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로 지도

Search Result 21,827,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A Preliminary Study on Presentation Techniques of Traffic Guide Maps (교통안내지도 표현기법에 관한 기초연구)

  • Kim, Dong-Nyeong;Park, Jeong-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5 no.4
    • /
    • pp.33-42
    • /
    • 2007
  • This study analyzes presentation methods of traffic guide maps to guide drivers easily and correctly to their destinations on complex road networks. The problems of Korea's guidance systems were analyzed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road guide maps were compared. This study includes the problems of road number discernment, such as the sizes, colors and marking intervals on the map. The widths and colors of different hierarchical roads were evaluated. The indices, enlarged downtown maps and uncertainty of grade separation on the map were analyzed and the solutions were also provided.

Road Map Data Compression Using Extraction of Characteristic (특징점 추출을 이용한 도로망 지도의 데이터 압축)

  • 도재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81-84
    • /
    • 2002
  • 최근, 사회의 요구의 다양성, 고도화에 동반하여 지도정보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 시스템을 구축할 때, 지도 중에서 각 선도형이 갖는 방대한 데이터를 어떻게 압축하여 시스템에 입력하여, 축적할까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자동차의 네비게이션 등에 이용하는 도로지도에 한해서는, 도로의 접속관계만 유지된다면, 원래의 도로지도와 다소 차이가 있다고 하여도 충분히 유효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네비게이션을 목적으로 한, 시가지의 도로망 지도에 대하여, 특징점 추출과 직선 근사를 이용한 데이터 압축법을 제안한다.

  • PDF

Design of Preprocessing Algorithm for HD-Map-based Global Path Generation (정밀도로지도 기반 전역경로 생성을 위한 전처리 알고리즘 개발)

  • Hong, Seungwoo;Son, Weonil;Park, Kihong;Kwun, Suktae;Choi, Inseong;Cho, Sung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1 no.1
    • /
    • pp.273-286
    • /
    • 2022
  • An HD map is essential in the automated driving of level 4 and above to generate the vehicle's global path since it contains road information and each road's lane information. Therefore, all the road elements in the HD map must be correctly defined to construct the correct road network necessary to generate the global path. But unfortunately, it is not difficult to find various errors even in the most recent HD maps. Hence, a preprocessing algorithm has been developed to detect and correct errors in the HD map. This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result in constructing the correct road network for use in global path planning. Furthermore, the algorithm was tested on real roads' HD maps, demonstrating its validity.

A Road Sign Framework Development for Rural Highway System (지방도 도로표지의 안내체계개선(안내지명 선정을 중심으로))

  • Choi, Kee-Choo;Hong, Won-Py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6
    • /
    • pp.17-26
    • /
    • 2003
  • 주간선도로의 ITS 사업 등 동적정보의 제공이 최근 도로이용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나, 지방부의 정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표지는 아직도 안내기능이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지방부 도로를 대표하는 지방도는 연장에 있어서 모든 도로를 통해서 최장이며 고속국도, 국도, 국가지원지방도와 함께 복잡한 도로망을 형성하고 있다. 즉, 도로의 대종을 차지하는 지방도는 아직도 정적정보제공기반도 취약하다는 것이며, 증가하는 수요에도 불구하고 길 찾기의 기능이 가장 미흡한 도로가 지방도이다. 이러한 지방도의 경우 같은 위계의 지방도 간에도 노선연장 및 지역적 차이가 크며, 노선의 연속성 또한 미약하다. 이러한 지방도 도로안내체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노선별 적절한 안내지명을 선정하고, 선정된 지명을 통해 도로안내 및 표지간의 연계성을 유지하기 위한 도로표지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동에 있어 중추적 기능을 수행하는 도로가 아닌 지방도는 장거리 통행을 위한 위계 높은 도로와의 연계가 필수적인 만큼 본 연구에서는 도로표지규칙의 지방도 안내지명 선정에 대한 선정원칙을 재검토하고, 지방도의 적절한 안내지명 선정을 위해서 타 노선과의 연계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9가지의 유형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노선연계 유형을 기반으로 노선별 거점을 선택하는 것으로 하였다. 한편, 안내지명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각 노선별 거점을 중요지와 주요지로 구분하여 정의, 선정하여 안내를 위한 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안내지명서정요령 및 틀을 통해 지방도내의 및 지방도와 기타도로와의 연계성이 더욱 고조되고, 안내체계의 효율성의 증대가 기대된다.

A Study On the Renewal System of Domestic High Definition Maps (우리나라 정밀도로지도의 갱신체계에 관한 연구)

  • SEOL, Jae-Hyuk;LEE, Won-Jong;CHOI, Yun-Soo;JEONG, In-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3
    • /
    • pp.133-145
    • /
    • 2019
  • Building and researching high definition maps that support autonomous vehicles, one of Korea's key challenges for the future, are being actively propelled in both private and government sectors with the goal of fast commercialization. Under this perspective, update methods that secure up-to-date information are emerging as key tasks. To provide a plan for establishing efficient renewal systems for high definition maps, we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 of road types, causes of road changes and its annual change rates, and examined where and how such road change information is managed. Furthermore, the method of collection and detection of road change information and the renewal system of high definition maps are defined based on the current study. At the end of the paper, a step-by-step renewal system is propos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renewal cycles, contents, and region of high definition maps.

Precise Road Map Objects Analysis for Autonomous Driving Test Case Construction (자율주행 단위시험환경 구축을 위한 정밀도로지도 객체분석)

  • Park, Jong-bin;Kim, Kyung-won;Lim, Tae-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269-270
    • /
    • 2022
  • 자율주행 자동차의 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능 평가, 성능 평가, 안전성 평가 등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평가는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실제 주행을 통해 이뤄질 수 있으며, 현실의 도로 상황을 고려한 단위시험환경들을 조합 구성한 통합시험환경에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단위시험환경은 도로망 구성, 장애물, 표지판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밀도로지도를 기반으로 주행차량수, 보행자, 기상환경, 동적 이벤트 요소 등을 고려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위시험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정밀도로지도 처리 방법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밀도로지도 처리를 포함하는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설계하고, 정밀도로지도 객체분석을 통해 시험환경의 특성 및 상호 유사성을 파악한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배포한 정밀도로지도를 사용하여 객체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했으며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확인했다. 개발한 소프트웨어는 향후 자율주행 학습을 위한 단위 및 통합 시험환경 구축 및 법규 및 규제 대응 서비스 시나리오의 구성에 활용할 예정이다.

  • PDF

Matching and Attribute Conflating Method for Linking the Digital Map with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 Focused on the Road Centerline Layer - (수치지도의 도로명주소 체계 연계를 위한 매칭 및 속성 융합 방안 - 도로중심선 레이어를 중심으로 -)

  • Bang, Yoonsik;Ga, Chillo;Yu, Ki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0 no.4
    • /
    • pp.379-388
    • /
    • 2012
  •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has begun to be applied and widely used since 2011. However, the Digital Map, or the national representative basic map, has no reference to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It causes some difficulties to use the Digital Map under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In this paper, we suggest a method for generating the expanded Digital Map by adding information about Road Name Address system into the objects of the Digital Map. First, object matching pairs between the road section layer from the Road Name Address Map and the road centerline layer from the Digital Map are found. Then attributes to be copied from the Road Name Address map to the Digital Map are extracted by comparing their attribute tables. Finally the extracted attributes are copied from the Road Name Address Map to the Digital Map. The expanded road centerline layer of the Digital Map then has attributes about road name according to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so that the georeferencing of the Digital Map according to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becomes possible.

Produce complex disaster maps centered on local roads through overlay of disaster maps (유역 개념을 이용한 지방도 중심의 복합재해지도 제작)

  • Jo, Hang Il;Jun, Kye Won;Kim, Young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39-239
    • /
    • 202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성 집중호우와 태풍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국토는 전체면적 중 산지면적이 63%에 해당하여 산지에서 발생하는 산사태와 토석류에 취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대비하기 위해 국내·외에서는 재해지도를 제작하여 관리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재해지도는 격자형식으로 제작되어 있어 실무자들이 활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지재해에 취약한 강원도 강릉시 지방도를 대상으로 산림청에서 개발한 산사태위험지도와 토석류 위험지도를 중첩하여 복합재해지도를 제작하였다. 먼저 산사태위험지도에 유역의 개념을 도로에 적용하고서 지방도로를 200m 간격으로 분할하여 도로 중심으로 유역을 제작하였으며, 해당 유역에 산사태위험면적과 토석류위험면적 값을 이용하여 도로의 등급을 1등급(매우 위험) ~ 5등급(매우 안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복합재해지도 결과의 검증을 위해 SINMAP모형을 이용하여 오차율을 비교분석한 결과 15% 이내인 것으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복합재해에 대비 할 수 있는 유역의 개념을 적용한 재해지도를 제작하며 도로관리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재해지도를 쉽게 이해하고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ng a Positioning Accuracy of Roadside Facilities DB Constructed from Mobile Mapping System Point Cloud (Mobile Mapping System Point Cloud를 활용한 도로주변 시설물 DB 구축 및 위치 정확도 평가)

  • KIM, Jae-Hak;LEE, Hong-Sool;ROH, Su-Lae;LEE, Dong-H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3
    • /
    • pp.99-106
    • /
    • 2019
  • Technology that cannot be excluded from 4th industry is self-driving sector. The self-driving sector can be seen as a key set of technologies in the fourth industry, especially in the DB sector is getting more and more popular as a business. The DB, which was previously produced and managed in two dimensions, is now evolving into three dimensions. Among the data obtained by Mobile Mapping System () to produce the HD MAP necessary for self-driving, Point Cloud, which is LiDAR data, is used as a DB because it contains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However, at present, it is not widely used as a base data for 3D modeling in addition to HD MAP production. In this study, MMS Point Cloud was used to extract facilities around the road and to overlay the location to expand the usability of Point Cloud. Building utility poles and communication poles DB from Point Cloud and comparing road name address base and loc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accuracy of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DB extracted from Point Cloud is also higher than the basic road name address of the roa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xpansion of the facility field sufficiently.

Map Generation Method using Small Trace Data (경량의 GPS 트레이스 데이터를 이용한 지도 생성 기법)

  • Jang, Sera;Lee, Eunseok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9.11a
    • /
    • pp.907-908
    • /
    • 2009
  • 지리정보 시스템에서의 지도 데이터 생성은 많은 양의 실세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그 생성 및 변경에 있어서 많은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경량의 차량 GPS 트레이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높은 정확도의 도로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방법론은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ITS)의 중요 요소인 지리정보 생성에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도로 지도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