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 지표

Search Result 1,05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the Urban Growth Change using Satellite Imagery Data (위성영상자료를 활용한 도시성장변화에 관한 연구)

  • Kim, Yoon-Soo;Kim, Jung-Hwan;Jung, Eung-Ho;Ryu, Ji-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5 no.2
    • /
    • pp.81-90
    • /
    • 2002
  • Remote Sensing has been very useful tool in monitoring of cities and updating of GIS database compare to traditional methods due to its benefit; wide range covering on low cost and advanced data collection. However it had come to a limited method in limited researches because of its relatively poor spatial resolution in scanning. Recently launched satellites are able to produce improved imageries, and new commercial services have been commenced for the use of general public with higher spatial resolution up to $1m{\times}1m$. This study tackled a potential use of these improved satellite imageries in urban planning based on the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r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monitoring on urban areas, for example urbanization and its expanding. i) Portion of individual features and elements in each pixel of satellite imagery was computed based on 'Endmember' of targeted elements. ii) Urbanized area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Fraction imagery' derived from the 'SMA algorithm'. iii) Alterations and expanding of urban area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ries. Tested method showed a strong potential to produce more advanced monitoring skills of urban areas.

  • PDF

위성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에 따른 열환경 평가

  • Jo, Su-Jin;Kim, Hae-Dong;An, Ji-Suk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88-89
    • /
    • 2010
  • 최근 인간의 활동범위와 영역이 확대되고 산업이 발전하면서 인간의 삶과 지속가능한 발전 등 도시 기후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산업혁명 이후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인구가 증가하고 도시지역으로 집중됨으로써 도시 열섬화 현상에 대한 도시환경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이는 최근까지도 도시개발에 있어서 기능과 효율성이 우선시 되어 도시기후에 대한 배려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과도한 냉난방을 가동하는 등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을 위한 노력만을 행해왔다. 도시화에 따른 도시의 열환경 구조의 변화는 토지이용의 변화에 따른 피복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들이 수행된 바 있다. 이렇듯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도심 지표면을 덮고 있는 포장재도 변하고 있다. 대표적인 토지피복재로는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등의 인공포장재, 수계, 삼림 등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최근 도심의 발달로 인해 도심의 표면은 점차 인공포장재인 아스팔트와 콘크리트로 덮여지고 있다. 인공포장재는 맑은 여름철 낮에 받아들인 열을 야간에도 머금고 있어 도시열섬현상의 주요원인이 된다.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토지이용형태가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토지피복의 변화는 그 지역의 기온과 풍향, 풍속뿐만 아니라 지표온도도 변화시키므로 도시 열환경 구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과거에는 자연 환경과 도시공간에 대한 인식이 다른 분야로 나누어져서 다루었지만 현재 위성영상 기술의 발달로 많은 공간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 바 도시기후변화에 더욱 직접적이고 근본적인 접근이 쉬워졌다. 원격탐사기법의 활용은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동시간대 평면적인 열구조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데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도시지역을 덮고 있는 인공자재의 존재가 도시열섬의 형성과 밀접하게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기후변화의 문제점을 더욱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에 따른 지표면 온도 상승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저감 시킬 수 있는 대책들이 수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보다 세분화된 도시 열환경을 정량적으로 분석 평가하기 위해서 토지피복별 분류를 3가지로 대구시 중구 경북대학교 부속 고등학교(이하 사대부고 지점)를 도심지역으로,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우포늪(이하 우포지점)을 수계지점으로,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만음리(이하 안동지점) 지점과 대구시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 팔공산 한티재 도립공원(이하 팔공지점)을 산림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대구 계명대학교 기후환경연구실에서 보유하고 있는 AWS(Automatic Weather Station) 자료로 기상요소를 분석하였으며, MODIS Terra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지표온도를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또 기상요소와 지표온도를 이용해 회귀식을 도출하여 추정기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계절에 따른 기온의 시간변화는 여름의 평균기온이 $25.13^{\circ}C$$24.12^{\circ}C$로 사대지점과 우포지점의 평균기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도심에서 발생되는 인공열의 영향으로, 우포지점은 수계의 특징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계절에 따른 풍속의 시간변화는 여름의 경우 우포지점의 풍속이 1.63m/s로 가장 높은 반면 안동지점의 풍속이 0.27m/s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의 경우 팔공지점의 풍속이 1.82m/s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토지피복에 따른 지표면의 변화가 도시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또 지표면 온도와 기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MODIS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세 지점을 대상으로 토지피복에 따른 열환경을 평가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산출한 지표면 온도는 여름철 주간에 안동지점의 경우 주변지역에 비해 지표면 온도가 약 $26^{\circ}C$로 낮게 나타났으며 우포지점의 경우 수계가 가지는 열 완충능력으로 약 $27^{\circ}C$의 낮은 지표면 온도를 나타내었다. 사대지점의 경우 약 $34^{\circ}C$이상의 높은 지표면 온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산출한 지표면 온도와 관측된 기온과의 회귀식을 도출하여 상관분석 한 결과, 모든 지점의 값에서 상관성 및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추정한 기온은 지표면 온도와의 차이가 있지만 유사한 패턴의 결과로 추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도시의 인공자재를 이용한 건축과 개발이 도시열섬현상을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시계획에 있어서 인공구조물에 의한 기온과 풍속이 받는 영향을 고려하여 도심의 인공구조물의 배치나 자재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열교환의 방해 및 바람순환이 확보되는 구조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 PDF

Evaluation of Farm Lands located in Urban Area and Industrial Complex using Insect Diversity Indices (곤충 다양성 지수를 이용한 도시 및 공단지역 농경지 환경평가)

  • Choi, Young-Cheol;Kim, Jong-Gill;Choi, Ji-Young;Kim, Won-Tae;Shim, Ha-Sik;Park, Beong-Do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6 no.3
    • /
    • pp.363-373
    • /
    • 2007
  • To evaluate environment of farm lands using indicator insects and evaluation indices, the insect abundance of which is one of the major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agricultural environment of farm land in urban areas and industrial complex, three sites (Ansan, Daesan, Suncheon) were designated and monitored from 2004 to 2006. The flora of agricultural land was more than urban areas and industrial complex of that in three sites. Soil, water and air pollution of urban areas and industrial complex were more serious than those of agricultural land in three sites. Overall population of insects were high from June to August in the surveyed three sites. Collected insects in agricultural land were 12 order, 106 family and 166 species, those in urban areas were 11 order, 102 family and 148 species, and in industrial complex were 11 order, 100 family and 152 species. Species and population belonging to Coleoptera was dominant in the surveyed sites. The insect diversity indices of farm land were 2.36 in agricultural land, 1.92 urban areas and industrial complex. And agricultural environment of agricultural land was good, urban areas was common and industrial complex was poor. Based on the major criteria of evaluation items, the criteria were selected as diversity index over 2.1, insect indicator Pheropsophus javanus in agricultural land, diversity index 1.5-2.0, insect indicator Nephotettix cincticeps in urban areas, diversity index below 1.5, insect indicator Pagria signata in industrial complex.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Sites Using the Density and Diversity Indicators of New Startup Stores (신규 창업점포의 밀도 및 다양성 지표를 활용한 도시재생사업 대상지 평가에 관한 연구)

  • Jang, Seongman;Park, Yongsu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7 no.2
    • /
    • pp.3-16
    • /
    • 2021
  • This study analyzed various indicators of new stores targeting urban regeneration areas and compared them with the control group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revitalization of areas whe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taking pla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 density of new start-ups in urban regeneration area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rough this, urban regeneration areas will bring about an influx of new floating populations and will act as a positive factor in local revitalization. Second, the urban regeneration areas and the control group were compared based on the business type of new start-up stor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rban regeneration areas have a high proportion of industries targeting the active population, not residents. This will promote local activation by attracting the daytime population. Third, the urban regeneration areas and the control group were compared based on the diversity of the business types of newly established stor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rban regeneration areas in metropolitan cities will induce multipurpose shopping for consumers as stores selling different products are concentrated. On the other hand, urban regeneration areas in small cities will induce consumers to compare shopping as stores selling similar products are concentrated.

The Introduction of Green Infrastructure in South Korea and Its Implication focusing on Urban Resilience (국내 그린 인프라의 도입과 그 기대효과 : 도시 회복력 정의)

  • Kang, Dawon;Seo, Y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53-253
    • /
    • 2020
  • 최근 전 세계는 급격한 기후변화와 도시화의 집중 등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수문학적인 문제, 특히 도시 내 홍수 피해 규모와 빈도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도시 개발은 그레이 인프라(Gray Infrastructure)형을 중심으로 불투수 포장면의 증가를 가져왔다. 그 결과로 자연적 투수층이 감소하여 첨두유량 증가, 침투량 감소와 같은 도시물 순환의 문제점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에 많은 국가들이 그린 인프라(Green Infrastructure)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지하고 그와 관련된 정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그린 인프라는 모든 개발사업의 계획 이전에 고려되느냐 기타 기반 시설의 계획 후 입지를 결정하느냐에 따라 입지 선정 기준을 크게 두 가지로 구축할 수 있는데, 본 연구는 도시 내 물 순환을 관리하여 유출수를 지표로 침투시켜 도시의 회복력을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후자에 해당된다. 자연과 분리되거나 별도로 적용하지 않으면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 수 있으며 소규모로도 물 순환을 가능하게 해 도시의 큰 구조적 변화 없이 적용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신월지구에 선행 된 시험 관측 결과를 토대로 도시 내 그린 인프라의 설치에 따른 도시 회복력에 대한 정의를 내려보았다.

  • PDF

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Deserted Houses and Its Implications on the Urban Decline and Regeneration (공폐가 분포 분석을 통한 도시쇠퇴의 공간적 구조 연구: 광주광역시 주거 지역을 중심으로)

  • Kim, Hwahwan;Choi, Hyeonggwan;Lee, Minseok;Jang, Mun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3 no.1
    • /
    • pp.118-135
    • /
    • 2017
  • The decline in urban center,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economic slump and etc. have caused empty or deserted houses in the city. The government recognizes the houses as the reason for the accelerated formation of local slum, and as the negative element threaten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urban landscape, social stability and others.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or deserted houses in Gwangju metro city, identifying hotspots and classifying those hotspot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indicators as well as physical ones, and examin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n the urban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is a positive spatial autocorrelation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and deserted houses in Gwangju metro city. Second, several hotspots are identified mainly around the old CBD area showing a sign of urban decline. Third, the indicators of urban decline were visualized using triangulation charts, and hotspots of empty(deserted) houses are classified so that the classification could serve for effective urban regeneration policy making tailored for each region.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Information Sharing Portal for Urban Regeneration (도시재생 정보공유 포털 개발 연구)

  • Yang, Dong-suk;Yu, Yeong-hwa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2.11a
    • /
    • pp.1783-1785
    • /
    • 2012
  • 도시재생의 효율적인 정책수립 및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여러 분야에서 제공되고 있는 다양한 정보 DB들을 연계하여 체계화된 도시재생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종합정인 정보제공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쇠퇴의 진단을 바탕으로 재생 필요지역 추출, 지표 모니터링, 평가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관련 정보의 효율적인 유통 및 정보 피드백을 통해 도시재생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정보공유 포털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the Check System of the City-Decline Based RIA(Rich Ineternet Apllication) (RIA기반의 도시쇠퇴진단 시스템 개발)

  • Yang, Dong-Suk;Cho, Seung-Yeoun;Yu, Yeong-Hwa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1.04a
    • /
    • pp.1411-1414
    • /
    • 2011
  • 도시재생에서 정책을 수립하고 사업을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도시가 어느 정도 쇠퇴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쇠퇴의 종합적인 진단을 위해서는 물리 환경, 인구 사회, 산업 경제 등에 대한 판단기준인 쇠퇴지표가 개발되어야 하며 그에 따른 DB를 구축하여 쉽고 빠르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군구단위 도시쇠퇴를 진단할 수 있는 RIA 기반의 도시 쇠퇴진단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웹기반으로 개발되어지고 WMS, OpenAPI, RIA 방식등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경험(UX)을 최대한 활용하여 이용자들이 직관적이고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A Study on Evaluation Indicators for u-City Business Model Feasibility (u-City Business Model 사업타당성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 Kim, Tak-Yeol;Park, Hee-Jun;Kim, Il-Kyum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5a
    • /
    • pp.3-7
    • /
    • 2009
  • 최근 우리 사회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발전과 지자체별 u-City 건설 붐에 힘입어 도시민의 삶의 질 개선과, 도시관리 기능의 효율화를 위한 차세대 서비스 사업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반면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기술 수명주기의 단축과 시장의 급변은 사업 전개에 있어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어 사업 계획 단계에서부터 사업의 타당성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과거의 전통적인 Business로부터 u-Business로의 진화과정을 살펴보고 기술의 발전과 가치의 변화에 따른 u-Business의 성공요인과 u-City 사업의 특징 분석을 바탕으로 u-City 사업 계획 단계에서 적용 가능한 u-City Business Model의 사업타당성 평가지표를 도출하고자 한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 Loss Management in Urban Areas Using Different Performance Indicators (여러 가지 지표를 이용한 전국도시의 물손실관리 수행능 비교평가)

  • Chung, Shin-Ho;Yu, Myong-Jin;Koo, Ja-Yong;Lee, Hwa-K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8 no.2
    • /
    • pp.117-127
    • /
    • 2006
  • Recently International Water Association(IWA) has proposed new performance indicators for water supply services and their successful applications are being reported continually. According to the various reports, the percentage indicators were suggested not to be used for performance comparison, especially where the targeted areas have great difference in consumption per service connection. But unfortunately in Korea the revenue water ratio, one of the percentage indicators is still being used to set up the goal of water-related administration and to compare the performances between system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ove the inapplicability of the percentage indicators with nation-wide data and to suggest better performance indicators for more efficient water loss manage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various performance indicators with conventional one, it is roved that percentage indicators ca not evaluate the performance efficiently where the local situation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t is suggested that the better performance indicators such as real losses per service connection or ILI should be used to benchmark the performances of water suppliers on water loss management so thai the problems of water losses could be identified easily and recovered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