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연구

Search Result 12,16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Urban Freight TSM Techniques (도시 화물차량 TSM 기법에 관한 연구)

  • 김건영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488-495
    • /
    • 1998
  • 대도시지역은 인구와 경제활동의 밀집도가 매우 높은 지역이나 계속되는 교통혼잡의 가중에의한 신속한 물자이동의 제약과 화물작업을 위한 공간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원활한 수송활동과 물류활동을 제한하는 장애요인들이 화물의 이동에 비하여 많은 실정이다. 도시가 존속하고 생산활동, 소비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원자재, 에너지, 제품 등이 도시내·외를 통해 생산부문간과 개인·집단간에 원활한 수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서울과 같은 대도시는 우리 나라 전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급속하게 증가하는 승용차 위주로 교통소통, 교통체계개선(TSM), 도로망 구축 등의 정책이 시행되어 왔다. 대규모 물류이동이 필수적인 서울의 남대문시장, 동대문시장, 용산전자상가 등 오래전부터 형성되어 온 도심상가지역은 굳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서울 근교 신도시에 점차 확산되고 있는 대형 할인매장 등의 유통업무지구, 대형 사무용 건물 등에 원활하고 적시의 수송지원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물류체계와 화물시스템 못지 않게 그에 따른 도로의 기하하적 구조나 화물차량을 고려한 신호체계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도시 TSM기법 중에서도 화물차량 위주의 TSM기법에 중점을 두고 대도시에 적용 가능한 도로상의 화물차량 소통기법을 연구하여 그 적용성과 기대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크게 도시외곽을 경유하는 화물차량에 관한 도시외곽 화물 TSM 기법과 도시내 통과차량 소통기법, 주·정차 및 조업차량관리기법의도시내 화물TSM 기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외곽 화물 TSM 기법의 주내용은 신호체계 개선과 도로의 기하구조 개선 등이며, 도시내 화물 TSM 기법은 화물차량의 도시내 교통소통 기법과 화물차량의 주·정차 관리 및 조업차량 관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대부분의 TSM 개선방안의 시행주체가 경찰청과 시이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의 원활한 화물교통소통을 위하여 적용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 Study on the Perception on Disaster Safety Level in Urban and Rural Areas (도시 및 농촌지역의 재난안전도 인식조사 연구)

  • Choi, Yun-Jeong;Park, So-Yeon;Koo, Won-Hoi;Baek,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126-12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재난안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도시와 농촌지역의 재난안전에 관한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도시지역에 비해 농촌지역의 재난안전에 관한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재난안전도 특성과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nactment of Basic Laws on the Urban Regeneration (도시재생기본법 제정의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 Song, Young-Hyun;Lee, Chang-Ho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2 no.1
    • /
    • pp.9-17
    • /
    • 2011
  • A urban regeneration project of Korea has been promoted highly attaching to physical reforms, but without fulfilling the basic goal of reactivating city functions through concerning overall areas. Moreover, the general rule and its system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which would provide roles of public and civilians as well as facilitate cooperative urban regeneration, are currently missing. Thus, social stratum continuously requests a framework act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 called Control Tower, to be a guide to the evidently right path to step up. The research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Korea to examine the necessity of Control Tower, and to bring up the way to move on for its efficiency presented below: First, the law should be declarative; possess general, prospective influences on laws and system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Second, the nonbinding guideline on a urban regeneration project should be suggested to reflect the conditions by the regions. Last, propulsions should be framed such as administrative principles of strengthening publicity and connec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 committee and fund to promote the former, and a research for problem solution.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Different Thresholds for Detecting Urban Areas Using Remote-Sensing Index Images: A Case Study for Daegu, South Korea (원격탐사 지수 영상으로부터 도시 지역 탐지를 위한 임계점 평가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CHOUNG, Yun-Jae;LEE, Eung-Joon;JO, My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1
    • /
    • pp.129-139
    • /
    • 2019
  • Mapping urban areas using the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is useful for monitoring urban expansions and measuring urban developments. In this research, the different thresholds for detecting the urban areas separately from the remote-sensing index images (normalized-difference built-up index(NDBI) and urban index(UI) images) generated from the Landsat-8 image acquired in Daegu, South Korea were evaluat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1) the NDBI and UI images were separately generated from the given Landsat-8 image; (2) the different thresholds (-0.4, -0.2, and 0) for detecting the urban areas separately from the NDBI and UI images were evaluated; and (3) the accuracy of each detected urban area was assessed.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 threshold -0.2 had the best performance for detecting the urban areas from the NDBI image, while the threshold -0.4 had the best performance for detecting the urban areas from the UI image. Some misclassification errors, however, occurred in the areas where the bare soil areas were classified into urban areas or where the high-rise apartments were classified into other areas. In the future research, a robust methodology for detecting urban areas, including the various types of urban features, with less misclassification errors will be proposed using the satellite images. In addition, research on analyzing the pattern of urban expansion will be carried out using the urban areas detected from the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s.

A Study on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 Using 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y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활용한 도시계획정보시스템 구축방안)

  • 김경휘;고준환;전철민;최윤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04a
    • /
    • pp.377-382
    • /
    • 2003
  • 본 연구는 최근 정보산업분야에서 부각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정보기술(UIT)”을 도시계획 정보시스템(UPIS)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유비쿼터스 기술이 무엇인지, 도시계획정보시스템에서 어떠한 이점을 줄 수 있는지 그 필요성을 밝혀 궁극적으로 도시계획정보시스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mand Zone of Housing for New Town: Focused on Seoul Metropolitan Area (택지개발지구의 주택 수요권역 실증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 Kim, Jong-Lim;Cho, Han-Jin;So, Soon-Woo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6 no.3
    • /
    • pp.107-115
    • /
    • 2015
  • Recently one of interest concern in domestic housing market is to reduce the difference of supply and demand. Exact demand estimation by accurate demand region is a essential cue to reduce the gap. This empirical study compared the data of housing subscriber's real address with estimated demand area on household movement, which are applied by advanced studies. This empirical case data is related to 3 housing development districts in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real demand area has a more widened coverage compared with those of household movement one. For to establish exact demand area, we found, more complementary considerations should be taken. Especially some factors such as distance between a project site and downtown of Seoul Metropolitan City, locational competitiveness on main demand and behind demand, and development scale are more considerable variables. In additionally, we found the demand areas are influenced by housing rental types, sizes and the real estate business trends. And also, this study found tho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ith housing price and locational competitiveness.

Spatial resolution effects in hyper-resolution urban flood modeling (초고해상도 도시 홍수 모의의 공간해상별 침수해석 특성 분석)

  • Noh, Seong Jin;Kim, Bomi;Lee, Seungsoo;Lee, Junhak;Choi, Hyeo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6-336
    • /
    • 2021
  •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한 집중 호우와 불투수층 증가로 도시 홍수의 발생 빈도와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인적, 물적 자원이 집중되어 있는 도시유역의 특성상 침수가 발생하면 이로 인한 직접적 피해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2차 피해를 발생한다. 도시 홍수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도시의 재해에 대한 회복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관측과 더불어 정확한 모의 기술이 중요하다. 한편, 격자 기반 도시 홍수 모의는 집중 호우에 따른 침수의 시공간적 발생 양상을 물리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으로, 지표수-우수관거 이중배제 통합 모의, 수치기법, 병렬컴퓨팅, 수질 연계 모의 등의 측면에서 지금까지 많은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 최근들어 원격탐사 기술의 발달로 공간해상도 1미터 수준 혹은 그 이상의 초고해상도 지형자료가 많은 지역에서 대해 가용해지고 있으며, 도시 홍수 해석에 이와 같은 초고해상도 자료를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해상도 지형 및 토지 피복 자료의 공간해상도가 침수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도시침수의 두가지 주요 요인인 내수침수와 외수범람 중에서 극한 강우에 의한 내수침수해석 사례만을 주요 연구 범위로 한다. 초고해상도 입력자료의 격자기반 도수 해석 모형으로는 운동파 기반의 2차원 지표 흐름 해석 모형을 적용하고, 초고해상도 모의의 효율적 계산을 위해 하이브리드 병렬 컴퓨팅 기술을 이용한다. 초고해상도 입력자료 적용 사례 대비, 공간해상도 저하에 따라 침수 면적이나 깊이 등에서 어떤 변화가 있는지 정량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강우의 강도 및 공간분포가 초고해상도 도시 홍수 해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한다. 모의 결과로부터 도시 홍수 해석시 거리 단위(street-level) 정확도의 재현을 위해 적정한 공간해상도를 분석하고, 초고해상도 도시 홍수 모의를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 홍수의 도시지역 영향 분석 및 회복력 개선 관련 연구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 PDF

Research on the touch points of city brand users based on M-ICT (M-ICT시대의 도시 브랜드 사용자의 터치포인트에 관한 연구)

  • Yao, Xiao-Dong;Pan, Young-Hw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1
    • /
    • pp.289-296
    • /
    • 2019
  • In the era of M-ICT (mobi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o establish a city brand image that is "user-centered" and creates a new experience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people and things, and people and space". The experience of city users on the brand image of a city is the key factor to determin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ity, among which the user's research on the touch point of the city brand is particularly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user's brand experience and enhance the city's brand competitiveness.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are literature review and investigation. Firstly,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are expounded, then the characteristics and ways of user experience touch points are defined through the document review, and the multi-latitude composition model of city brand touch points is proposed. By means of user investigati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igh frequency touch points between digital touch points and physical touch points are obtained. According to the problems found in the investigation, the optimal design strategy of touch point is put forward in combination with the case. The innovation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ty brand and the touch point of user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experience, and propose a multi-latitude model of the touch point of city brand.

A Pilot Study on the Elements of Urban Documentation (도시 기록화 구성요소 도출을 위한 실험적 연구)

  • Yeo, Jin-Won;Chang, Woo-Kwo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6 no.4
    • /
    • pp.575-598
    • /
    • 2015
  • The goal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respond to changing paradigms in urban planning and derive requirements needed for urban archiving for the purpose of urban growth. In this research, the Delphi research method was used twice on experts on urban archiving in order to derive areas and required elements of urban archiving. Moreover, each area and elements were formalized and categoriz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In the 1st Delphi research, 6 areas (natural environment, liberal arts environment,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dustrial and economic environment,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a total of 62 elements. In the 2nd Delphi research, six areas, a total of 32 elements.

A Study on Weekly Variation of Urban Air Temperature Difference (도시 기온차이의 주간 변동에 관한 연구)

  • Zheng, Hai-Yan;Jin, Ri;Jin, Wen-Cheng;Lee, Kyoo-Seoc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5 no.4
    • /
    • pp.13-21
    • /
    • 2012
  • 도시화, 산업화로 인해 도시는 그 주변지역보다 기온이 높은 도시열섬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인간 활동에 의한 인공폐열 배출량의 증가에 기인한다. 이러한 인간 활동에 의한 도시기온의 변화는 도심과 농촌지역의 차이로 인한 공간적 변이와 아울러 주중과 주간에 기온 차이가 발생하는 시간적 변이를 포함하고 있으나 도시열섬현상의 공간적 변이에 의한 연구에 비해 시간적 변이에 의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도심의 주중과 주말의 기온차이를 다년간 관측을 통하여 주중과 주말의 주간 변동의 특성을 파악하여 도시 기온의 시간적 변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시 강남구를 사례로 2007년 10월 31일부터 2010년 12월 11일까지 약 3년간 관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5개 관측지점 모두 주중(weekday)이 주말보다 $1.6{\sim}1.7^{\circ}C$ 기온이 더 높았으며 이는 주중에 도시 내에서 방출하는 인공폐열의 양이 더 많음을 의미하며 고밀도지역은 냉난방수요가 많아 토지이용에 따라 기온의 차가 크므로 이를 저감시키기 위한 도시 및 조경계획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