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연구

Search Result 12,16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Urban Planning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nd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in Korea (기후변화대응 도시계획과 전략환경평가)

  • Lee, Jong 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0 no.6
    • /
    • pp.937-952
    • /
    • 2011
  • 정부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세계적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2010년 1월)을 제정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추진하고 있다. 저탄소 녹색성장은 신재생에너지,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5+2 광역권개발정책, 저탄소 녹색도시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탄소 녹색도시계획 및 이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의 동향을 고찰하고, 저탄소 녹색도시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 관련 연구를 고찰한 후, 환경부의 사전환경성검토 업무매뉴얼의 도시계획의 환경성제고 방안과 국토해양부의 전략환경평가 업무처리규정, 도시계획수립지침,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계획수립지침(2009), 저탄소 녹색도시계획 표준모델(2010), 녹색도시개발계획 등을 포함하면서 개정된 도시개발업무지침(2011)이 도시계획에 제대로 반영되는지를 검토하고, 외국의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전략환경평가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 대응 도시계획의 내용은 저감방안과 적응방안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 데, 저감방안은 경제적 및 기술적으로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전략환경평가는 저감방안과 함께 적응방안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후변화 대응(저감과 적응)을 위해 전략환경평가의 목표와 지표를 설정한다. 셋째, 국토해양부의 상위계획(광역도시계획과 도시기본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와 환경부의 하위계획(도시관리계획)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의 긴밀한 연계가 필수적이다. 넷째, 전략환경평가는 도시기본계획 수립 후에 이뤄지는 독립된 과정이라기보다는 도시기본계획 수립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기적으로는 도시기본계획과 도시환경계획을 연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evelopment Method and The Current Situations in South Korea's Health Cities Based on Health-friendly Models (건강친화성(健康親和性) 모델에 기초(基礎)한 우리나라 건강도시(健康都市) 현황(現況) 및 발전방안(發展方案) 개발(開發))

  • Jeong, Gil-Hoo;Na, Baeg-Ju;Lee, Moo-Sik;Kim, Keon-Yeop;Jeong, Gye-Rim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339-342
    • /
    • 2009
  • 본 연구는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회원도시 23개 자치단체 건강도시 추진 담당자에게 건강도시 추진현황 및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2007년 2월부터 2007년 12월 까지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회원 도시 담당자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건강도시 사업 일반현황, 건강도시 사업 기본현황, 건강도시 발전방향 등에 대하여 조사 분석 하였으며 모든 처리 방법은 SPSS 12.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지자체 일반현황은 23개자치단체중 도시형(47.8%), 농촌형(52.2%)이며, 가입년도별로는2004년(17.4%), 2005년(30.4%), 2006년(26.1%), 2007년(26.1%)로 나타났다. 2. 건강도시 사업추진현황을 보면, 장기계획수립(43.4%), 생활터접근(69.5%), 민정보제공(78.2%), 협력대학(82.6%), 부서협력잘됨(34.7%), 네트워크적극참여(34.7%), 세미나실시(47.8%)로 나타났다. 3. 건강도시 발전방향 으로는 추진 시 가장 어려운 점은 사업개발(39.0%), 우선순위로는 부서협력(30.4%), 핵심인물단체장(82.6%), 발전가능성지속발전(65.2%), 발전기여(86.9%), 시행주체국가주도(52.1%)로 나타났다. 4. 도시형태별 건강친화성 평가점수는 69점이하 도시형(8.60%), 70~79점농촌형(21.7%), 80~89점 도시형(26.0%), 농촌형(17.3%), 90정이상 도시형(13.0%), 농촌형(13.0%)로 나타났다. 5. 조직구성여부별 건강도시 기본현황 추진실태를 살펴보면, 조례제정여부 조직구성(100%), 미 구성(81.8%), 운영위원회 구성 조직구성(100%), 미 구성(54.5%), 프로파일작성 조직구성(100%), 미 구성(81.8%), 예산확보 조직구성(100%), 미 구성(81.8%)로 나타났다. 조직구성이 건강도시 사업추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건강도시 사업추진 시에는 건강도시를 추진하는 담당부서 구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건강도시 사업추진은 먼저 시작한 도시가 건강친화성 평가 점수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건강도시 사업은 일시적인 사업이 아닌 끊임없이 노력하는 도시가 되어야 하며, 건강도시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가주도하에 실시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 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If urban diagnosis system base on GIS (GIS기반의 도시진단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문병채;박종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0 no.3
    • /
    • pp.385-40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construction of UDS(Urban Diagnosis System) which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selecting or classifying the districts for carving out projects of urban planning based on urban geographic information. In order to promote projects of urban planning, it is essential that selecting or classifying the urban districts should be precisely diagnosed according to the respective blocks. Objective measuring standards are needed for this, and the UDS can be applied to analyzing these standards according to the levels. With these in mind, this paper will consider the present states of Korea and the established states of developed countries. Besides, the interest of this paper is to seek the ways of utilizing GIS most effectively in the urban planning areas and application methods. Also, it will find the ways of applying UDS extensively to selecting or classifying districts far the purpose of carrying out urban planning projects actually in the case areas.

  • PDF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arbon Emission and Urban Spatial Patterns (도시패턴과 탄소배출량의 관계 분석)

  • Kim, In-Hyun;Oh, Kyu-Shik;Jung, Seung-Hyu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1
    • /
    • pp.61-72
    • /
    • 2011
  • Greenhouses gas emission due to usage of fossil fuel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main causes of global warming. Fundamentally, greenhouse gas is a by-product of economic activity. Since majority of economic activity happens in an urban setting, a countermeasure in an urban setting is needed. Therefore,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arbon dioxide emission and urban form will be investigated for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bon dioxide emission and urban spatial patterns, and suggesting an urban form with low carbon dioxide emission. In order to achieve this, first theore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on urban spatial patterns related to physical size, usage rate, and activity level. Secondly, Seoul's dam on electricity, natural gas, local heating, petroleum, and water usage and mapping a carbon dioxide emission map. Thirdly, relationship between carbon dioxide emission and urban spatial patterns are analyzed and urban spatial patterns that affects energy usage in urban setting was elucidated, and elicited implications on future directions on urban planning based on our analyses above.

A Study on Design Development Direction for Designing Aging Friendly City through The Case Analysis (사례분석을 통한 고령친화도시 디자인 개발방향연구)

  • Nah, Ken;Sung, Sora;Jeon, Youngje;Lee, Eunky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6
    • /
    • pp.61-6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foundational design direction for seniors, according to paradigm shift in aging society. This paper researched on current state of the aging society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defined the theoretical concept that set the foundation of the study. Secondly, for building an age-friendly city, relevant studies on seven cities were selected and their regional design guidelines were analyzed. As a result, essential design elements for building the aging-friendly city were defined as safety, recognition, and accessibility. A detailed design guideline that applies the three elements with understanding on seniors is required to construct the environment for a senior-friendly city. Ultimatel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in practical use as a fundamental resource for age-friendly city design.

Study on a 3D Visualizati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지하시설물의 3D 시각화에 관한 연구)

  • Kim, Kwang-Ho;Cho, Hong-Beom;Kang, Byung-Jun;Kim, Min-Suck;Kim, I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32-237
    • /
    • 2008
  • 지하시설물은 상수, 전력, 가스를 공급하고, 하수를 처리하는 동시에 정보통신망을 구축하는 중요한 도시기반시설이기 때문에 지하시설물에 관한 정보가 상당히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도시시설물들은 지상에 설치되어 왔으나 도시의 집중화에 따른 건설안전, 도시 미관, 유지 관리의 용이성을 위하여 시설물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향이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지하시설물의 효과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 중 상 하수도 정보의 3차원 영상 가시화 기능을 개발하여 도시 지하시설물의 체계적인 관리 기술 및 안전성 확보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한 3차원 영상 가시화 항목은 현행 도시 관리 체계에서 다루고 있는 지리적 범위내의 지하시설물 중 상 하수도 시설물이다. 도시 지하시설물의 3차원 시각화를 위하여 지하시설물의 항목 별 분류를 수행하였으며 지하시설물의 3차원 시각화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지하시설물 항목별 데이터 관리 방안을 수립하여 3차원 관리 대상 데이터를 제시하였으며 가시화 테스트를 통하여 3차원 영상 가시화 기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하시설물의 3차원 시각화 기능은 도시 지하시설물 관리 기술의 혁신을 선도한 것으로 기대한다.

  • PDF

Place Values of Urban Agriculture through applying the Concept of Creative Industry Convergence (창조적 산업융합 개념을 적용한 도시농업의 장소적 가치에 대한 고찰)

  • Lee, Seok-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2
    • /
    • pp.900-905
    • /
    • 2012
  • The researches and discussion for regenerating the deprived urban residential areas are proceeding actively. But urban agriculture is regard as a simple tool for participation of resident and its value as primary industry is discussed in part. Now discussion about increasing the place capital is needed to overcome the existing urban development methods that maximizes the space capital as a new alternative. So this research is to give a theoretical basis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It studies the place value improvement through urban agriculture which is applied creative industry convergence. For these, it indicates problems of the methods of existing urban development, reveal the strengths of urban agriculture applied creative industry convergence in the aspect of place value improvement, and suggests a new paradigm for urban regeneration.

국내 도시 커뮤니티가든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 Kim, Hye-Ju;Choe,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17.10a
    • /
    • pp.48-50
    • /
    • 2017
  • 오늘날의 정원(Garden)은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는데 이중 커뮤니티가든(Community Garden)은 도시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자리잡고 있다. 도시에서의 커뮤니티가든은 커뮤니티 활동을 활발하게 펼칠 수 있는 터가 되어주고 있는바 이에 국내 도시 커뮤니티가든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위해 이론적고찰과 현장답사, 자료분석을 토대로 하여 한국적 맥락의 도시 커뮤니티가든에 대한 개념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내 주요 도시 13곳 내에 위치한 35개 사례지를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 한국적 맥락의 도시 커뮤니티가든은 주민조직과 지자체의 행정지도가 어우러진 도심내 유휴지 또는 마을 공터에 조성된 공동경작 또는 개인경작이 어우러진 정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의 도시 커뮤니티가든은 해당 지자체의 관리와 보조금 지급여부에 따라 커뮤니티가든의 물리적 상태가 달라졌으며 따라서, 주민조직체계에 대한 지원과 효율적인 관리시스템이 확립된다면 도시 커뮤니티가든의 지속가능성은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f Spatial Information Platform for Intelligent Urban Facilities (도시시설물 관리 지능화를 위한 도시공간정보플랫폼 구성에 관한 연구)

  • Na, Joon-Yeop;Kim, Ta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97-298
    • /
    • 2009
  • 지능화된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해서는 상하수도, 가스, 난방 등 지하시설물 및 교량, 도로 등 지상시설물에 대한 관리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상호운영성의 기반위에서 통합 운영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플랫폼'이 필요하다. 도시공간정보 플랫폼은 도시내 다양한 센서 단말 등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모니터링 및 분석하여 도시관리 및 정보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정보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플랫폼을 구성하는 세부기능을 정의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도시공간정보 플랫폼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Runoff Analysis of Urban Area Using ILLUDAS Model (ILLUDAS 모형을 이용한 도시유역의 유출해석)

  • Park, Kyoung-Won;Hwang, Eui-Ho;Lee, Eul-Rae;Chae, Hyo-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49-149
    • /
    • 2011
  •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태풍 및 집중호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산업발달과 인구의 도시집중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도시지역의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증가되고 있는 시점이다.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는 자연유역에 비해 도달시간이 단축되고 첨두유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도시지역에서 대부분의 우수량은 관거(합류식의 경우에는 하수관거)를 통해 배제되기 때문에 관거 용량 이상의 강우에 대해서는 이를 충분히 배제하지 못하여 도시홍수 피해의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즉, 도시유역의 배수시스템 능력이 부족할 경우 큰 피해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을 갖는 지역에서는 도시유출모형을 이용한 침수예측과 이에 따른 효과적인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시유출모형 중 ILLUDAS 모형을 이용하여 2010년 9월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굴포천 유역에 대해 내수침수모의를 실행하고 실측침수심도 자료와 비교하여 효과적인 피해 저감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