF

자외선 B에 노출된 쥐 표피의 지질과산화에 대한 지골피 물 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Water Extract of Lycii Cordex Radicis on Lipid Peroxidation of Rat Skin Exposed to Ultraviolet B Radiation)

  • 곽준수;류승희;문갑순;최동성;박성혜;한종현;안병용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4호
    • /
    • pp.218-222
    • /
    • 2002
  • 본 연구는 지골피 물추출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고자 생리기능(항돌연변이성, 라디칼 소거능 및 UV B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지골피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tert-butyl hydroperoxide (t-BOOH)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항돌연변이원성을, L-ascorbic acid-$CuSO_4$ 및 광화학적 시스템에서 수퍼옥사이드와 하이드록시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였고, 비타민 E 결핍 쥐의 표피를 취하여 자외선 B조사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시킨 뒤 지골피 물 추출물의 지방 및 단백질 산화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SOS Chromotest에서 지골피 물 추출물은 t-BOOH의 변이원성에 대하여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억제 효과는 용량 의존적이었다. 광화학적 시스템에서 수퍼옥사이드의 라다칼 소거능은 비교적 강한 상쇄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L-ascorbic acid-$CuSO_4$에서 하이드록시 라디칼 소거능은 낮았다. 자외선 B를 조사한 쥐 표피의 지질 과산화는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나 단백질 산화의 억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UV B 방사시 지질과산화에 대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지골피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의 조원료로서의 사용가능성을 시사해준다.

감마선 조사 분말수정과의 저장 중 관능적 품질특성 및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the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and Mutagenicity of Gamma-irradiated Sujeonggwa Powder (Korean Traditional Cinnamon Beverage))

  • 이현자;설민숙;박재남;김재훈;송범석;이주운;변명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08-413
    • /
    • 2007
  •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된 분말수정과의 저장 중 관능적 품질특성 변화 및 돌연변이원성을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미생물 분석결과 멸균을 위한 최소선량은 약 4.5 kGy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마선 조사된 시료들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평가항목에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색도의 변화를 평가한 결과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L^*$)는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적색도($a^*$) 및 황색도($b^*$)는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 typhimurium TA98, TA100을 이용한 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 감마선 조사군의 전 용량단계에서 음성대조군과 동일한 수준의 돌연변이 집락수를 보여 돌연변이 유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멸치젓갈의 인공소화시 N - Nitrosamine 생성과 돌연변이의 상관성 (Correlation of N - Nitrosamine Formation and Mutagenicity in Fermented Anchovy under Simulated Gastric Digestion)

  • 손미예;박희정;신정혜;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60-1565
    • /
    • 2004
  •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인 젓갈류의 생체내 소화과정에서 니트로사민 생성과 돌연변이원성의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실온(18~20$^{\circ}C$)에서 60일간 숙성시킨 멸치 젓갈을 인공적인 소화타액과 위액에 nitrate, thiocyanate, formaldehyde 및 ascorbic acid를 8 mM 이하의 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Nnitrosodimethylamine(NDMA) 생성과 돌연변이원성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인공소화시 NDMA의 생성은 nitrite,thiocyanate 및 formaldehyde의 첨가농도에 따라서 촉진되었으나, ascorbic acid는 억제제로서 그 첨가농도에 비례하여 생성저해 효과가 나타났으며, 대체로 4 mM 농도에서 무첨가구에 비하여 71.3% 정도가 저해되었다. 돌연변이원성은 숙성시킨 젓갈에 nitrite, thiocyanate 및 formaldehyde를 여러 농도로 첨가하여 인공소화시킬 때에는 증가되었으나, ascorbic acid를 첨가하였을 때에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헛개나무 잎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Hovenia dulcis Thumb Leaves Extracts)

  • 박선희;장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371-1376
    • /
    • 2007
  • 예로부터 약용으로 이용되어온 헛개나무 잎을 이용하여 항돌연변이원성 및 암세포 성장 저해효과를 조사하였다. 헛개나무 잎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Ames test로 검색한 결과, 헛개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과 분획물 그 자체의 돌연변이원성은 없었으며, 헛개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은 직접 변이원인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와 간접변이원인 benzo(a)pyrene(B(a)P)의 돌연변이 유발성을 크게 저해하였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에서 분리한 분획물들도 유의성 있는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헥산, 클로르포름, 부탄올 분획물의 경우는 물 분획물보다 MNNG와 B(a)P에 대해서 더 큰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헛개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과 그 분획물들의 사람의 암세포주인 HT29와 HepG2에 대한 성장 저해 효과를 MTT assay로 검토한 결과 헛개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과 헥산, 클로로포름 분획물들이 높은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사람의 정상 간세포인 Chang cell에서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헛개나무 잎은 발암물질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장균 변이주를 이용한 Chloropropanol 변이원성 기구의 해석 (Mutagenic Mechanism of Chloropropanols in Escherichia coli)

  • 송근섭;한상배;최동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46-251
    • /
    • 1999
  • 다양한 유전형질을 갖고 있는 E. coli WP series, E. coli TK series 및 E. coli GW series 변이주들을 이용하여 chloropropanol의 변이원성 기구를 해석하였다. 3종류의 chloropropanol 모두 E. coli WP2s와 WP67에서는 돌연변이활성이 나타났으나 E. coli WP2와 CM611에서는 변이원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2,3-DCP>3-MCPD>1,3-DCP 순으로 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내었다. E. coli WP2s와 비교하여 E. coli WP2 $(WP2s\;uvrA^+)$에서 돌연변이활성이 크게 감소한 반면 균 생존율이 상당히 증가한 결과로부터 절제수복에 의해 쉽게 제거되는 DNA 손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E. coli CM611(WP2s lexA102)에서 돌연변이활성 및 균 생존율 모두 상당히 감소된 결과로부터 이들 물질에 의한 주요 DNA 손상이 SOS 수복 의존성임이 시사되었다. 또한 E. coli TK610 (umuC)에서의 돌연변이율과 균 생존율은 그 대조 균주인 E. coli TK603 $(umuC^+)$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하여 chloropropanol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은 umuC가 관여하는 SOS 수복을 통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 coli GW1105 [lexA3 (Ind)]와 GW1107 [lexA51 (Def)] 두 균주에서 ${\beta}-galactosidase$의 활성이 chloropropnaol 첨가에 의해 변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SOS 반응의 repressor로 작용하는 LexA에 대하여 chloropropnol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hloropropanol에 의한 DNA 손상은 가장 기본적인 수복계라 할 수 있는 절제수복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으며, 돌연변이의 발생은 주로 SOS 수복계를 통하여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해양심층수염 및 다시마분말 첨가 고추장추출물의 항돌연변이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Kochujang Extracts Added Deep Sea Water Salt and Sea Tangle)

  • 함승시;최현진;김수현;오현택;정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10-415
    • /
    • 2008
  • 본 연구는 Ames test와 SRB assay를 통해 SK와 SDK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돌연변이원성과 세포독성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S. Typhimurium TA98과 TA100 균주를 사용하여 돌연변이원성을 실시한 결과 SK와 SDK 메탄올 추출물 자체의 돌연변이원성은 없었으며, MNNG와 4NQO를 유도하여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S.Typhimurium TA98에서 4NQO를 유도하여 SDK($200{\mu}g$/plate) 메탄올 추출물 처리 시에 71.4%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반면에 S. Typhimurium TA100에 4NQO와 MNNG의 돌연변이를 유도하였을 때 각각 56.1%와 83.6%의 억제율을 보였다.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샘플처리 시 농도 의존적 증가를 보였으며, SDK 메탄올 추출물 1 mg/mL 첨가 시 HeLa, Hep3B, MCF-7, AGS 및 A549에서 각각 61.5%, 61.3%, 51.4%, 57.9% 및 77.7%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SK 메탄올 추출물 첨가 결과 $51{\sim}58%$ 정도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대조적으로 SDK 메탄올 추출물을 1mg/mL 첨가 시 293에서 $2{\sim}38%$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차가버섯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활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the Inonotus obliquus)

  • 함승시;오상화;김영균;신광순;장현유;정국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88-1094
    • /
    • 2003
  • 차가버섯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분획물 그리고 수용성 다당과 불용성 다당 I, II에 대하여 항돌연변이원성 실험과 암세포성장억제 실험을 행한 결과, 각 시료에서 돌연변이원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접변이원인 MNNG와 4NQO, 간접변이원인 B[a]P와 Trp-P-1 모두에서 시료농도 50$\mu\textrm{g}$/plate에서 불용성 다당 II가 90% 이상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암세포 성장 억제 실험에서는 에틸아세테이드 분획물에서 다른 분획이나 시료들보다 시료농도 4 mg/mL에서 A549, AGS, 그리고 MCF-7극 세포에 대하여 각각 90.8%, 94.3%, 83.5%의 높은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주요 솔잎 추출물의 돌연변이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Main Pine Needle Extracts on the Chemically Induced Mutagenicity)

  • 김은정;정성원;최근표;함승시;강하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50-455
    • /
    • 1998
  • 한국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곰솔, 리기다, 잣나무, 적송의 에탄올추출물과 각 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in vitro assay로서 spore rec-assay와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법으로 시료자체 변이원성 유무와 4가지 양성변이원 물질(MNNG, 4NQO, Trp-P-1 및 B(a)p)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고찰하였다. 곰솔, 리기다, 잣나무, 적송의 에탄올 추출물은 spore rec-assay와 S. typhimurium를 이용한 mutagenicity assay에서 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돌연변이 억제 시험에서는 4가지 시료 모두 농도 증가에 따른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또 각각의 시료들의 분획물 중 잣나무와 소나무의 에테르 분획물들이 간접변이원인 Trp-P-1의 변이원성에 대하여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높은 억제율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