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서관수

Search Result 2,70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Purchase of Public Library's e-book (공공도서관 전자책 구입방식에 관한 연구)

  • Song, Jae-Sul;Nam, Y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4.08a
    • /
    • pp.103-108
    • /
    • 2014
  • 전자책은 장서 및 예산 규모면에서 이미 공공도서관의 중요한 서비스 영역으로 자리잡았으나 도입 방식 및 서비스 측면에서 아직 개선이 필요한 많은 과제들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서 전자책이 차지하는 규모를 살펴보고 국내외 전자책 구입 방식을 파악하여 향후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국외 도서관의 경우 상용전자책 구입시 도서관에서 전자책을 직접 보유하지 않는 ASP 임대 방식을 채택하는 사례가 높고, 도서관의 사명을 견지하며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개선점을 찾아나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 도서관의 경우 전자책을 영구적으로 소유하는 방식을 따르고 있고, 카피수, 무상 유지보수 기간 등 기본적인 조건들이 기준이나 체계없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고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PDF

A Library Reserv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mage Processing (영상처리를 이용한 도서관 예약관리시스템)

  • Seo, Jeong-Min;Lee, Hee-Suk;Lee, Sang-Moon;Park, Hyun-Cheol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8.05a
    • /
    • pp.88-91
    • /
    • 2008
  •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은 각 대학교 도서관뿐만이 아니라 기타 정부기관, 업체 등의 도서관에서 좀 더 효율적인 도서관 좌석 관리를 위해 이루어지고 있다. 도서관 좌석 관리를 위해 단말기를 통하여 지문이나 카드로 신분을 확인하는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여 이용하는 사람들의 출입 및 좌석을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도서관 열람실은 특별한 좌석관리 시스템이 없으며 외부인의 출입이 제한되어있지 않아 학생들과 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운영은 평소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시험기간이 되면 수용할 수 있는 인원에 비해 사용 인원이 많고 또 제대로 된 좌석관리 시스템이 없어 항상 자리가 부족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도서관 좌석 관리 시스템에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처리 기법을 적용하여 열람실의 좌석 정보를 영상 처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 줄 수 있는 무인 자동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A Study on the Problems and Development Plan of Statistics in Special Library (전문도서관 통계의 문제점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Noh,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2 no.2
    • /
    • pp.25-47
    • /
    • 2021
  • Using the data shown in the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we tried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from various angles and derive problems, and based on this, we tried to find a development plan. Firs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thorough survey to know the statistics of Special library. Second, some degree of unification of the names used in Special libraries should be achieved. Third,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subject classification for Special librar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mote and incentive Special libraries to participate in statistical surveys. Fifth,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that Special libraries are classified into other statistics. Sixth, statistics of national and large Special libraries such as the Court Library, Constitutional Court Library, and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cannot be found anywhere. Unless these problems are solved, the overall evaluation of Special libraries and policy proposals at the national level will be meaningless.

A Study on the Online Media Usage Strategies of Anyang Municipal Library for the Post-Covid-19 Era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안양시 도서관의 온라인 미디어 활용 방안 연구)

  • Song, Min S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5
    • /
    • pp.499-51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ective plans for Anyang municipal library to use online media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19 era. For this purpose, the main implications were summarized by analyzing the operation cases of 5 excellent libraries that received government awards in the libraries' operation evaluation in 2021. And based on the analysis, strategies that can help Anyang municipal library use online media to operate library effectively even after COVID-19 were deri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n empirical study that summarizes the online media usage strategy of the Anyang municipal library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19 era based on actual cases of excellent libraries in the COVID-19 period.

A Study on the Improvement in Statistical Indicator of Public Library (공공도서관 통계지표 항목 설정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Cho, Hyun-Yang;Kim, Hong-Ryul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3 no.4
    • /
    • pp.427-450
    • /
    • 2012
  •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improvement direction in statistical indicators of public libraries to collect objective data from such libraries. This improvement direction was made by deriving from countable factors at the library. These were selected from various parts of the library sectors, such as the library-related laws, public library standard of our country, and statistical indicators of IFLA and other major countries. Also The these statistical indicator was compared to the current statistical indicator of public library in Korea. The results will be able to develop new draft of statistical indicator, which can be used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situation of public libraries.

Big Data Platform for Public Library Users: Focusing on the Cultural Programs and Community Service (이용자를 위한 공공도서관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 문화프로그램 및 커뮤니티 서비스 정보를 중심으로 -)

  • Yoon, S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3 no.3
    • /
    • pp.347-370
    • /
    • 2022
  • Most public library websites provide unstructured cultural program data, which cannot be produced and utilized systematically as bibliographic information. It is not sufficiently used in existing library big data research or cases, and there is a risk of disappearing when the website is reorganized or the person in charge is changed. This study developed a data schema that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bibliographic data by collecting and analyzing cultural programs and community service data produced in an unstructured manner and proposed to share and utilize public library cultural programs and community service data, and establish a library big data platform that can serve as an information channel between librarians who are cultural program planners. Library program data posted on the library website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through the platform, securing continuity of work, and systematically managing and preserving the specialized service history of individual libraries.

LIBRARY EDUCATION IN JAPAN, THE REPUBLIC OF KOREA AND TAIWAN A COMPARATIVE STUDY(I) (일본, 한국, 대만의 도서관학 교육 비교연구)

  • Um Young A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7
    • /
    • pp.203-227
    • /
    • 198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한 문화적 배경을 공유한 일본, 한국, 대만의 도서관학 교육을 비교하여 유사점과 상이점을 발견하고 그들의 배경이유를 찾아서 사회와 도서관학 교육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비교의 대상이 된 교육기관은 4년제 대학(교)의 도서관학과로 일본의 다섯 대학교, 한국의 아홉 대학교, 대만의 네 대학교의 도서관학 교육을 비교하였다. 연구가 증명하려고 시도한 가설은, 1. 일본, 한국, 대만은 유사한 문화적 배경을 공유하는 한편, 미국의 도서관학 교육을 받아들였으므로, 세 나라의 도서관학 교육에는 유사점들이 있을 것이다. 2. 상이점들이 있다면, 그것들은 각 국의 특성을 반영할 것이다. 3. 세 나라의 도서관학 교육에 유사점들이 있다면 도서관학 교육의 경향, 문제점들 및 전망도 비슷할 것이다. 가설의 증명을 위하여 교육의 목적, 교수진, 남$\cdot$여학생의 비율, 입학시의 학생들의 학력수준, 교과과정, 과정수료에 요구되는 특수조건, 교과서, 연구, 학과 도서실 및 시설, 학과와 도서관과의 협력관계, 정보학 교과목, 사회가 요구하는 도서관 봉사 및 그에 대응하는 도서관학 교육의 청도, 교육의 경향, 문제점 및 장래 그리고 학과 졸업생들의 도서관 취업률 등을 비교하였다. 비교의 결과 가설을 타당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결론에 대한 설명과 아울러 도서관학 교육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1. 미국의 도서관학 교육이 근거로 한 이론적인 배경 및 개념을 재검토하여 적합한 것은 받아들이고, 필요한 경우에는 변형하여 적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미국과 다른 나라의 실제 도서관 업무 및 봉사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하여 사서와 교육자가 함께 자국의 상황에 적합한 고유한 도서관학을 정립하여야 한다. 2. 도서관 이용 및 봉사에 보다 관심을 기울이고 바람직한 개념을 홍보하고 그것에 호응하는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미래의 사서인 학생들을 이용자에게 접근하여 그들을 가르칠 수 있고 도서관을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끔 교육을 시켜야 할 것이다. 3. 미국 이외의 나라에서 실시되는 교육제도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4. 도서관 및 도서관학 교육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다른 전문직과 같은 대우를 받으려면, 국가고시제도가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5. 도서관협회가 도서관학 교육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사서 자격증을 관할하는 단체가 될 수도 있고 교육의 내용에도 관여할 수 있다. 6. 도서관학과와 도서관과의 협력관계가 보다 강화되어야 하며, 도서관현장을 토대로 한 연구활동이 필요하다. 진정한 의미의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활동이 없이 이론적, 실제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7. 대학(교) 도서관 및 특수도서관의 사서를 위한 전문교육은 대학원 수준에서 제공되고, 학부의 도서관학 교육은 학교도서관 및 공공도서관의 사서를 위한 교육으로 전문화되어야 한다. 8. 도서관학의 교육자들이 모여 문제를 토론하고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며, 세 나라가 공동의 경험을 나누고 문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공식적인 회의나 학회의 구성이 필요하다.

  • PDF

수서 및 목록을 위한 미국의 국가계획

  • Jang, Il-Se
    • KLA journal
    • /
    • v.14 no.6
    • /
    • pp.19-25
    • /
    • 1973
  • ‘역자 주-이글은 미국도서관협회 산하인 대학 및 조사연구도서관협회에서 발행하는 월간지’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1973년 3월호(제23권 2호)에 실린 글이다. 컴퓨터가 도서관계에 많이 도입되고는 있지만 수서 및 목록문제는 여전히 가장 중심적인 문제로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에서 국가적으로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계획적인 수서와 협동목록이 국가적인 견지에서 볼 때 막대한 재정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비록 우리들의 형편이 컴퓨터를 미국에서와 같이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단계에 있지는 않으나 선진국의 도서관들에게 다소나마 도움과 자극을 줄 수 있다면 역자로서 매우 만족스럽게 생각하는 바이다. 원문 명 및 필자: The national Program for Acquisitions and Cataloging : Its Impact on University Libraries, by Carol F. Ishimoto.

  • PDF

A Study on the National Public Library Statistics Program to Improve Statistics Items and Collection System (공공도서관 통계 항목의 설정과 수집 방법의 개선을 위한 연구)

  • Cha, Mi-K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6 no.2
    • /
    • pp.73-87
    • /
    • 2002
  • Public library statistics can be a useful tool for measuring public library resources and services and also supporting management process including planning and policy development.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an advanced national public library statistics system to report accurate description of public library situation. Main user groups and useful areas of public library statistics wer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emerging trends of public library statistics systems at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were summarized. Current public library statistics system, annually collected and published by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was analyzed and ways for the improvement were suggested particularly in the aspects of validity, reliability, consistency, currency, and utility.

An An.0, pproach to the Reorganiz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in the 21st Century

  • 홍현진;이병목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9
    • /
    • pp.443-464
    • /
    • 1998
  • 21세기를 맞이하여 대학도서관은 정보기술의 도입, 업무내용의 변화, 이용자의 요구변화등 급격하게 변화하는 새로운 환경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도서관 조직구조의 현황에 대한 분석과 함께 다양한 조직이론들과 정보환경의 변화에 기초해서 도서관조직을 활성화시키기위한 개념적인 조직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의 대학도서관은 거의 10년동안 법적인 제약과 조직내외의 환경적인 한계 등으로 인해 전산화시스템의 도입, 도서관부관장의 임명, 그리고 도서관과 컴퓨터 센터와의 통합시도와 같은 약간의 변화외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전형적인 한국의 대학도서관은 수서, 기술서비스, 열람과 참고봉사 부문으로 조직되었다. 여기서 수서 기능을 기술서비스의 부문으로 간주한다면, 본 연구의 대상인 대학도서관 114개관 중 95개관(82.5%)이 전통적인 도서관조직의 형태인 기술서비스와 공공서비스 부문으로 조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도서관조직의 문제점들을 급복할 수 있는 21세기의 개념적인 대학도서관 조직모델로서, 네가지 부문 - 서비스 부문, 서비스지원 부문, 기술지원 부문, 그리고 통합·조정부문-을 대학도서관의 개념적인 기본 구성요소로써 제안하였다. 그러나 모든 도서관의 서비스나 업무과정에 대해 적합한 잉상적인 조직구조는 없으며, 조직의 재조직과정은 도서관의 형태와 목적, 업무과정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도서관의 재조직화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끊임없는 과정이 될 것이며, 도서관조직의 성공은 이러한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개인과 조직의 역량에 달려있다고 하겠다.대한 순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4) 도서관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두 집단은 상이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학자들의 과반수는 중요 정보원으로서 자신의 개인장서를 활용하며, 도서관의 장서 및 그 조직방법에 대해서도 별로 만족하지를 못하고 있다. 반면에, 실무가들은 도서관에 대하여 비교적 만족하며 따라서 도서관에 대한 이용도도 높다. 5) 두 집단 모두 보조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으며 사서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기초로 하여 볼 때 법률전문직을 둘러싼 정보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는, 인쇄된 일차적 정보자료의 검색방법등을 개선하고, 나아가서는 법령과 판례정보를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며,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요구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잇는 도서관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가장 중요한 것은 법과대학과 사법연수원에서 법학 연구방법에 관한 강좌를 개설하여 각종 법률정보원의 활용 내지 도서관 이용방법에 관하여 교육하는 것이다.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boxDr$한국어사전$\boxUl$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크기에 의존하며, 또한 이러한 영향은 $(Ti_{1-x}AI_{x})N$ 피막에 존재하는 AI의 함량이 높고, 초기에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