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구축체계

Search Result 57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Demand Zone of Housing for New Town: Focused on Seoul Metropolitan Area (택지개발지구의 주택 수요권역 실증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 Kim, Jong-Lim;Cho, Han-Jin;So, Soon-Woo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6 no.3
    • /
    • pp.107-115
    • /
    • 2015
  • Recently one of interest concern in domestic housing market is to reduce the difference of supply and demand. Exact demand estimation by accurate demand region is a essential cue to reduce the gap. This empirical study compared the data of housing subscriber's real address with estimated demand area on household movement, which are applied by advanced studies. This empirical case data is related to 3 housing development districts in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real demand area has a more widened coverage compared with those of household movement one. For to establish exact demand area, we found, more complementary considerations should be taken. Especially some factors such as distance between a project site and downtown of Seoul Metropolitan City, locational competitiveness on main demand and behind demand, and development scale are more considerable variables. In additionally, we found the demand areas are influenced by housing rental types, sizes and the real estate business trends. And also, this study found tho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ith housing price and locational competitiveness.

A Study on Flood Analysis for Reducing the Flood Damage in Urban Area (도시지역 침수저감을 위한 수리 및 침수분석에 대한 연구)

  • Kang, Doo-Kee;Park, Jae-Beom;Shin, Dong-Soo;Shin, Hyun-Suk;Jang, Jong-Kyung;Jo, Deok-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79-282
    • /
    • 2011
  •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기상현상은 국지성 집중호우, 돌발홍수 등을 발생시켜 많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도시집중 현상으로 택지 및 시설부지의 부족현상이 가중됨으로써 하천범람 구역이나 홍수우려가 있는 저지대까지 도시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치수상 안전도가 상대적으로 저하되고 있는 한편, 도시유역에서의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피해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규모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 도시지역에 홍수피해를 유발하고 있는 강우의 특징은 단시간에 많은 강우가 집중하여 발생하는 국지성 집중 호우로 침수피해를 가중시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배수시설 설계 시 이러한 강우의 특성과 도시유출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침수가 잦은 부산 센텀지구를 대상으로 모형을 구축하여 기존배수체계의 배수능력을 초과하는 집중호우 발생 시 침수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지하저류조의 용량을 산정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dvancement Planning of the Total DB for the Urban Regeneration (도시재생종합 DB의 고도화 방안 연구)

  • Yang, Dong-Suk;Yu, Ye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429-1432
    • /
    • 2011
  • 도시재생 업무분야에서 정보체계의 실질적 활용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특화된 정보생산 및 관리 모형이 필요하다. 도시재생 종합 DB는 도시 쇠퇴진단, 잠재력 평가, 우선대상지 선정 등 업무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정보수요와 전문가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 수요에 기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 및 현재 진행 중인 시스템 모형을 분석하여 구축대상 정보를 구성하고 이를 공간정보 기반에서 재구성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 모형을 수립하고 구현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시된 정보 모형을 통해 도시재생 정보의 활용성을 높이고 도시재생종합정보시스템의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veloping an ITS Device's Inspection·Calibration System Based on the Study of Similar Cases (사례분석을 통한 ITS 장비 검·교정체계의 구축방안 연구)

  • Baik, Nam Cheol;Lee, Sang Hyup;Oh, Seung H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1D
    • /
    • pp.17-21
    • /
    • 2006
  • The systematic validation of the ITS devices' performance reliability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helps their performance reliability to be maintained in a certain level, enabling to assure the reliability of the collected data, processed data and provided information. Although the government's regulation, "Transportation Efficiency Act", which requires ITS devices to be validated, was passed in 2001, no systematic inspection and calibration procedures have been developed so far.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inspection and calibration method or procedure is investigated by reviewing the similar cases and best practices in Korea and overseas and some recommendations are made.

The Governance Models for Transforming Dual U-City Business Execution Structure (이원화된 U-City 사업 수행 체계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모델)

  • Kim, Dae-Young;Park, Kwang-H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5a
    • /
    • pp.18-23
    • /
    • 2009
  • 정부 주도적으로 전국적으로 U-City 구축이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신도시형 U-City 사업은 동탄 U-City가 완공됨에 따라 본격적인 운영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그러나 신도시형 U-City 사업은 이원화된 사업 수행 체계로 인한 많은 문제점들이 드러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U-City 사업의 가치사슬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 U-City 거버넌스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U-City 거버넌스 모델은 구축뿐만 아니라 운영 단계까지 포함한 U-City 라이프사이클을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조직 체계를 정의한다. 이와 같은 U-City 거버넌스 모델은 국내 U-City 사업뿐만 아니라 도시수출의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Model for Shortest Path Calculation on lntermodal Transportation Network (복합 교통망에서의 최적경로산정 모형개발)

  • 최기주;장원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4
    • /
    • pp.167-186
    • /
    • 1998
  • 자동차보급의 대중화와 함께 버스, 전철 등 대중교통체계의 지속적인 서비스 확충으로 인해 다양한 교통망의 이용행태가 나타나고 있다. 즉, 승용차를 이용하다가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환경에서, 기타 통행대안들(예를 들면 목적지, 수단, 경로 등)이 효율적으로 연계 선택되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여 전체 교통체계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이 강구되도록 요구되어지고 있다. 본고는 이런 관점에서 복합교통망에서의 경로안내 체계의 구현을 위한 알고리즘개발과 평가를 주목적으로 한다. 즉, 복합교통망에서의 경로탐색모형과 이 모형에 적용가능한 경로탐색 알고리즘의 제시하고, 이를 위해 복합교통말의 한 축이 되는 대중교통망의 특징을 분석하고 대중교통망에서의 경로탐색알고리즘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일반가로망과의 최단경로구축의 통합방안을 제시하였다. 알고리즘의 구현과정을 필요한 데이터의 구축과정과 함께 도시함으로서 모형과 알고리즘에 대한 평가와 함께 실제 구현시 필요한 제반 사항들도 검토하였으며, 장래의 연구과제를 아울러 제시하였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riority and context-aware event ID for U-City integrated urban management platform in U-City (U-City 도시통합관제플랫폼의 상황 이벤트 ID, 우선순위 기능 설계 및 구현)

  • Song, Kyu-Seog;Ryou, Jae-Cheo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6B
    • /
    • pp.901-907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 standard method for linking data between the U-City Integrated Urban Management Platform and u-service systems through systemization of event ident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of event priority. By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he incoming events to the Management Platform are listed and processed according to their priority of urgency. The application of the systemized event ID and standardized event priority enables prompt counter-measures against urban emergencies and disasters, which improves the efficiency of business processes by reducing the time and cost to complete required actions.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atabase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DB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Kwang-Yeol;KIM, Shin-Hey;BAEK, T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3 no.3
    • /
    • pp.1-1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analysis for classification of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to prepare measures for systematic and efficient management of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and to find ways to establish national territory information for continuous management and operation by database of spatial data of classified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state of urban management plan, thematic map, cadastral map, satellite image of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KLIS) were collected from Miryang City,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xecution and non-execution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was conducted by combining the layer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satellite images, and continuous cadastral layers of cadastral maps with classified and processed owner attribu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unexecuted facilities were derived as unexecuted facilities, as most of the private land, without any current status roads or facilities created in satellite imagery. In addition, although the current status road was opened, the facilities that included some private land were derived as facilities that were recognized and executed by the local government as the de facto controlling entity through public transportation. The derived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were divided into layers of shape data and the unexecuted property data were organized to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status of non-executed and statistical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d an analysis plan that introduced GIS technology for scientific and rational analysis of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reliable spatial data, and proposed a plan to establish a database for connection with existing systems and use of information.

Estimation of Vulnerable Disaster Areas to Establish Busan U-City Model (부산시 U-City 모델 구축을 위한 재해취약지 분석)

  • Jeon, Sang-Soo;Jang, Hyun-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2
    • /
    • pp.65-73
    • /
    • 2008
  • Since the damages caused by disasters increase every year associated with wrenching climatic changes a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social structure, the efficient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to reduce damages and an assessment of the vulnerable disaster areas is necessary to prevent and mitigate the damages. In this paper, we have estimated the vulnerable disaster areas based on the records of the past damage histories and performed the risk assessment of the social infrastructures in Busan city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real-time monitoring system and the systematic approach for disaster prevention system to build V-City model. These results are illustrated by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and the order of vulnerable disaster areas are also estimated.

2D Inundation Analysis of Urban Basin for Estimatng Optimal Scale of Simplification of Sewer Network (적정 하수관망 간소화 산정을 위한 도시지역 2차원 침수분석)

  • Lee, Jung Hwan;Kim, Min Seok;Yuk, Gi Moon;Mo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7-37
    • /
    • 2017
  • 홍수예 경보를 통해 도시하천에서 발생되는 내수침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공간데이터를 활용한 침수위험지역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강우 유출 모형을 사용하여 수문분석을 진행할 때에는 정확도와 신뢰도 높은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도시유역에서는 관망의 개수가 많고 구축된 SWMM 관망의 매개변수 추정을 위한 반복적인 계산으로 분석 런타임이 길어져 연구에 많은 어려움이 나타난다. 게다가 연구자의 주관에 따라 간소화된 하수관망의 유출분석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등 하수관망 간소화 분석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도시화가 많이 진행된 서울시의 하천유역 중에서 상습침수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도림천 유역의 관망에 대해 누가유역면적을 바탕으로 관망의 간소화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관망 간소화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고, 간소화별 case를 3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누가유역면적에 따른 간소화 별 case를 Tuflow를 사용하여 2차원 분석을 진행하여 간소화에 따른 침수량 차이를 나타내어 최적의 간소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보다 신속하고 신뢰도 높은 모형 구축에 크게 기여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