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시철도 혼잡도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초

대중교통카드 자료를 활용한 도시철도 승강장 혼잡도 추정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Estimating Subway Platform Congestio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Card Data)

  • 이호;최진경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70-277
    • /
    • 2015
  • 수도권 도시철도 일부 구간에서는 이용객의 집중화에 따라 극심한 혼잡이 발생하고 있다. 도시철도 운영회사들은 정기 및 분기별 혼잡조사를 실시하여, 혼잡개선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조사는 열차혼잡도에 국한되어 있으며, 이벤트 발생에 따른 비반복 혼잡에 대한 조사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카드자료를 활용한 시간대별 승강장 혼잡도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도록 한다. 알고리즘 검증을 위하여 2호선 잠실~신도림 구간의 비환승역을 대상으로 혼잡도 추정치와 실측치 값을 비교하였으며, 오차의 범위는 ${pm}2%$ 이내였다. 연구결과는 승강장 혼잡도를 시간대별로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장기적인 승강장 혼잡도분석을 통한 승강장 대기공간의 적정성 여부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반영하지 못한 역별 게이트에서 승강장까지의 혼잡상황을 고려한 동적보행시간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열차운행계획을 반영한 수도권 도시철도 열차 혼잡도 분석모형 연구 (Train Crowdedness Analysis Model for the Seoul Metropolitan Subway : Considering Train Scheduling)

  • 이상준;윤성진;신성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17
    • /
    • 2022
  • 수도권 도시철도 혼잡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도시철도 혼잡을 정확히 분석하는 연구 또한 해결방안 중 하나일 것이다. 현재 계수법, 중량검지법, CCTV, 모바일 Wi-Fi 등을 활용한 혼잡도 분석방법론은 결과의 정확성이 낮거나 단일 노선 및 열차에만 국한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승객의 다중경로 이용행태와 수도권 도시철도 열차운행계획을 반영한 열차 혼잡도 분석모형을 제시하였다. 특히 열차 용량 초과시 승객이 대기한 후 다음 열차에 탑승하는 통행패턴을 고려하여 열차 혼잡도 산정의 정확성을 제고하였다. 열차 혼잡도는 10분 단위로 갱신되어 시민에게 혼잡정보 제공이 가능하므로 사회적 편익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도시철도 운행 서비스품질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for Urban Railway Operations Using Simulation)

  • 김동희;이홍섭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56-163
    • /
    • 2017
  • 대도시 고밀도 도시철도에서는 상습 열차운행 지연과 혼잡으로 승객의 불편과 불만이 커지고 있다. 도시철도는 열차운행의 비정규성과 수요의 불확정성 등 지역간 철도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도시철도 운영회사에서는 실적자료를 기반으로 열차운행품질과 혼잡도와 같은 서비스품질을 집계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수요와 승객행태에 따라 열차운행이 동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실제 느끼는 서비스품질을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승객 관점에서의 서비스품질을 계량화하고, 도시철도에서 수요에 따른 정차시분 및 열차운행상태의 동적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방법과 지연/혼잡 해소방안에 대한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운행서비스품질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활용한 도시철도 서비스 평가 (인천 1호선의 차내혼잡과 정시성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Metro Services based on Transit Smart Card Data (A Case Study of Incheon Line 1))

  • 엄진기;최명훈;김대성;이준;송지영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80-8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인천 1호선 구간을 대상으로 2009년 집계된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활용해 승객좌석점유(혼잡도)와 정시성 지표를 사용하여 도시철도 서비스를 평가하였다. 차량단위의 대중교통 서비스 평가를 위해 개별 이용객의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스케줄에 의해 운행되는 차량단위로 집합화하였다. 분석결과 인천 1호선 하행선(계양${\rightarrow}$국제업무지구)의 오전 첨두 시간대(7시-9시)의 차내 혼잡과 차량의 정시도착 측면에서 낮은 서비스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차내 혼잡도와 정시성 간에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이는 이전 역에서의 높은 승객수요가 지속적인 열차의 연착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혼잡관리 모형을 이용한 도시철도 이용객 동선유도시스템 기본설계 (Preliminary Design of a Urban Transit Passenger Guidance System Using Congestion Management Model)

  • 김광모;박희원;김진호;박용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610-3618
    • /
    • 2015
  • 도시철도 차량 및 역사 내 혼잡도가 최고 220%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방향별 동선의 충돌로 인해 보행자의 이동저항이 급속히 증가해 통행시간 증가, 안전사고 발생 등 도시철도 역사의 이용효율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 도시철도 이용객의 역사 내 이동속도 및 쾌적성 향상을 위한 혼잡관리 모형을 이용한 도시철도 이용객 동선유도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반복혼잡/비반복혼잡을 고려할 수 있는 혼잡관리 모형을 구성하셨고, 미들웨어시스템, 제어시스템, 동선유도구동시스템으로 구성된 동선유도시스템의 기본설계를 수행하였다. 동선유도시스템은 외부데이터를 알고리즘에서 사용가능한 형태로 변경하는 미들웨어시스템 단계와 실시간 데이터 및 과거 데이터를 통해 혼잡관리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와, 산정된 혼잡관리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LED표시장치, 방향유도 표시기, 이동식 가이드레일 등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의 단계와 제어시스템의 정보를 기반으로 LED표시장치, 방향유도 표시기, 이동식 가이드레일 등의 장치를 실제로 구동하는 동선유도 구동장치 단계와 이용자가 실제로 접하는 LED표시장치, 방향유도 표시기, 이동식 가이드레일 등의 동선유도장치로 이루어진다. 향후 본 기본설계를 기반으로 시스템의 상세설계를 통해 도시철도 역사의 구조 및 지점에 따른 다양한 동선유도장치의 시작품을 제작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동선유도제어 모듈을 개발할 예정이다.

2호선 혼잡구간 OD수요 분리유도를 통한 혼잡도 개선 방안 (교통카드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Load Factor Decrease In The Seoul Metro Circle Line through Analyzing Passenger OD Demand)

  • 엄진기;송지영;이광섭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457-465
    • /
    • 2014
  • 본 연구는 교통카드자료를 이용하여 승객 OD를 분석하고 서울시 도시철도 최대 혼잡구간인 2호선 외선구간(사당~삼성)의 혼잡도 개선을 위한 통행 수요관리 정책을 제시하였다. 삼성역 이전 목적지 승객과 삼성역 이후 목적지를 가진 승객의 수요를 분리 유도하기 위한 기존 순환선과 삼성역까지 운행하는 단절운행 열차를 혼합으로 운행하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순환선 탑승비율이 70%이며 순환선과 삼성행 단절 열차 투입빈도가 1:3일때 최고 11.3%의 혼잡도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호선 혼잡구간을 통과하는 수요를 분리하는 수요관리 대안은 최소의 비용으로 혼잡도를 개선함과 동시에 승객의 쾌적성 개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철도 적정 최소소요 정차시분 추정모델 (An Estimation Model of the Minimum Required Dwell Time for Urban Railway)

  • 김동희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953-960
    • /
    • 2009
  • 도시철도 주요구간에서는 상습적인 지연 및 후행열차로의 지연파급확산으로 구간운행시분 증대 및 정시운행 불가, 나아가 혼잡증대로 인해 이용승객이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운행계획은 승객과의 약속이자 타 자원운영계획과 연계하여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고밀도 운행 도시철도의 경우 정차시분이 운행시격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며, 효율적 서비스계획 수립 시 정차시분의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철도 분야의 정차시분 관련 선행연구동향을 살펴보고, 국내 운영기관 환경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최소소요 정차시분 추정모델과 실제 현장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치사례를 함께 제시한다.

대중교통카드기반 수도권 도시철도 통행수요배정모형 (Development of Dynamic Passenger-Trip Assignment Model of Urban Railway Using Seoul-Incheon-Gyeonggi's Transportation Card)

  • 손지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105-114
    • /
    • 2016
  • 수도권에는 1일 약 2000만 건의 대중교통카드 전수자료가 생성되고 있으며, 이 자료를 이용하여 시설운영 및 정책방안을 개선하고 도출하려는 시도가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교통카드에서 생성되는 동적인 수요변화의 예측 가능성을 모형화하는 시도로서 동적 통행수요배정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버스의 경우 승객 이동상황이 카드태그(tag)를 통해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버스를 제외한 수도권 도시철도에 대해, 7개 운송기관이 운영하는 노선을 대상으로 적용되는 모형 및 알고리즘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은 교통카드자료의 Big Data 속성에 적합하게 연속 시간형 모형으로 구축되었으며, 승객의 경로선택행태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환승 횟수 증가에 따른 인지파라메타를 구성하였다. 수도권 도시철도 약 800만 쌍에 대하여 모델링한 결과, 연속형 시간기반 모형의 장점이 반영되어 어떤 시간 시점에서도 동적 수요를 분석할 수 있는 특성을 파악하였다. 특히 기존 철도운영기관의 목측조사자료와 비교한 혼잡도 변화를 파악할 때, 모형에서 도출된 혼잡도와 운영기관이 제시한 혼잡도 간에 유사한 추세를 보이고 있어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철도기관에 한정한 모형으로 향후, 버스-도시철도와 통합된 모형체계 구축과 같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파악된다.

친환경적 도시철도 혼잡역사 개선에 관한 연구 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etro station's congestion with an environmental-friendly approach)

  • 백종명;신민호;김한배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1-199
    • /
    • 2011
  • 수도권의 인구 집중화와 역세권 주변 개발 등으로 다수의 역사가 건설당시 추정 이용승객을 초과하여 혼잡한 실정으로 이에 지하철 이용승객의 안전과 비상대피 공간확보, 쾌적한 승차 환경조성을 위하여 친환경적으로 도심지 지하철역사의 혼잡도 개선 관한 연구방안.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