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부 도로

Search Result 43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velopment of an Urban Freeway Exit-Intersection Control Strategy using Actuated Traffic Control (감응식 신호제어를 이용한 도시고속도로 진출부 교차로 제어전략 개발)

  • So, Jae-Hyun;Cho, Han-Seon;Lee, Seung-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6
    • /
    • pp.81-89
    • /
    • 2008
  •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 integrated urban freeway exit-intersection actuated traffic signal control strategy based on which a real-time detection of queue at each of an exit-ramp and an arterial. To evaluate effects of the proposed actuated traffic signal control according to various traffic situations and geometric conditions,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roposed traffic signal control strategy according to traffic situations such as the occasion of the arterial being saturated, the occasion of the exit-ramp being saturated, and the occasion of both the arterial and the exit-ramp being saturated. To reflect geometric conditions that influence the effects of the control strategy, this paper evaluated effect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actuated traffic signal control strategy according to six cases for both above and under the downstream link length of 200m as proposed by COSMOS. The study results shown that when the link length above 200m, offered a greater effect of applying the actuated traffic control strategy than below 200m. Thus, the actuated traffic signal control through a real-time detection of queue is expected to offer a greater effect at longer downward link.

Analysis on the Effects of Sunshine Environment by Overpass Structure in Urban Areas (도시부 고가구조물에 의한 일조환경 영향분석)

  • Kum, Ki-Jung;Kim, Jong-Bo;Choi, Yong-Gil;Kim, Young-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1 no.4
    • /
    • pp.49-58
    • /
    • 2009
  • Current sunshine regulations of our country, focused on common houses and general construction, are failing to reflect adequately the characteristics of roads and elevated structures. Besides, researches are chiefly being conducted on a pitch between common houses and its diverse effects, neglecting clearance between a road or elevated structure and a residential area, environmental elements brought on by structures, such as sunshine difficulty, and their resultant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sunshine environment of elevated structures adjacent to a residential district, as part of all roads and elevated structures, looked over currently used clearance adequacy level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es in relation to an angle of direction. Then, clearance ratio by heights was calculated through a pitch by characteristics of a structure. With a view to minimize the sunshine difficulty that might occur in the future construction, it aims to propose the basic data needed for calculating the minimum clearance, while emphasizing the necessity for institutional alignment on structures.

  • PDF

A Study on the Risk Impact Map Development of Considering the Debris flow Hazard and Impact Level (토석류 발생가능성 및 시설안전성을 고려한 토석류 위험지도작성에 관한 연구)

  • Nam, Dong Ho;Lee, Suk Ho;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96-296
    • /
    • 2019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 및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2차 피해인 산사태 및 토석류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국내의 산사태 및 토석류에 대한 선행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성이 높은 구간, 즉, 발생기작을 판단할 수 있도록 지표화 해놓은 것이며, 현재 피해예측지도 및 피해 하류부의 시설물을 고려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모형인 S-RAT모형 및 토석류 수치해석 프로그램 RAMMS 모형을 이용하여 산사태 및 토석류 피해를 극대화 시키는 인자인 토석유동심(H), 토석유속(V)을 이용하여 토석류피해예측지도를 작성하였으며, 피해 하류부의 시설물을 건물 유형별 시설물의 중요도로 구분하였다. 또한 작성된 피해예측지도 및 시설물 중요도를 중첩하여 위험성 지도를 제시하였다.

  • PDF

Effects of a Hand-Free Cellular Phone Use on Driver's Mental Workload and Performance in an Urban Area (도시부 핸드프리 휴대폰 사용이 운전자 부하 및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Cha, Doo-Wonn;Tsuyoshi, Katayama;Nobuyuki, Uchida;Park, Peo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4
    • /
    • pp.31-39
    • /
    • 2000
  • Cellular Phone use while driving is one of the critical causes of traffic accident by falling the driver into the improper lookout and inattention situations by disturbing the driving behaviors and by increasing the driver's mental workloads. These days, therefore, governments in many countries are trying to Prohibit the cellular Phone use while driving by the law focused on the hand-held type of cellular phon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impacts on the hands-free cellular Phone use while driving to the drivers Performance among normal and two different level of secondary task driving conditions in the urban of Japan. As the results, quantitative differences of drivers eye movement, subjective mental workload, steering wheel angle entropy, and cognitive Performance of secondary tasks were compared between straight and curve (right turn) section for each driving condition.

  • PDF

Inundation Analysis in Urban Area Considered Head Loss Coefficients of Curved Pipes (만곡부 관거의 손실 계수를 고려한 도시 지역의 침수 해석)

  • Won, Changyeon;Park, Jongpyo;Jun, Hwan 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01-201
    • /
    • 2017
  • 서울시 효자배수분구(광화문 지역)는 2010년, 2011년 호우로 인해 침수 피해가 많이 발생했던 지역으로 당시 주요 침수피해 원인은 광화문 사거리 및 경복궁역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굴곡 관로의 손실수두 증가(유입, 만곡, 마찰손실 등), 지하매설물로 인한 통수단면 감소 등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대상지역의 침수 원인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관거의 만곡, 급 확대 및 급 축소에 따른 손실계수의 적용이 요구된다. 손실계수는 유입부, 만곡부에 대한 계산식을 이용하여 산정하고 모형에 적용하였으며 적정 손실계수 값을 얻기 위해 손실계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의 검토 대상기간은 우수관거내 수심 측정자료가 존재하는 4개의 이벤트를 선정하였으며 같은기간에 해당하는 AWS 매분단위 강우자료를 취득하여 모의에 적용하였다. 또한, 적정 손실계수를 선정하기 위해 관측치와 모의치의 적합도를 평가하였으며, 평가지표는 자료 개수에 관계없이 절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NSE(Nash-Sutcliffe Efficiency)를 사용하였다. 손실계수 적용 여부에 따른 분석결과 손실계수를 적용한 모의치가 관측치의 오차가 미적용한 모의치보다 적합도의 평가지표가 우수하게 분석되었다. 손실계수 민감도 분석 결과는 경험식에 의해 산정된 손실계수를 적용한 Case3의 NSE가 가장 우수하게 분석되었다. 이와같이 도시 지역의 침수분석에 있어 우수관거에 대한 손실계수 적용으로 분석모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asures of Traffic Signal Operation at Signalized Intersections by Utilizing Historical Data from Advanced Traveller Information System (첨단 교통 정보 시스템 누적 소통정보를 활용한 신호교차로 운영개선 효과평가를 위한 혼잡강도 지표 연구)

  • Cho, Yong-bin;Kim, Jin-t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1
    • /
    • pp.643-654
    • /
    • 2018
  • In order to understand and manage traffic flows in urban areas in the past, a variety of traffic engineering theoretical indicators such as intersection lag and highway speed have been applied. However, these theories and indicators have been developed under the constraints of traffic engineering research before the construction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Since the ATIS system currently exist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eparate traffic engineering technology that utilizes the data. In this paper, it is aimed to confirm whether it is applicable to intermittent flow (approach road, intersection, control group, main road axis) by using 'congestion intensity' which is already used in traffic engineering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raffic signal improvement effect of urban road access road, intersection road, control group, Two verification studie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derived congestion intensity index. (1) verification of congestion intensity threshold value analysis and (2) crossing improvement using the congestion intensity. Through ver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congestion intensity in the inter - city intermittent flow using the 5 - minute unit speed data so as to be able to escape from the existing traffic signal operation management which is past passive and manpower limit.

A Methodology for Standard Establishment of Spatial Impact Zone according to Place Names of Road Sign in Urban Regions - Using the Road Sign Management System Database - (도시부 도로표지 안내지명에 따른 공간적 영향권 기준 설정방법에 관한 연구 - 도로표지관리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

  • Jung, In-Taek;Chong, Kyu-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5 no.6
    • /
    • pp.1-9
    • /
    • 2016
  • Place names of road sign mean various place names being used on road signs for path guidance of drivers such as administrative district, facility, road, etc. It is very important that not only the choice method of place names for connectivity of road signs but standard establishment of spatial impact zone according to place names. However this standard are not established currently, so it is difficult to fix the spatial range for changing place names around the main facility according to the new construction or relocation of main facility in urban region. Considering the use of big data, one of the Government 3.0, we need to utilize actively the road sign management system database. This paper suggested a methodology for standard establishment of spatial impact zone according to place names of road sign in urban regions based on the road sign management system database. To perform a case study, we selected a major facility ("City Hall") which is the most frequently used the place name of road signs and presented standard of spatial impact zone by urban size in 84 cities.

Prevention of Urban Inundation using Descending Placement of Sewer (내림차순 우수관거 배치를 이용한 도시침수 방지)

  • Song Joonggeun;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68-368
    • /
    • 2023
  • 도심지에 위치하는 저지대의 경우 강우 발생 시 우수의 집중으로 인한 침수발생으로 매년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시행하고 있는 사업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는 배수시설의 개선과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사업이다. 첫 번째 배수시설의 개선은 배수유역의 우수를 하류하천 방류부까지 우수관거와 방수로, 대심도 터널 등을 통해 자연배수하거나 배수펌프를 통해 강제배수하여 내수배제가 원활하게 하는 방법이며, 우수유출저감시설은 저류시설을 설치하여 우수가 집중되는 시간을 지체시켜 첨두유출량을 저감하거나 침투시설을 설치하여 유출총량을 저감하여 우수유출량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다만 이 두 가지 방법은 토지이용이 고도화된 도심지에서는 기존 건축물 및 지하구조물 등으로 인해 부지의 확보가 어렵고 시공의 난이도가 높아 사업에 대한 시간과 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크게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우수관거를 상류 우수관거의 관경을 하류보다 크게 설계하여 배수유역 상류부 관거의 개선만으로 도시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 시설물과 토지이용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시침수가 발생하는 연구대상 배수유역에 도시유출 해석모형인 SWMM을 이용하여 내림차순식 우수관망 배치의 침수방지 효과를 검토한 결과 배수유역 상류관거의 확장으로 유속의 저감과 우수관거 내 저류효과를 통해 하류부의 우수 집중시간을 지체시켜 하류부의 침수발생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를 통해 토지이용이 고도화되어 저류시설이나 자연 및 강제 배수시설의 설치가 어려운 하천변 저지대 도심지 지역의 침수피해 방지대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valuation of Sidewalk Level of Service Considering Land Use Patterns (용도지역 특성을 고려한 보도 설계 서비스수준 평가방안)

  • Kim, Yong-Seok;Choe, Jae-S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5 no.2 s.95
    • /
    • pp.83-93
    • /
    • 2007
  • Pedestrians and vehicle users should be treated with equal importance in urban street design. However, current street design suggests that the design criteria for sidewalks is based on the functional hierarchy of the vehic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idewalk design standards that give more weight to pedestrians rather than vehicles. For thi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evel of service of pedestrian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designing sidewalks. Currently, level of service (LOS) criteria for pedestrians in the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 are based on pedestrian volume, but the volume of pedestrians is seldomly estimated in practice. So, the current LOS criteria has limitations in terms of practical use. Also, the study assumes that the pedestrian flow rate is hardly the dominant factor that could affect the LOS of pedestrians at most urban sidewalks. In this context, the study considers a new LOS for sidewalk design based on the comfort of pedestrians while passing pedestrians coming from the opposite direction. Then the study attempts to link the new LOS criteria to the land use patterns using data of pedestrian traffic characteristics acquired from the field. In addition to this, the scope in which the suggested criteria can be applied is suggested.

Linkage of Numerical Analysis Model and Machine Learning for Real-time Flood Risk Prediction (도시홍수 위험도 실시간 표출을 위한 수치해석 모형과 기계학습의 연계)

  • Kim, Hyun Il;Han, Kun Yeun;Kim, Tae Hyung;Choi, Kyu Hyun;Cho, Hyo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2-332
    • /
    • 2021
  • 도시화가 상당히 이뤄지고 기습적인 폭우의 발생이 불확실하게 나타나는 시점에서 재산 및 인명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내수침수에 대한 위험도가 증가하고 있다. 내수침수에 대한 예측을 위하여 실측강우 또는 확률강우량 시나리오를 참조하고 연구대상 지역에 대한 1차원 그리고 2차원 수리학적 해석을 실시하는 연구가 오랫동안 진행되어 왔으나, 수치해석 모형의 경우 다양한 수문-지형학적 자료 및 계측 자료를 요구하고 집약적인 계산과정을 통한 단기간 예측에 어려움이 있음이 언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일 도시 배수분구를 대상으로 관측 강우 자료, 1, 2차원 수치해석 모형, 기계학습 및 딥러닝 기법을 적용한 실시간 홍수위험지도 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 강우자료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홍수량을 예측할 수 있도록 LSTM(Long-Short Term Memory)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전국단위 강우에 대한 다양한 1차원 도시유출해석 결과를 학습시킴으로써 예측을 수행하였다. 침수심의 공간적 분포의 경우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하여, 기준 침수심에 대한 예측을 각각 수행하였다. 홍수위험 등급의 경우 침수심, 유속 그리고 잔해인자를 고려한 홍수위험등급 공식을 적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이 결과를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에 학습함으로써 실시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침수범위 및 홍수위험등급에 대한 예측은 격자 단위로 이뤄졌으며, 검증 자료의 부족으로 침수 흔적도를 통하여 검증된 2차원 침수해석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예측력을 평가하였다. 본 기법은 특정 관측강우 또는 예측강우 자료가 입력되었을 때에, 도시 유역 단위로 접근이 불가하여 통제해야 할 구간을 실시간으로 예측하여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