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공간정보플랫폼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f Spatial Information Platform for Intelligent Urban Facilities (도시시설물 관리 지능화를 위한 도시공간정보플랫폼 구성에 관한 연구)

  • Na, Joon-Yeop;Kim, Ta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97-298
    • /
    • 2009
  • 지능화된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해서는 상하수도, 가스, 난방 등 지하시설물 및 교량, 도로 등 지상시설물에 대한 관리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상호운영성의 기반위에서 통합 운영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플랫폼'이 필요하다. 도시공간정보 플랫폼은 도시내 다양한 센서 단말 등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모니터링 및 분석하여 도시관리 및 정보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정보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플랫폼을 구성하는 세부기능을 정의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도시공간정보 플랫폼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Integrated Urban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Platform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통합 플랫폼 개발 전략 연구)

  • Hong, Sa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119-126
    • /
    • 2008
  •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은 도시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 특히 지상 및 지하시설물 관리에 필요한 센서 및 미들웨어 기술, 유무선 네트워크, GIS-USN 연계 등의 요소기술이 집적된 지능형 도시운영 기반환경으로 정의된다.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은 상수도, 하수도, 가스, 난방, 송유, 전력, 통신의 7대 지하시설물과 교량, 육교, 터널 등 도시 지상시설물 등 도로기반시설물 관리를 지능화 할 수 있는 기반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 개발을 위해 플랫폼의 비전을 설정하고 개방형 분산처리 레퍼런스 모델(RM-ODP, Reference Model for Open Distributed Processing)의 적용을 통해 개발전략을 도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ference Model for Integrated Urban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Platform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 참조모델 개발 연구)

  • Hong, Sang-Ki;Cho, Sung-Youn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1 no.4
    • /
    • pp.19-27
    • /
    • 2009
  • Integrated Urban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Platform (USIMP) is defined as an operational environment where technologies for intelligent management of urban facilities are made possible through the integration of diverse technologies such as sensors for ground and underground facilities, middleware technology, wired and wireless network, GIS-USN linkage. To make the integration of these diverse technology possible, it is imperative to have a sound reference model for the platform. This paper provides a standardized reference model for USIMP based on the RM-OPD(Reference Model for Open Distributed Processing) standard.

  • PDF

The Structure and Functionality of an Intelligent Facility Management Platform (지능형 시설물 통합관리 플랫폼의 구조 및 기능)

  • Lee, Jae-Wook;Oh, Hyung-Jung;Ko, Young-Geun;Baik, Song-Hoon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8a
    • /
    • pp.78-82
    • /
    • 2008
  • 최근 신도시를 중심으로 추진 중인 U-City 사업과 함께 도시시설물 관리분야에 정보기술의 활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복잡, 다양해지고 있는 도시시설물의 효율적이며 지능적인 관리를 위하여 다수의 도시시설물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관리 플랫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개별적인 도시시설물 관리가 가지는 주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도시시설물 통합관리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통합관리 플랫폼의 개념을 구조와 핵심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최신 공간정보기술과 상황인지기술을 기반으로 한 통합관리 플랫폼은 도시공간정보와 센서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다양한 도시 상황을 지능적으로 처리함으로써 관리 비용절감과 함께 관리자의 신속한 의사결정을 가능케 한다.

  • PDF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Data Platform for Sharing Disaster Data (재난재해 데이터 공유를 위한 도시재생 데이터 플랫폼 개발)

  • Shin, Yonghyeon;Lee, Sangmin;Yang, D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80-48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지역의 재난재해 위험성 및 회복성 분석과 현황 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성 증대를 목적으로 데이터를 등록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공유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도시재생 데이터 플랫폼은 재난재해, 지역현황, 문서 항목으로 구분하여 도시재생 정보를 서비스한다. 재난재해 항목은 폭우, 폭설, 폭염, 강풍, 지진 5개 자연재해 유형과 이로 인해 추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붕괴, 폭발 사회재난 3개 유형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총8 종류의 재난재해 유형에 대한 위험성과 회복성 분석 DB를 제공한다. 지역현황 정보에서는 유휴공간 및 지역자산정보 등 도시재생 현황분석에 필요한 행정(통계)데이터, 시설물정보 등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되는 논문 및 보고서 등을 문서 항목에서 서비스한다. 데이터셋 등록 시, 시스템에 설정된 재난재해 유형, 시설물 등을 선택해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이력관리를 목적으로 데이터명과 생산년월 등에 대한 필수항목을 입력해야만 등록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GIS 기반 공간자료 등록 시에는 가시화 서비스를 위하여 공간자료의 포맷과 좌표체계, 생산년월, 생산기관 등을 필수 입력하도록 하였으며, GIS tool을 활용한 자료 분석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다. 쇠퇴지역의 재난재해 대비/대응을 위한 도시재생 데이터 플랫폼은 금년 시범운영 후, 차년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능을 탑재해 계정 권한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도시재생 업무를 수행하는 모든 사용자가 재난재해 정보를 비롯한 도시재생 관련 정보를 수집·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공유의 장을 구현함으로써 도시재생지역의 효과적인 재난재해 대비/대응 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Urban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for Urban Facilities Managment (도시시설관리를 위한 도시공간객체식별자 시스템 개발)

  • Lee, Sang-Hoon;Na, Joon-Y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99-301
    • /
    • 2009
  • 최근 유비쿼터스 기술을 도시 인프라에 적용하는 u-City 개발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u-City에서의 시설관리는 실시간으로 도시내 시설물의 위치 및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지능적인 제어가 요구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존 도시정보시스템에서 이용되던 GIS도면 혹은 대장에 의한 관리방식에서 벗어나 관리대상의 상태를 원격에서 직접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이미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을 통하여 시설물 뿐만 아니라 부재와 센서의 상태파악을 원거리에서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도시공간객체식별자(UOID:Urban Object IDentifier)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UOID의 효율적인 부여와 관리를 위한 DBMS기반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을 통해 관리자는 UOID의 생성, 수정, 소멸 등의 이력을 시간정보와 함께 관리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도시객체모델과 함께 UOID를 관리하여, ID를 이용하여 좀 더 직관적인 도시시설 관리가 가능토록 하였다. 향후, 개발될 UOID시스템은 도시공간정보플랫폼에 적용되어 도시 내에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식별자가 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Urban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Based on Network for Intelligent Urban Facility Management (지능형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기반 도시공간객체식별자(UOID) 시스템 개발)

  • Kim, Tae-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4
    • /
    • pp.172-181
    • /
    • 2011
  • Recently, Urban has been innovated through u-City and Smart City. Urban facility management system is developing using the latest IT technology for real-time monitoring and preven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UOID(Unique Object IDentification), a standard location-based ID system for urban facility object and develop the UOID service system based on network for innovation of urban facility management system. The system has been tested through Test-bed for connectivity and stability. We wish that the proposed UOID and network service system manages u-City facilities effectively and also provides various ubiquitous services to the citizen, one of the integrate service of u-City platform.

Designing an Context Awareness System for Effectively Managing City Facilities (도시 시설물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상황인지 시스템 설계)

  • Jang, Seok-Woo;Cho, Sung-Youn;Hong, Sang-Ki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3
    • /
    • pp.65-74
    • /
    • 2011
  •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ites, urban facilities have rapidly been increasing, and the task of managing them have also become complicated more and m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design an intelligent context awareness system that effectively operates underground facilities in u-City. The suggested system consists of three major steps. The information acquisition step receives alarm information of sensors from the integrated platform. The analysis and inference step analyzes the alarm data and related information and infers the reason why the alarm happens.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ends the final results of context awareness to the platform and other related modules. We produced some design products such as data flow diagram, function diagram, etc. We expect that the proposed context awareness system will be embedded in the integrated platform and used for an active management strategy of urban facilities.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

  • Yu, Seung-Cheol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7 no.4
    • /
    • pp.79-90
    • /
    • 2022
  • '스마트 기술(smart tech)'과 '도시화(urbanization)'라는 두 메가트렌드(megatrends)를 융합해 탄생한 스마트시티(smart city)가 전 세계적인 화두다. 스마트시티의 성장 가운데서 핵심적인 요소가 바로 '도시의 다양한 요소가 미디어(媒體, media)의 기능을 하는 커뮤니케이션이 중심이 된 도시'라는 점이다. 특히 메타버스 기술이 스마트시티에 접목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초월'이라는 의미의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인 메타버스(Metaverse)는 1992년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의 소설 《스노우 크래쉬》에서 유래한 개념이라고 알려져 있다[1]. 메타버스는 정의하는 연구자에 따라서 크게 다르지만 흔히 '가상의 것(virtual thing)'으로 한정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메타버스가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적 측면에서 오프라인의 현실과 온라인의 비현실 모두 공존할 수 있는 생활형·게임형 가상 융합 세계라는 의미로 보다 광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시티의 변화를 보면 도시 운영이 고도로 지능화되고 다양한 콘텐츠가 증강되면서 <<도시 공간에서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 구분>>을 파괴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과거와 다름없이 물리적 도시 공간을 걷고 있지만 이제는 지형지물과 연결된 공간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하고 또 도심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통해 실시간 공공 및 상업 정보에 항시적으로 접하고 있다. 도시의 지향점으로 간주되는 스마트시티는 이제 일종의 '도시민 생활 플랫폼'으로 메타버스 기술과 융합 콘텐츠를 통해 도시민의 생활을 촘촘하게 연결한다. 본고에서는 '스마트시티가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 기능하는 현상'을 '테코레이션(Tecoration: Technology + Decoration: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통한 도시 공간구축)'이라고 명명하려고 한다. 본고는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을 주제로 '디지털 사이니지가 만들어 가는 스마트시티의 소통'과 관련된 주요 이슈를 다루려고 한다.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patial Information Platform for the Presumption of Old Urban Space - Based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Great Map of Seoul - (도시공간의 옛모습 추정을 위한 공간정보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 조선왕조실록과 도성대지도를 바탕으로 -)

  • Choi, Mu-Yong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 /
    • v.34 no.9
    • /
    • pp.107-115
    • /
    • 2018
  • It is a basic study to speculate the old form of urban spa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tudy how to build a database that can synthesize multiple data describing the past. In particular, It was focused to the first half time of Seoul City during the Chosun Dynasty. Data is structured systematically and inclusively through digitizing, visualization, and specification. Through this, the city's urban space scene is reconstructed as a map of the city. And maps include various humanities information explaining the aspects of space activities. And it will become a system that will facilitate data management and improve the clarity of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