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시구축체계

검색결과 576건 처리시간 0.028초

u-City 도시통합운영체계를 위한 공간정보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sability of Spatial Information in Urban Integration and Operation System in u-City)

  • 김은형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50
    • /
    • 2007
  • 최근 수요가 급증되고 있는 u-City의 경우 성공적인 구축을 위하여 도시통합운영센터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나아가 이를 보다 확장시킨 개념인 도시통합운영체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처럼 u-City의 핵심기반으로서 도시통합운영체계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효율적인 도시통합운영체계 구축을 위해선 공간정보 활용이 필요하다. 즉, 지자체에선 오래전부터 GIS 정보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공간정보를 구축 활용하고 있다. 효율적인 도시통합운영체계 구축을 위해선 공간정보의 활용은 필수적이며, 이는 u-City 추진의 핵심적 기반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u-City 도시통합운영체계에서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을 위해 u-City의 도시통합운영서비스와 관련하여 공간정보의 활용성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지하철 통신설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aintenance of Communication Facilities using the Standardized Database)

  • 김길동;신정렬;이우동;강승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전문대학교육위원
    • /
    • pp.99-102
    • /
    • 2004
  • 21세기 정보화시대에 맞추어, 도시철도운영기관의 전략적 발전과 도시철도의 정보화 기술 축적 및 표준화된 정보 인프라 구축의 일환으로 도시철도 시설물 유지보수체계를 표준화하고 정보화시스템을 구축중에 있다. 이중, 도시철도 통신 설비의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위해서 유지보수체계의 표준화 및 정보화시스템 구축을 통한 실시간 정보의 구축 및 기존 유지보수작업 이력정보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통신 설비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통신 설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표준분류체계를 수립하였고, 관리항목 및 유지보수작업항목을 표준화하였으며, 유지 보수업무절차를 표준화하고 도면 및 각종 문서양식을 표준화하였다. 통신 설비의 데이터베이스는 개체관계모델(ERB)을 사용하여 설계하였고 특히, 통신 설비는 위치정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일반 데이터 외에 GIS용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서로 연관된 Key를 가지고 상호조회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통신 설비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엑셀조사 양식을 통하여 방대한 기초 자료를 작성하고, $SQL^*$Loader 등의 데이터 변환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일괄 등록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면반입절차서 및 표준도면작성지침서, 그리고 GIS DB 구축지침서를 통하여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PDF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지하철 신호장치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aintenance of Signal Facilities using the Standardized Database)

  • 김길동;신정렬;이우동;강승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전문대학교육위원
    • /
    • pp.130-133
    • /
    • 2004
  • 21세기 정보화시대에 맞추어, 도시철도운영기관의 전략적 발전과 도시철도의 정보화 기술 축적및 표준화된 정보 인프라 구축의 일환으로 도시철도 시설물 유지보수체계를 표준화하고 정보화시스템을 구축중에 있다. 이중, 도시철도 신호 장치의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위해서 유지보수체계의 표준화 및 정보화시스템 구축을 통한 실시간 정보의 구축 및 기존 유지보수작업 이력정보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신호 장치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설계 및 구축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신호 장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표준분류체계를 수립하였고, 관리항목 및 유지보수작업항목을 표준화하였으며, 유지보수업무절차를 표준화하고 도면 및 각종 문서양식을 표준화하였다. 신호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는 개체관계모델(ERD)을 사용하여 설계하였고 특히, 신호 장치는 위치 정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일반 데이터 외에 GIS용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서로 연관된 Key를 가지고 상호조회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신호 장치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엑셀조사 양식을 통하여 방대한 기초 자료를 작성하고, SQL*Loader 등의 데이터 변환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일괄 등록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면반입절차서 및 표준도면작성지침서, 그리고 GIS DB 구축지침서를 통하여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 PDF

역사도시구조와 연계한 도시수체계의 구성형태와 역할에 관한 연구 - 경주, 개경, 한양,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 (A Composition and Role of Urban Water System in Connection with Historic City Structure - Focusing on Gyeongju, Gaegyeong, Hanyang, and Suwon Hwaseong -)

  • 강인애;이경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99-110
    • /
    • 2021
  • 본 연구는 신라왕경 경주, 고려 개경, 조선 한양, 조선후기 신도시로 조성된 수원 화성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역사도시에서 나타난 도시수체계의 구성방법이 지니는 특성을 파악해보고자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특히 도시입지, 도로, 도시시설 배치 등을 중심으로 도시골격구조와 연계하여 물길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고 수체계의 구성형태에 대한 해석을 통하여 도시 내 수공간 경영에 투입되었던 기술적, 계획적 요소와 함께 도시구조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에서는 자연수계를 기반으로 부분적인 하천 정비와 인공수계를 도입하여 도시수체계가 구축되고 있다. 특히 물과 자연수계는 도시의 입지를 결정하는 핵심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도시구조와 도시발달과정, 도시구조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는 지리적 관념과 어우러져 물이 지니는 상징적 의미와 더불어 치수, 이수 등의 관점에서 요구되는 현실적 수요가 중요한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다. 물 공간과 관련된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시 형성·발달과정에서 물 공간을 경영하기 위한 다양한 계획적, 기술적 요소가 도입되었다. 연구대상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도시형성·발달과정에서 도시수체계가 지니는 계획적 요소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로 연구대상지로 선정된 신라왕경 경주, 고려 개경, 조선 한양, 수원 화성의 도시수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에는 배수, 재해를 고려한 치수의 관점이 공통적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수체계의 구축방법이나 활용성에서는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로 물과 자연수계는 도시입지의 상징적 요소로서, 그리고 지리적 관념과 어우러진 도시 입지를 결정하고 도시의 좌향을 결정하는 핵심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셋째로 도시가 형성되기 이전의 자연수계는 지형여건과 어우러져 도시 형성·발달과정에서 구축되는 도시수체계의 구성형태를 결정하는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다. 넷째로 자연수계를 기반으로 구축된 도시수체계는 자연물길과 계획적 인공수로가 결합되어 도시구조의 일부로서 위계별 수계의 활용성이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다섯째로 도시수체계는 배수체계와 재해를 고려한 치수의 관점 이외에 도시용지의 확보, 도시시설 배치와 영역 확보, 기능지역 구성, 토지구획과 연계하여 계획적으로 구축되고 있다.

도시계획정보시스템 표준화를 위한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Urban Planning Information System)

  • 김인현;오규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5호
    • /
    • pp.75-81
    • /
    • 2010
  • 도시계획정보시스템은 전 국가적 네트워크상에서 운용되어야 하는 도시계획분야의 핵심 시스템으로서 구축 초기에서부터 표준화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계획정보시스템 구축과 관련된 국제표준, 국내법률, 상위계획 및 현재 구축된 2008년 표준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성공적인 도시계획정보시스템 구축을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도시계획정보시스템 구축의 방향은 첫째, 도시계획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표준을 선제적으로 작성하고 사후에 국제표준을 제정함을 추진하고, 둘째, 개방형 구조로 제작해야 하며, 셋째, 상위계획인 국가공간정보체계의 구축방향을 준수하여 연계통합이 가능한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도시침수 경보기준 검증을 위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 (Establishment of monitoring system for verification of urban flooding warning criterion)

  • 배창연;강호선;최창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5-5
    • /
    • 2018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이상기후 및 지구온난화 현상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2014년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강우량은 1971~2000년 1,315mm에서 2001~2010년 1,412mm으로 7.4% 증가하였으며, 호우일수는 1971~2000년 20일에서 2001~2010년 28일로 8일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강우량의 증가 및 호우일수의 증가로 도심지의 침수피해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도시특성을 반영한 예 경보 체계의 부재로 그 피해는 가중되고 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2014년부터 도심지 침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한계강우량 및 도시침수 경보기준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도시침수 경보기준은 도시침수를 발생시키는 최소 강우량을 의미하는 한계강우량 개념을 도입하여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의 과거 피해이력과 강우량과의 분석을 통해 산정하였다. 2017년 까지 27개 시군구 470여개 읍면동의 경보기준을 산정하였으며, 적용성 평가를 위해 실제 피해가 발생한 지역의 CCTV자료를 수집하여 한계강우량을 추정하고 경보기준 검증을 실시하였다. CCTV를 활용한 경보기준의 검증은 영상자료 확보의 어려움과 침수시간 및 정확한 침수심의 변화를 확인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표침수 및 우수관 수위관측 시설을 구축하여 도시침수 발생 양상을 모니터링 하고 경보기준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구축된 모니터링 시설은 향후 실측 기반의 예 경보체계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u-City 도시시설물관리 서비스모델 분류체계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System of Urban Facilities Management Service Model in u-City)

  • 김태훈;남상관;최현상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81-86
    • /
    • 2009
  • 본 연구는 u-City 구축사업의 지원 및 국가공간정보의 선도적 기술개발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는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의 일부 내용으로, 새로운 도시환경인 u-City에서의 도시시설물관리 서비스모델 분류체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존 u-City 도시시설물 서비스모델 관련 연구사례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u-City 시설물 관리에 적합한 분류체계로서 업무서비스(Action)에 의한 분류체계 및 시설물종류(Object)에 의한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또한 분류체계안의 각 단위서비스의 정의 및 역할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구축될 u-City 도시시설물관리체계를 위한 적용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도시화재의 물리적 연소성상 예측 모델구축 및 이를 활용한 도시화재리스크 평가기법의 개발(I) -한.일 연구체계 구축 및 한국의 화재경계지구 실태조사- (A Development Study on the Urban Fire Risk Assessment UsingPhysically-based Prediction Model for Burning Phenomena in Korea)

  • 구인혁;신이철;권영진;남동군;임길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11-317
    • /
    • 2009
  •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대부분은 건축물 화재이며, 이중 노후화된 시가지 등 화재에 취약한 지역에서 화재발생시 도시화재로 확대될 우려가 높다. 이러한 도시화재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도시화재의 물리적 연소성상예측모델과 도시화재 리스크평가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도시화재위험성평가 구축을 위한 한 일 공동연구체계와 주요 대상인 화제경계지구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 PDF

지방자치단체의 범용프로그램 도입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Standardized Management Software for Local Government)

  • 홍상기;신동빈;안종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12
    • /
    • 2004
  • 시설물관리시스템은 지자체에 도입된 보편적인 GIS활용체계라 할 수 있다. 지난 몇 년간 많은 지자체에서 시설물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는데 특히 상 하수도의 도로관리시스템 부분에 치중하였다. 여기에 도입된 시설물관리 범용프로그램의 개념은 지자체간의 개발업무에 있어 중복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최근 지자체에서는 분야별로 정보화의 한계를 인식하고 도시정보체계 구축으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에서 도시정보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범용프로그램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시정보체계 구축에 있어 중복투자의 방지, 프로젝트 시간단축, 실패가능성의 최소화와 정보프로젝트의 활성화가 기대된다.

  • PDF

양산지역 도시철도 환승체계 최적노선망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for Optimal Network of Metro Transfer System in Yangsan Area)

  • 최양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D호
    • /
    • pp.27-36
    • /
    • 2010
  • 근래 도시철도의 운영비와 건설비의 증가로 인하여 대도시에서의 도시철도사업 운영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부산도시철도의 당면 문제점인 이용 승객의 감소추세와 이용효율의 저하를 개선하고자 도시철도 중심의 환승체계의 구축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산 지역내 부산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을 연결시키는 환승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양산시와 부산시와의 활발한 이동량과 사송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시행,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양산선 개통 등으로 양산시와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의 연결을 통한 도시철도망 환승체계 구축 필요성이 크게 대두됨에 따라,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양산선(노포~양산역~북정) 연장에 따른 도시철도 환승체계 구축 방안은 다방천변으로 건설하는 노선1을 최적노선 대안으로 선정함으로서 지역주민의 편리한 이용과 경제성은 물론 지역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2개 노선을 4가지 방법에 의한 경제성 분석 결과 노선1의 건설에 필요한 총 사업비는 단선 건설시 4,827.1억원으로 산정되었으며, 사업비중 순 공사비가 가장 많은 비용을 차지하고 있고, 다음으로 차량구입비, 예비비, 용지보상비, 부대비 순으로 나타났으며, 노선1 단선건설시 경제성 분석결과 편익/비용비(B/C)가 1.013, 순현재가치(NPV)가 72.7억원, 내부수익율(IRR)이 5.614%로 분석되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