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시건축물관리

Search Result 13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Fire Facilities of Urbane Buildings (도시건축물의 소방시설에 관한 연구(I))

  • 김소수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6 no.2
    • /
    • pp.15-24
    • /
    • 1992
  • 우리나라는 1960년대의 경제개발계획에 따른 공업화 시축의 추진으로 산업의 발달과 경제성장은 인구를 도시로 집중시키면서 도시건축물은 대형화, 고층화, 과밀화 현상을 가져왔다. 한편, 국민생활의 향상과 산업활동의 다양화로 화재발생의 주요원인이 되는 전기, 가스, 유류등의 사용량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어 화재의 위험을 가중시키고 있다. 최근 10연간('81~'90) 전국에서 발생한 화재사고는 9만 5,154건이 발생하여 인명피해 1만1,117명, 재산피해 1,859억 2,200만원의 많은 손실을 가져 왔으며, 이 중에는 서울에서 발생한 화재가 3만6,089건으로 전체의 37.9%을 차지하고 있다. 화재가 발생할 경우 대형 참사를 방지하고 귀중한 인명피해는 물론 경제적 손실을 최저로 줄일 수 있는 소방시설을 도시건축물에 설치하여 이에 대비하는 것이 무엇보다 귀중한 일이다. 이는 화재예방 또는 발생 초기에 이를 감지, 통보하고 피난하며 소화활동에 이르는 모든 방재 및 소화를 위한 소방시설의 유용성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도시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유지 관리 실태와 화재시 소방시설의 이용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므로서 예방소방행정의 발전을 기하고저 하였으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서론부분으로서 연구의 목적과 범위및 접근 방법을 서술하였고, 제2장에서는 도시소방행정의 특성 및 소방환경의 변화로 먼저 소방행정의 의의와 도시소방행정의 유형으로 예방소방과 진압소방 그리고 구급.구조업무등을 살피고. 도시소방환경변화에 따른 화재발생추세를 살펴 보았다. 제3장에서는 도시건축물에 설치하는 소방시설의 설치.유지 및 이용실태를 검사.분석하였다. '90년도 서울시내 소방서에서 실시한 소방대상물에 대한 소방검사와 방화관리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소방시설의 유지관리실태를 통계.분석한 결과, 소방시설이 양호한 소방대상물은 전체의 75.9%이며, 불량소방대상물은 24.1%로 나타났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한 소방검사대상물에 대한 화재현장 조사결과 화재시 소방시설을 사용한 소방대상물은 전체의 72.1%를 차지하고 있다. 제4장에서 는 소방시설의 문제점으로 \circled1 소방설비부실공사, \circled2 소방시설 유지관리능력부족, \circled3 소방검사제도 불합리등이며, 이에 대한 개선방향으로 \circled1 소방설비 시공자의 지도. 감독강화, \circled2 자체시설관리능력향상, \circled3 예방소방행정제도의 개선을 제시하였다. 제5장은 결론으로, 우리나라가 최근 경제성장과 산업의 발달로 도시건축물의 화재발생 위험이 가중되면서 이에 대한 소방안전대비책이 요구된다. 이에는 도시건축물에 방화시설과 소방시설을 완비하고, 그리고 자격있고 유능한 방화관리자 선임하여 자체 소방계획을 수립하여 시설점검, 정비와 유지관리를 철저히 한다면 어떠한 화재도 예방 또는 초기에 진압할 수 있고, 또한 입주검자에 대한 소방교육 및 훈련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나간다면 여하한 도시건축물의 소방안전도 그 목적을 달성하리라고 생각한다.

  • PDF

Guidelines for the improvement of accuracy on building related registers information (건축물관련 행정자료의 정비방안 : 건축물관련 정보 통합활용을 중심으로)

  • Kang, Young-Ok;Lee, Joo-Il;Park, Mi-Ra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8 no.3
    • /
    • pp.15-26
    • /
    • 2006
  • Building related inform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ramework data for the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 However, building related registers have its own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t have limitation to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Those situations are obstacle for the efficient and scientific urban management in the information era. This research focused on three aspects first,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building related registers, second, set the direction to improve accuracy of building related information, and finally suggested solution to improve the accuracy of buil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its problem typ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set detail guideline to improve building related information, which could be immediately used in local government for the systematic urban management.

  • PDF

우ㆍ오수분류식 하수처리 시설관리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8 s.197
    • /
    • pp.100-100
    • /
    • 1985
  • 전국 도시 토지개발사업을 시행함에 있어 환경 및 수질 오염으로 인한 주거환경의 악화를 방지하고 쾌적한 신 시가지를 조성하기 위하여 생황오수는 일반하수관 외의 별도 오수관을 시설하여 하수종말처리를 할 수 있도록 그 시설방법을 소개하니 건축물의 허가와 준공시 이를 확인하여 시설물이 제기능을 다 할수 있도록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PDF

The French Evolution of Protection-Management Systems for Historic Monuments and Their Surroundings over One-Hundred Years: 1913-2016 (프랑스 역사기념물과 그 주변 보호·관리제도의 진화: 1913~2016)

  • Lee, Sujin;Ryu, Je-hu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2 no.3
    • /
    • pp.94-111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he protection-management system for historic monuments and their surroundings in France over one-hundred years. Because France and Korea shared policies and institutions regarding the management of historical monuments (cultural property) along with their surroundings,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French experience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In France, historical monuments began to be recognized as national heritage according to "the 1913 law" which has continued to evolve for more than one hundred years. In the beginning, a historical monument was preserved as a single building unit; however, since 1943, a new policy has been implemented to preserve sets of historical monuments along with their perimeters of protection zones. Moreover, since 1980, in the context of decentralization, local authorities have been given more roles and autonomy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historic monuments and their surroundings. Local authorities have played a key role in the protection-management of historic monuments and their surroundings, and have become more active in the conservation of their architectural heritage, including historic monuments. The central government, however, remains as the headquarters whose rigorous policies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the de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of architectural and cultural heritage, including historic monuments. The final goal in the evolutionary process, then, targets the effective and harmonious integration of the protection-management system for historic monuments and their surroundings into urban and regional planning.

A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Free Form Building's Construction Productivity - Focused on Exposed Concrete Work - (비정형 건축물 공사의 생산성 분석 및 향상방안 - 노출콘크리트 공사를 중심으로 -)

  • Lee, Eun-Young;Kim, Yea-Sa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5 no.3
    • /
    • pp.38-46
    • /
    • 2014
  • The Global's top five Design Firms selected from BauNetz a German architectural magazine in 2007 designed free form building design which was 25% of the overall design by 2006-2010. Free form building is a landmark of the city and the country so its social and economic impacts are very large. In case of Korea, free form buildings such as Tribowl in Incheon, KINTEX Exhibition hall 2 and Dongdaemun Design Plaza have increased. However, those the increase in design trends and, the needs due to the lack of free form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management experience, free form building projects can't be expected to profitability and have a number of problems after completion. Especially, there are many excessive quality problems and the rising cost due to design changes frequently and lack of experience and data. Thus an initial plan regardless of considering of free form building's characteristics can be a huge risk because of the difference with the plan and actual projects, yet there aren't free form building project's performance data and case studies related to productivity. In this study, through selection of low-construction productivity works and an analysis of the work process and productivity data, hope to propose an actual field productivity of free form building and the ways to improve productivity.

이슈 & 이슈 - 녹색건축물 효율화 정책 및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63
    • /
    • pp.50-57
    • /
    • 2012
  • 저탄소 녹색성장은 세계적인 친환경 추이에 발맞추고 소비자들의 인식변화에 부응하는 신성장동력이다. 이를 잘 활용하면 기업의 경쟁력을 장기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고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줄 수 있다. 녹색성장은 그야말로 기업 성장에 엄청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인 것이다. 정부는 향후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 건축물을 목표로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건축물 에너지 목표관리제 도입,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등이 있다. 내년 2월 23일 시행을 앞두고 있는 '녹색 건축물 조성 지원법'은 건축물의 설계 시공 유지 관리 등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법으로서, 특히 건축물의 에너지효율 개선 관련 기준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로써 고효율 설비 등 시설 투자는 물론 에너지 소비를 제어할 수 있는 기계설비의 위상과 역할이 크게 부각될 전망이다. 대한건설협회 및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은 지난 4월 18일 건설회관에서 '건설분야의 녹색정책과 대응방안'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bigtriangleup$저탄소 녹색성장 정책방향 $\bigtriangleup$녹색건축물 관련법 및 정책 추진방향 $\bigtriangleup$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제정에 따른 건설업의 나아갈 방향 $\bigtriangleup$녹색건축 도시조성을 위한 실천전략 $\bigtriangleup$녹색건축물제도가 건설업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해 주제발표를 했다. 본지는 '건설분야의 녹색정책과 대응방안'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내용을 바탕으로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 PDF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Height of Buildings using Urban Landscape Simulation (경관시뮬레이션을 통한 건축물 높이관리에 관한 연구)

  • Lee, Dong-Hyun;Baek, T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0 no.4
    • /
    • pp.132-141
    • /
    • 2007
  • The rebuilding or redevelopment of buildings in the Readjustment Project District is generally built high-rise buildings. It sometimes makes our residential area to be uniform in height and disharmony with surrounding houses and infrastructure. Then this research examines the landscape effects of the height of buildings built using landscape simulation on hillside and level ground. We suggested that it was desirable for a land readjustment project district to be managed by District Plan and Development Density Controlled Area. In addition, a consider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Average Floors is needed to mitigate the uniform and disharmony with surroundin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