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심지 유형

Search Result 115,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Changes of Physical Structure of Hangang(Riv.) in Seoul City Area (서울시 구간 한강의 물리적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Hong, Sukhwan;Yeum, Junghun;Han, Bongh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4
    • /
    • pp.403-408
    • /
    • 2017
  • This study aims to set up the basic data to manage the waterfowl habita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nges of phys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of Hangang(Riv.) as water birds' habitat. Study area was 41.5km in length from Paldang bridge to Hangju bridge. during total length of 497.52km and horizontal boundary was based on the protected lowland in year 1975. As the analysis result of land use from the center of water to adjacent road to the river, ratio of year 1975 was in order of sedimentary land(22.7%), surface water(20.7%), built-up area(16.9%), field(16.2%), paddy field(15.9%), and afterwards most of the areas were changed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rterial highway and submerged weir in order to use Hangang(Riv.). In year 1985, the area ratio of protected lowland(57.8%) and surface water(32.8%) dramatically increased. After construction of river bank the recreational areas continually increased and relatively natural areas decreased. In year 2005, the area ratio of protected lowland was enlarged to 57.6% and surface water also to 33.3%. While the length of both riversides and naturalness decreased by 10.9%, 91.5% respectively in year 2005 compared to year 1975, the depth of water increased by 1.46m. Comprehensively, the flow of changes by physical structure in Hangang(Riv.) for 30 years was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main characteristics in the first period were decrease of riverside area and enlargement of the surface water through the massive construction before middle of year 1980, and afterwards revetments were intensively artificialized with changes of land use for amusement area. In terms of water fowl habitat, Hangang(Riv.) which previously had various types of habitat condition was changed into simplified habitat for few of species, and the active improvement apporach was needed for habitat diversity.

A Study on the Micro-Topography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Waterfront Landscape Style of Waterfront in Korean Jingyeong Landscape Painting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수변의 미지형 경관 특성과 하경양식)

  • Kim, Yong-Hee;Kang, Young-J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7 no.1
    • /
    • pp.26-38
    • /
    • 2019
  •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waterfront scenery. Recently, waterfront development has expanded residentially, commercially and into leisure space. In the development of the waterfront, it is necessary to apply designs suitable for urban and various other waterfront areas. In this study, the natural scenery of the waterfront was researched with respect to the Korean Jingyeong landscape paintings and the main elements of the scenery were analyzed. In this study, 105 painting of Korean Jingyeong landscapes painting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f the waterside scenery. The paintings of Jeong Seon were studied to categorize streams topographically into mountainous, upper, middle, lower, and ocean types. In addition, major micro-topography elements, which are 13 water image elements and 13 staffage elements were analyzed. The main waterfront landscape elements are divided into 13 types. The waterfalls were divided into long waterfalls, short waterfalls, cascading waterfalls, and other aspects considered were line stream, curve stream, multi-curve stream, pond, water surface, flow surface, wave surface, rock side, pile sandy side, sandy side. There are 13 kinds of staffage elements, include pine forest, pine trees, fir trees, bamboo trees, willow trees, broadleaf tree, villages, houses, gazebo, boat, bridges, and people. The waterfront landscape by a river area was explained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of the waterfront landscape and staffage, and their changes were analyzed in each area. The 105 paintings were divided into 35 pieces of mountainous streams, 9 upper streams, 5 middle streams, 35 lower streams, and 21 oceans, and the change of each waterfront landscape and staffage was analyzed. Based on the topographical analysis of the waterfront landscape and staffag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5 types of the waterfront landscape. Based on the micro-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front landscape styles are as follow. In the mountainous streams, long waterfall and deep forest type are apparent, which depicts deep mountain waterfall scenery, and a multi-stream forest is the scenery of a picnic in the mountains, which is a representative form of mountainous streams landscape. In the upper-middle stream, the water-surface and gazebo type is predominant. In the lower stream, the sandy-gazebo typ scenery is predominant and the sandy depiction is unique to lower stream landscape. Pile sandy-dock type is life scenes where human activity highlighted, is a representative form of the lower stream landscapes. The characteristic of the coastal landscape is the serpentine rock scenery on the beach and the wave-serpentine rock type that forms the main coastal landscape. The study aims to propose significant design elements for a natural waterfront landscape planning based on the analysis of landscape in the paintings of Jeong Seon.

A Study on the Wind Ventilation Forest Planning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 A Case Study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바람길숲 조성 계획기법 개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사례로 -)

  • Han, Bong-Ho;Park, Seok-Cheol;Park, So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1 no.2
    • /
    • pp.28-41
    • /
    • 2023
  •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Urban Windway Forest Creation Planning Technique for the Improvement of the Urban Environment using the case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Through a spatial analysis of fine dust and heat waves, a basin zone, in which the concentration was relatively serious, was derived, and an area with the potential of cold air flow was selected as the target area for the windway forest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climate and winds in the relevant zone. Extreme fine dust areas included the areas of the Daejeon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Business District in Daedeok-gu and Daedeok Techno Valley in Yuseong-gu. Heat wave areas included the areas of Daedeok industrial Complex in Moksang-dong, the Daejeon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Business District in Daehwa-dong, and the high-density residential area in Ojeong-dong.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wind speeds in Daejeon with an Automatic Weather System, the average wind speeds during the day and night were 0.1 to 1.7 m/s,, respectively. So, a plan of for a windway forest that smoothly induces the movement of cold air formed in outer forests at night is required. The fine dust/heat wave intensive management zone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were Daejeoncheon, Yudeungcheon, Gapcheon-Yudeungcheon, and Gapcheon. The windway forest formation plan case involved the old city center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among the four zones, the Gapcheon-Yudeungcheon area, in which the windway formation effect was presumed to be high. The Gapcheon-Yudeungcheon area is a downtown area that benefits from the cold and fresh air generated on Mt. Gyejok and Mt. Wuseong, which are outer forests. Accordingly, the windway forest was planned to spread the cold air to the city center by connecting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Seosa-myeon forest of Mt. Gyejok and the Namsa-myeon forest of Mt. Wuseong through Gapcheon, Yudeungcheon, and street forests. After selecting the target area for the wind ventilation forest, a climate map and wind formation function evaluation map were prepared for the area, the status of variation wind profiles (night), the status of fine dust generation, and the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status were grasped in detail. The wind ventilation forest planning concept and detailed target sites by type were identified through this. In addition, a detailed action plan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creation and setting of the direction of creation for each type of wind ventilation forest.

The Actual State of the Creation and Management of Public Open Spaces of Major Buildings - Focused on Daegu-City - (대형건축물 공개공지의 조성 및 관리실태 분석 - 대구시를 대상으로 -)

  • Eom, Bo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6
    • /
    • pp.36-45
    • /
    • 2011
  • Public open space(Gong-Gae-Gong-Ji) is an important part of the open-space system in an urban environment. Though part of the private sector, it has a significant public function as there are as always open to the free use of every citizen for rest and amenities. A field survey of the public open space of 71 major building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public open spaces in the city of Daegu. As a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several point of issues were discussed. In distribution by 'Gu', newly-emerging sub-centers of Daegu-City, such as Bug-Gu and Dalseo-Gu as well as downtown area have many public open spaces. By the use type of buildings, retail buildings such as shopping centers and SSM account for36.6%, business buildings21.1%, and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es 15.5%, respectively. Location wise, the front areas accounted for the greatest amount(42.9%) with 1 in side area(20%), and 2 in the front/side area(20%), respectively. Degree of division was 1 spot type(45.7%), 2 division type(35.7%). The misuse of public open space for private use, such as shopping and parking lots, was26.6%. On the basis and analysis of the actual status, 6 improvement devices for public open spaces were suggested: 1)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regulative system, 2) the establishment of design guidelines and strengthening of deliberation, 3)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4) periodic supervision and guidance, 5) installment of signs that shows the space is open for use to every citizen, and 6)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management of public open space.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