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설계지역

Search Result 54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Flood Analysis for Reducing the Flood Damage in Urban Area (도시지역 침수저감을 위한 수리 및 침수분석에 대한 연구)

  • Kang, Doo-Kee;Park, Jae-Beom;Shin, Dong-Soo;Shin, Hyun-Suk;Jang, Jong-Kyung;Jo, Deok-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79-282
    • /
    • 2011
  •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기상현상은 국지성 집중호우, 돌발홍수 등을 발생시켜 많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도시집중 현상으로 택지 및 시설부지의 부족현상이 가중됨으로써 하천범람 구역이나 홍수우려가 있는 저지대까지 도시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치수상 안전도가 상대적으로 저하되고 있는 한편, 도시유역에서의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피해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규모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 도시지역에 홍수피해를 유발하고 있는 강우의 특징은 단시간에 많은 강우가 집중하여 발생하는 국지성 집중 호우로 침수피해를 가중시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배수시설 설계 시 이러한 강우의 특성과 도시유출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침수가 잦은 부산 센텀지구를 대상으로 모형을 구축하여 기존배수체계의 배수능력을 초과하는 집중호우 발생 시 침수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지하저류조의 용량을 산정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hypothetic sewer network generation technique for urban inundation simulation (도시침수 모의를 위한 가상관망 생성 기술 개발 및 적용성 평가)

  • Seung Soo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40-340
    • /
    • 2023
  • 최근 전 세계가 극단적 집중호우로 인한 대규모 홍수로 인해 극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로 인해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도시침수는 그 특성상 막대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유발하므로 이를 사전에 예방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도시유역 침수 해석을 위한 수치모의는 대상 유역의 현재 대비 상황을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관로 증설 효과 파악, 빗물저류조의 침수저감 효과 분석, 빗물배수펌프장의 적정용량 파악 등에 매우 효율적이다. 정확도 높은 도시침수 해석을 위해서는 고해상도 DEM 또는 DSM 지형자료뿐만 아니라 토지이용도 및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망(하수관로, 맨홀, 배수펌프장 등) 자료의 활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저개발 국가나 미계측유역의 경우에는 신뢰도 높은 하수관망 자료를 얻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해당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빈번해 도시침수 해석이 곤란한 경우가 다수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 형태로 제공되는 Open Street Map(OSM)의 도로망 정보를 이용해 가상의 하수관망을 생성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서울시 사당유역을 미계측유역으로 가정해 가상의 하수관망을 생성해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하수관망 자료의 획득이 곤란한 지역의 도시침수 예측이나 효과적인 하수관망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lood Inundation Analysis using XP-SWMM Model in Urban Area (XP-SWMM모형을 이용한 도시지역의 침수해석)

  • Yeon, Ki-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689-693
    • /
    • 2010
  • 본 연구는 최근 기상이변에 따른 집중호우에 의해 도시지역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침수피해를 XP-SWMM모형을 이용하여 침수해석을 수행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대상유역의 강우분석을 선수행하고 하천 외수위 상승에 따른 배수구역의 10년, 20년, 30년, 50년 설계빈도별 침수해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 하천 외수위 변화에 따른 내수배제 불량으로 인한 침수피해가 일어난 지역을 산정하고, 도시유역의 강우-유출해석과 하수관거 해석을 실시한다. 이를위해 XP-SWMM 모형을 이용하여 하수관망 시스템과 하천 외수를 연계 해석하여 장래 하천의 빈도별 홍수량에 대한 침수가능 여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유역 면적은 62.35ha, 총 관로연장 12,741m, 소유역 60개, 하수관로 175개로 모형을 구성 하였고, 유출해석결과 설계빈도 50년의 임계지속시간은 90분, 총 침수량은 $15,362m^3$, 침수면적은 $65,384m^2$였으며, 최대 침수심은 0.81m인것으로 산정되었다. 침수피해 경감효과로는 245세대, 585명의 피해경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 되었다.

  • PDF

Inundation Analysis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Urban Runoff (도시유출특성을 고려한 침수 분석)

  • Lee, Jung Ho;Jo, Deok Jun;Lee, Eui Hoon;Kim, Joo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70-874
    • /
    • 2004
  • 도시지역 배수암거의 설계빈도는 호우 발생시 배수 기능을 원만히 수행하기에 부족한 경우가 많으며, 최근 발생 빈도가 높은 국지적 집중호우에 내하여 배수기능 수행이 취약한 실정이다. 특히, 저지대 역류 현상에 따른 침수피해는 도시 설계 및 관거 개량사업에 있어서 반드시 해결해야할 문제점으로 제시된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분석을 통한 도시유출특성을 고려하여 현행 배수암거의 설계빈도에 대한 통수능력을 검토하였으며, 방류하천의 계획홍수위 영향을 고려하여 암거내 역류 및 저지대 침수량을 분석하므로써 배수암거 설계빈도 채택의 적정성 및 저류시설 설치규모 검토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었다.

  • PDF

Analysis of runoff according to the time and space characteristics of hourly rainfall data in Seoul (서울 강우자료의 시·공간적 특성에 따른 유출분석)

  • Hyun, Jung Hoon;Park, Hee Seong;Chung, Gun 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16-216
    • /
    • 2019
  • 최근 이상 기후로 인하여 홍수피해가 많이 발생 하고 있다. 특히 도시유역의 도시화로 인해 불투수면적이 증가하여 내수 침수도 증가하였다. 이로 인하여 재산피해와 인명피해가 증가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홍수 저감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강우의 시 공간적인 특성을 파악 하여 강우 사상을 정의 한다면 도시홍수 저감 에 있어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우리나라 서울 지역의 설계 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해 서울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ASOS(Automated Surface Observing System) 를 사용해 왔다. 하지만 ASOS을 사용하게 되면 강수량의 공간 특성을 고려하기 어렵지만 AWS(Automatic Weather Stations) 는 세밀한 관측망을 가지고 있어 공간적 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강우 자료의 20개년 연속된 강우자료를 통해 강우자료를 구축 하였다. 서울지역의 유역을 선정하였으며 도시유역 강우-유출 해석에 많이 사용되는 EPA-SWMM 모형에 ASOS 와 AWS 강우자료를 적용하여 유출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공간 특성 분석을 실시하여 더욱 세밀한 설계 강우량 산정에 도움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the flooding effect of downstream stormwater sewers according to whether flooding occurs in urban watersheds upstream (도시유역 상류 침수발생 여부에 따른 하류 관로 침수영향 분석)

  • Kim, Soo Hyun;Park, Jong Pyo;Jun, Hwan 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89-289
    • /
    • 2021
  • 급경사를 포함하는 도심지역에 대하여 도시유출해석을 수행하다보면 상류지역에서 침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류지역에서 침수가 발생하면 하류관로로 유입되는 홍수량이 감소하게 되고 하류관로로 유입되는 홍수량이 감소하게 되면 도시유출해석 분석결과 과소평가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감소된 홍수량 산정 결과로 관로효율성평가나 개선대책을 수립할 경우 잘못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에 대하여 상류지역의 침수발생으로 인한 하류관로의 홍수량감소 영향을 연구 위하여 상류지역 침수여부에 따른 하류관로의 효율성 변동평가를 수행하였다. 상류에서 침수가 발생할 경우와 상류에서 침수가 발생하지 않고 전 유출량이 하류관로로 유입되는 경우의 발생하는 침수면적과 침수발생량을 비교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단지개발지역의 우수관로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을 수행한 결과 상류지역에서 침수발생 대비 침수 미발생의 경우 침수면적은 76%가 감소하였으며, 침수발생량은 78%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지역의 상류지역에서 발생하는 침수가 하류관로의 유출해석을 수행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류지역의 침수가 발생한 결과로 대책을 수립할 경우 부적합한 설계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를 비교하였지만, 앞으로 더 많은 지역을 비교하여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판단된다.

  • PDF

Urban Drainage Network Characteristics in Seoul (서울지역 배수관망 특성 분석)

  • Seo, Yongwon;Hwang, Junsik;Kim, Gy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96-96
    • /
    • 2015
  • 도시의 배수관망은 빠른 배수를 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배수 시스템은 홍수기에 가능한 한 빠른 배수를 목표로 설계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공 배수망은 자연 하천망보다 보다 효율적이라 생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깁스모형을 이용 서울지역 30개 배수분구의 배수망 특성을 분석한 결과, 배수망 특성면에서 인공적인 배수망이 자연배수망보다 비효율적일 수 있다는, 기존 상식과 다소 대치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배수망의 특성은 도시 유역의 유출특성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효율적인 배수망과 그렇지 않은 배수망의 유출 특성은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유출 특성의 차이는 강우의 이동으로 인한 시공간적 변동에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 즉, 효율적인 배수망의 첨두유출량은 이동강우에 대하여 그렇지 않은 배수망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강우의 변동성에 대비하여 첨두유출량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최적의 배수관망 레이아웃을 설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xploring Physical Environments,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Urban Heat Island Effect Areas in Seoul, Korea (서울시 도시열섬현상 지역의 물리적 환경과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 탐색)

  • Cho, Hyemin;Ha, Jaehyun;Lee, Sugie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5 no.4
    • /
    • pp.61-73
    • /
    • 2019
  • Urban development and densification have led to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in which the temperature of urban space is higher than the surrounding areas, and the intensity is increasing with climate change. In addition, when the city's air temperature rises in summer, low-income, elderly population, and socially vulnerable people who have health problems lack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elevated heat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urban heat island area of Seoul through Hotspot analysis, which is a spatial statistics technique, and explored physical environments,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urban heat island effect areas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s. This study performed urban heat island hotspot analysis using the average air temperatures of the 423 administrative dongs in Seoul. Analysis results identified that the urban heat islands were concentrated in Jung-gu, Jongno-gu, Yongsan-gu, and Yeongdeungpo-gu.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urban heat island areas of Seoul were affected by residential floor area ratio, commercial facility floor area ratio, overall floor area ratio, impervious surface ratio, an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ulnerable area of thermal environment considering th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heat island area, urban heat island areas of Seoul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oportion of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d useful insights for urban thermal environmental design and policy development that could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urban population.

The Comparative Study of Flood Inundation Analysis Systems for Urban Area Using GIS (GIS를 이용한 도시 침수분석 시스템의 비교 연구)

  • Ryu Jae-Hyun;Min Sang-Gi;Roh Jae-Sik;Lee Kil-C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40-844
    • /
    • 2005
  • 최근 기상이변에 따라 특정지역에 단시간의 집중호우에 의한 홍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면, 이에 따른 위험과 손실이 증가하고 있다. 집중호우 발생시 단지설계 및 배수체계 부분에 관련하여 도출되는 가장 중요한 문제점 중의 하나는 배수시스템의 배수불량으로 인한 단지 내수침수문제라 할 수 있다. 기존 지역 배수시스템의 설계빈도는 20년을 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나 집중호우는 이를 상회하므로 국부적인 단지내 배수시스템 불량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하지만 기존의 배수시스템 설계기법은 합리식을 기본으로 하는 정적개념의 설계 기법이므로 국부적인 배수시스템의 손실수두 발생에 의한 국지적 침수 양상을 파악하기는 부적절하다. 본 논문에서는 과거 집중호우로 인해 피해가 발생했던 중랑천 유역 중 침수가 자주 발생했던 중랑구를 대상유역으로 결정하였다. SWMM, ILLUDAS 모형을 이용하여 대상유역에 대한 유출 해석을 실시한 결과 도시유역에서는 SWMM 모형이 그 적용성에 있어서 다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유출모형을 GIS와 연계하기 위하여 지형공간데이터를 구축하고 GIS 도구인 Arc/Info와 ArcView를 이용하여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유출모형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침수구역도를 작성하였다. GIS와 연계시 실제 침수가 예상되는 범위을 가시화함으로써 침수발생지점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고 침수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Strategy and Prospects of CPTED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지속 가능한(Sustainable) 도시발전을 위한 방범환경설계(CPTED)의 전략과 향후 과제)

  • Park, Hyeon-Ho;Kim, Young-Jea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17
    • /
    • pp.173-193
    • /
    • 2008
  • This paper discusses how the strategies for crime prevention are interrelated to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for healthy and safe cities implies regulations or legal, lawful control to reduce fear of crime and prevent substantial threats to health and safety of individual persons as well as of the community. City planners attempt to apply to the strategies for crime prevention their perception of what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should be with respect to urban environment. Many planners have studied on the possibility of reduction in fear of crime and actual crimes through environmental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eir preliminary studies provide specific suggestions to reduce crimes and fear of crime by application of CPTED. This study proposes alternatives in policy necessary for CPTED, which is one of the strategies for crime prevention, to take its place as a useful strategy for making the urban societies safe and sustainab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