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독서상담 프로그램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초등학생을 위한 독서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을 기반으로 - (Development of Biblio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nalysis of the Effect: Based on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 허정희;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67-190
    • /
    • 2019
  • 이 연구는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으로 과도기적 단계에 있는 초등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을 접목한 독서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열등감, 사회적 관심, 생활양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S시 소재 K초등학교 4-5학년 아동 20명을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여 총 12회기에 걸쳐 독서상담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심리학을 적용한 독서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열등감, 사회적 관심, 생활양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개인심리학을 적용한 독서상담 프로그램의 실험집단은 주관적인 반응이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독서에 대한 흥미와 책에 대한 관심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상담으로서 대학생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The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Bibliotherapy for University Students as a Group Psychotherapy)

  • 이현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91-31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집단상담으로서 효과와 장점이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1) 집단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기존 집단상담의 장점을 포괄하고, 단점을 보완하는 안전한 치료방법임을 확인하였다. 2) 모방행동, 응집력, 현실수용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조사된 것은, 대학에서 진로를 주제로 하는 집단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3)청년들의 암울한 현실에 비추어, 대학생들이 사랑을 논하고 연애에 소망을 드러낸 희망적 현상이 의미가 있었다. 독서치료에서 집단상담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독후 활동 방안 및 대학에 요구되는 특정 주제나 매체에 대해서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널리 보급될 수 있는 접근하기 쉽고 전문적인 집단 독서치료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독서토론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Reading Discussion-oriented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Improvement)

  • 안인희;이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609-162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토론 진로집단 상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성취동기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 5학년 세 학급을 실험집단, 비교집단 A, 비교집단 B로 각각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독서토론 진로집단 상담프로그램을 5주간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 같은 기간 비교집단 A는 진로인식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비교집단 B는 교과학습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서토론 진로상담 프로그램 집단이 교과학습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진로발달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진로인식 상담 집단에 비해서는 유의한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독서토론 진로상담 프로그램 집단이 교과학습을 실시한 집단과 진로인식 상담 집단에 비해 성취동기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학교도서관에서의 독서치료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f Bibliotherapy for Children and Youth in School Library)

  • 황금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1-57
    • /
    • 2003
  • 최근 우리의 아동.청소년들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병들어가고 있다. 아동.청소년 문제는 결국 그들의 마음속 상처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그들의 상처를 어루만지고 건강한 삶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책을 통한 독서치료가 그 어느 때 보다 시급하다 하겠다. 학교도서관은 사서교사들이 상담교사와의 협력 아래 독서치료를 시행하기에 적합한 기관이다. 그러나 현재 학교도서관에서 독서치료를 수행하는 곳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에서의 독서치료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아동.청소년의 마음의 상처에 대한 진원지와 정신문제 유형에 대한 이해이며, 둘째 독서치료용 독서자료 개발이며, 셋째 학교도서관에서 적용할 수 있는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이다.

  • PDF

독서치료 변인에 비추어 본 독서치료 연구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blem and on the Development Plan of Bibliotherapy based on the Factors that Affect Bibliotherapy - Focusing on the Bibliotherapy of Aimed at Improving Self Esteem -)

  • 최영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01-22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학위 논문 15편의 독서치료 연구가 지니는 문제점을 파악한 후, 발전 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현행 독서치료 연구에서 독서치료가 지닌 문제점을 변인 5가지 측면에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상담자의 전문성과 역할의 부재이다. 둘째, 독서치료의 내담자 변인으로 내담자에 대한 문제 상황이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반영되지 않았다. 셋째,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으로 독서치료에 대한 내담자의 지속적인 흥미를 유지시키지 못하고 있다. 넷째, 독서치료 자료가 텍스트 자료에 국한되어 다양한 매체활용이 부족하다. 다섯째, 연구방법적인 측면에서 내담자의 독서치료 효과를 측정하는 검사지에 대한 타당성이 부족하다. 독서치료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토대로 몇 가지 발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독서치료 상담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교재 개발 및 연수가 필요하다. 둘째, 독서치료 자료로 적합한 다양한 매체에 대한 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독서치료 효과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교사, 학부모, 아동의 상담 욕구에 기초한 통합적 집단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Biblio-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채혜정
    • 아동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299-319
    • /
    • 2004
  • This study designed, implemented, and evaluated a Biblio-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Procedures included 20 60-minute sessions by counselor, 18 20-minute sessions in class by teacher, and 5 20-minute sessions at home by parents.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to 23 thir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mean, and paired t-test, using SPSS program packages. Results showed significant before and after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self-esteem. Besides, the children reported increased positive expression in class and decreased peer neglect and rejection at school. Children, parents and teacher express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ulti-faceted approach as designed and implement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promoting self-esteem, interpersonal growth, and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parents.

  • PDF

공공도서관의 온라인 독자상담 서비스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Online Readers' Advisory Services Offered by Public Libraries)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55-178
    • /
    • 2023
  •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독서환경의 변화로 인해 공공도서관의 독자상담은 도전과 기회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서비스의 도약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온라인 독자상담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되어야 할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6개의 광역시(인천, 대전, 대구, 광주, 부산, 울산)의 50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독서프로그램 및 신간 안내등의 공지, 독자 요구 파악 및 개별 이용자를 위한 안내, 사서가 개발 제공하는 콘텐츠, 독자가 참여하여 생성하는 콘텐츠, 외부 기관의 독서 정보 안내, 외부의 전문 서평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 웹사이트의 활용, SNS 서비스라는 7가지 항목에 기초하여 온라인 독자상담의 현황과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독자 만족도 향상을 위해 공공도서관의 온라인 독자상담 서비스가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개별 독자를 지원하는 사서의 도서 추천 서비스, 사서의 서평, 독자의 참여와 공유 및 상호작용 활동을 강화할 것을 제시하였다.

도서관 서비스 확대를 위한 독서치료의 과제 (The Task of Bibliotherapy for the Expansion of Library Service)

  • 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41-268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서비스 확대를 위한 독서치료의 과제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도서관계에서 차지하는 독서치료의 위치를 살펴보고, 2000년 이후 한국의 도서관에서 이루어진 독서치료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여 도서관 서비스로서 독서치료의 확대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방안으로는 네가지 문제, 즉 독서치료 용어의 문제, 독서치료에 대한 사서의 인식과 수용, 독서치료 교육과 훈련 과제와 도서관의 독서치료 서비스 확대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동시를 활용한 상담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The Effects of Counselling Program using Children's Poem on Maladapted Children in School - A Case Study o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 이경옥;최병연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1호
    • /
    • pp.71-91
    • /
    • 2012
  • 본 연구는 학교 부적응 아동을 대상으로 동시를 활용한 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서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동시를 활용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동시를 활용한 상담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동시를 활용한 상담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사전검사, 현재 담임 부모님 친구의 의견을 반영하여 학교 부적응 아동으로 판정된 2명의 초등학교 4학년생이다. 주 2회 40분간 12회기에 걸쳐 동시를 활용한 상담프로그램을 상담에 적용하며 내담자의 변화과정을 탐색하였다. 즉 상담과정에서 대상 아동이 반응한 언어와 행동을 평가한 결과와 부모 친구 교사의 심층면담, 행동관찰평가표, 측정 도구의 사전 사후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자가 개발한 동시를 활용한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시를 활용한 상담 프로그램은 학교 부적응 아동의 가정적, 사회적, 학업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켰다. 둘째, 교사관계, 교우관계, 수업태도 등 학교적응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그 외에도 동시를 활용한 상담 프로그램의 독서자료인 동시가 상담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음을 밝혔다. 동시 낭송과 동시 내용이 내담자의 자기개방을 촉진하여 상담자와의 관계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상담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이끄는 매개체 역할을 하였다.

  • PDF

그림책활용 독서치료프로그램이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유능감 및 개인적 성장과 가족관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bibliotherapy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self-esteem, social competence, personal growth and family relationships of married immigrant women)

  • 이민정;이영선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3-130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explored benefits of a bibliotherapy program using picture books for self-growth supporting married Immigrant Women settle down as a healthy member of the Korean society. Method: This intervention program was implemented on twelve married immigrant women (and another twelve women as a control group), and their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kept observation journals and conducted post-program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s.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elf-esteem scores of participants had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 however,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2) the experiment group made more progress in improving social competence, and (3) the study confirm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at the program made positive contributions to improving the participants'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