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적요소

Search Result 1,35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Regularization of 3D Building Models (3차원 건물모델의 정규화)

  • Kim, Seong-Joon;Lee, Im-Pyeo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296-300
    • /
    • 2009
  • 가상현실이나 인터넷 웹지도 서비스와 같이 3차원의 실세계를 시스템 상에 그대로 재현(reconstruction)하기 위해서는 정교하고 세밀한 3차원 도시모델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3차원 도시모델의 자동생성은 원격탐사 및 사진측량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다양한 센서 데이터와 기 구축되어 있는 GIS자료를 이용하여 건물, 도로, 지형 등의 도시모델을 자동으로 생성하고자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추출한 각 기본요소(primitives)-평면패치(planar patches), 에지(edges), 모서리(corners)에 대한 국부적인 정제(refinement)는 수행하였으나, 생성한 건물 모델에 대한 광역적인 조정을 통한 정규화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B-rep (boundary representation) 형태의 건물 모델에 대하여 기하학적인 제약요소(constraints)를 이용한 정규화(regularization)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건물의 Domain Knowledge에 기반하여 도출한 건물을 구성하는 기본요소(primitives)간의 인접성, 직교성, 평행성, 교차성 등의 다양한 제약조건을 이용하여 광역적으로 조정한다. 시뮬레이션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의 분석을 통해 제안된 정규화 방법을 통해 오차가 포함된 건물모델이 보다 정형화된 형태로 조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The Urban Water Cycle Planning Elements and Hydrologic Cycle Simulation for Green City (녹색도시 물순환 계획요소 및 수문순환 모의)

  • Lee, Jung-Min;Kim, Jong-Lim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3 no.3
    • /
    • pp.271-278
    • /
    • 2012
  • The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has been a world-wide issue. Also, the green growth has been a widely adopted strategy for national and regional development. In particular, after the Kyoto Protocol to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was declared, the low carbon society was inevitable phenomenon. The hydrologic cycle in urban catchment has been changed due to the expansion of impervious area by rapid urban development. This paper has examined the Water cycle planning elements for green city in the scale of urban planning as well as site planning including housing site. In this study, the SWMM5-LID (Storm Water Management Model5-LID)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hydrologic cycle of the test catchment as a typical urban catchment. We performed continuous simulation on urban runoff before and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test catchment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Green city planning Elements.

Identifying Universal Design Factors for Reducing and Preventing Negligent Accidents in Urban Railway Station (도시철도 역사 안전사고 감소 및 예방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요소 도출)

  • Kwon, Youngjong;Kim, Sigon;Kim, Hwangba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5
    • /
    • pp.1097-1102
    • /
    • 2015
  • Negligent accidents in urban railway station not only give damages to users but also cause avoidance of public transport usag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esign factors in designing urban railway station for reducing and preventing negligent accidents in the station. Especially this study identifies design factors from the perspectives of universal design concept which is for all persons. This study classified negligent accidents in urban railway stations, analysed degree of danger and identified the causes of accidents. Then this study identified universal design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priority of accident factors relating to negligent acci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in designing urban railway station for reducing and preventing negligent accident in urban railway station.

Deriving Smart City Elements Considering for the Disabled with Information - For the Elderly - (정보약자를 고려한 스마트시티 구성요소 도출 - 고령자를 대상으로 -)

  • Park, Hyun Joon;Kim, Jong Gu;Shin, Eun H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4
    • /
    • pp.541-549
    • /
    • 2019
  • Recently, Korea has been attracting the attention of smart city as a solution to urban problems along with the era of For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tourism, industry, and specific high-class residential complexes are being formed, and the disabled with information such as the elderly and disabled who can actually get help are not experienced. This study establishes the concept of smart city suitable for domestic and derives the priority of physical and non-physical elements of smart city considering information weakness. Smart City considering disabled with information has concluded that not only physical elements but also non-physical components are important, and deriv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ts and the priorities of actual information weak people. We will propose a smart city development direction that takes into account information weak people that can be developed and advanced in response to the needs of information weak people.

A study on road design for realization of u-construction (u-건설 구현을 위한 도로설계 연구)

  • Pyeon, Mu-Wook;Lee, Jin-Young;Park, Jae-Sun;Kim, Nam-Kyu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441-446
    • /
    • 2007
  • 정보기술의 발달은 산업 전반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 요소가 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 기술을 프로젝트에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기존 프로젝트의 수행에 있어 불합리한 점을 제거하고 개선함은 물론 전체 프로세스에 대한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건설부문은 계획,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공종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수행되는 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실제 건설공사의 현장에 접목하려는 시도는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른바 u-city 건설은 IT기반의 첨단공공서비스가 사회전반에 제공되는 도시를 말한다. 최근에 기존 도시를 첨단화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신도시를 건설하는 지방자치단체 또는 국가주도형 사업은 대부분 첨단 유비쿼터스 기술을 적용, 도시 서비스의 차별화를 구축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도시의 근간을 이루는 토목사업중 도로를 설계함에 있어 관련되는 유비쿼터스 요소기술을 도출하고, 이를 설계에 반영하므로 u-건설의 실질적인 접근방향을 모색하고, 동시에 지속적인 u-건설이 가능할 수 있는 기반을 삼고자 한다.

  • PDF

A Case Study on the Space Design of Small - Households Considering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을 고려한 소형가구의 공간디자인 사례연구)

  • Park, seong-su;An, se-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63-264
    • /
    • 2018
  • 1980년대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가구의 형태는 핵가족의 형태였으나 2010년을 기점으로 1,2인 가구가 핵가족의 비중을 넘어서 우리나라는 소형가구(Small-Households) 시대를 맞이하였다. 현재까지 확장적 개발 중심의 도시 개발로 인해 계속적으로 증가한 주거비용은 소형가구들의 주거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하는 요소로 작용 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도시에서의 소형가구들을 위한 주거 공간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국내, 외 선행 연구 사례와 지속 가능한 도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성의 3요소를 소형가구의 라이프 스타일 그리고 주거 공간과 연관 지어 공간 디자인 방안을 모색한다.

  • PDF

Analysis on the Design Developing for the Better Park -Focused on Busan Children's Grand Park- (문화, 예술 공원 조성을 위한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부산 어린이대공원을 중심으로-)

  • Hong, Dong-Sik;Woo, Sang Chul;Kim, S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09-410
    • /
    • 2011
  • 도시경관에 있어서 이를 구성하는 시각적 요소로서의 도시시설물, 건축물 등의 주변 환경과의 조화는 도시의 정체성 및 이미지를 결정 짖는다. 현대 서울을 비롯한 국내 대부분의 도시는 난립된 간판과 도시시설물들이 주변 환경과 조화롭지 못하고 지역마다의 고유색이 사라지고 어느 도시나 비슷하게 획일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도시들은 고유의 도시 정체성을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으며, 세계적 수준에 못 미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도시경관디자인 개선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국내 도시경관디자인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추후 국내 도시경관의 체계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자료로 사용 가능케 한다.

  • PDF

METROPOLITAN INTERIOR - Interior Design as Urban Discipline - (대도시적 인테리어 디자인 - 도시분야로서의 인테리어디자인 -)

  • Bruno, Marco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3 no.2
    • /
    • pp.100-108
    • /
    • 2004
  • 인테리어 디자인학은 보편적으로 건물의 내부공간, 즉 매우 명확한 경계들을 전제로 잘 정의된 공간들에 관한 연구로 그 범위가 제한되어져 왔다. 따라서 건축, 도시, 또는 매우 광대한 의미에서의 환경디자인의 특권으로 알려져 있는 도시에 관한 쟁점을 그다지 자주 다루지 않는 편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극도로 고밀도화된 현대의 대도시들은 주요 지하 교통망을 중심으로 상업, 유흥, 업무시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주거단지에 까지 쉽게 연결되는 거대한양의 전이 실내공간들을 창출해내고 있다. 이것이 최근 홍콩의 건축가 게리 챙(Gary Chang)에 의해서 규정된 새로운 개념의 고밀도 도시 인테리어 랜드스케이프(interior landscape)인 것이다. 이러한 인테리어스케이프의 개념은 현대 도시의 모습 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개념들 중의하나라 할 수 있는데 다양한 요소들이 혼합된 그 특성은 이제 사회학, 건축, 인류학, 도시탐험, 인테리어 디자인, 도시 그리고 환경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뜨거운 논쟁의 주제로 떠오르게 된 것이다. 이제 도시에 관한 연구는 더 이상 외부에서 내부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고, 내부에서부터 출발되는 것이다. 극도로 밀집된 아시아의 대도시들은 이렇게 혼잡한 도시환경의 모든 요인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흥미로운 상황들을 제공해 주고 있다. 상업적 목적으로 건물 전체를 사용하는 수직적 전략이나 다양한 문화적 행태들은 도시 환경의 '혼잡성'을 그냥 참을만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도시만의 매력적 요소로 부각시켜 주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인테리어스케이프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이론적 논쟁들의 분석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장소성의 부재'의 개념, 혼잡의 문화, 공공공간의 사유화, 결절도시, 한계의 개념들을 분석하여 아시아 대도시들이 어떻게 이러한 쟁점들을 그들 자신만의 고유한 해결책으로 발전시키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서울을 사례분석 중 하나로 사용하여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의 경계를 대도시로 확장하는 동시에 새로운 적용영역의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있다 하겠다.

Changes in Urban Scene Elements in the Pandemic (팬데믹 시대의 도시 씬 요소 변화)

  • Gu, Suna;Jang, Won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3
    • /
    • pp.262-275
    • /
    • 2020
  • Due to the pandemic caused by Corona 19, cities around the world have faced a change. As the global economic system weakens, localization is increasing in the produc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In addition, consumption patterns have changed in urban where localization has been strengthened. As a result, the way physical places are consumed is also changing. Consumption of large multi-use facilities has drastically decreased, the speed of the collapse of the online and offline boundaries has been accelerated, and the consumption of amenities for sharing tastes has become more subdivided, specialized, and private. A big change also appeared in the urban scene, which is perceived as the concentration of urban amenities. Local scale and locality became important in the urban scene, and a new urban scene element called empathy emerged. Empathy aims to connect socially and emotionally to individuals consuming urban amenities. The pursuit of connectivity, taste consumption, and nostalgia. In this study, the space for cultural consumption based on empathy was named as empathetic space and the concept was explained. The importance of empathic space in the urban scene in the future post-corona situation was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