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로 기상정보

Search Result 48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in Suwon Based on GIS Data and Measured Meteorological Data and Fine Particle Concentrations (GIS 자료와 지상측정 기상·미세먼지 자료에 기반한 수원시 지역의 도시대기환경 특성 연구)

  • Wang, Jang-Woon;Han, Sang-Cheol;Mun, Da-Som;Yang, Minjune;Choi, Seok-Hwan;Kang, Eunha;Kim, Jae-Ji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6_2
    • /
    • pp.1849-1858
    • /
    • 2021
  • We analyzed the monthly and annual trends of the meteorological factors(wind speeds and directions and air temperatures) measured at an automated synoptic observation system (ASOS) and fine particle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measured at the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s(AQMSs) in Suwon.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ow the fine particle concentrations were related to the meteorological factors as well as urban morphological parameters (fractions of building volume and road area). We calculated the total volume of buildings and the total area of the roads in the area of 2 km × 2 km centered at each AQMS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analysis of the meteorological factors showed that the dominant wind directions at the ASOS were westerly and northwesterly and that the average wind speed was strong in Spring. The measured fine particle concentrations were low in Summer and early Autumn (July to September) and high in Spring and Winter. In 2020, the annual mean fine particle concentration was lowest at most AQMSs. The fine particle concentrations were negatively and weakly correlated with the measured wind speeds and air temperatures (the correlation between PM2.5 concentrations and air temperatures was relatively strong). In Suwon city, at least for 6 AQMSs except for the RAQMS 131116 and AQMS 131118, the PM10 concentrations were affected mainly by the transport from outside rather than primary emission from mobile sources or wind speed decrease caused by buildings and, in the case of PM2.5, vise versa.

A Design of On-Line Quiz Game through Character for Computer Study (컴퓨터 학습을 위한 캐릭터활용 온라인 퀴즈게임의 설계)

  • 한병래;송기상;홍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687-689
    • /
    • 2000
  • 정보사회가 되면서 새로운 교수방법들이 많이 개발되었고, 컴퓨터의 발전으로 과거에는 나타날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게임들도 존재한다. 본 논문은 컴퓨터 학습을 하는 방법에 있어 캐릭터를 활용한 온라인 퀴즈게임을 이용하였다. 퀴즈게임은 학습자의 흥미도를 높일 수 있고, 계속적인 학습자 관찰이 가능하여 학부모와 교사에게 전자우편으로 결과를 피드백 해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 퀴즈 게임을 개발하는데 요구되는 사항과 특징들을 설계 상에서 살펴보고, 아이템과 시스템에 요구되는 각종 자료 구조를 설계하였다. 이 시스템을 통하여 학생들은 서로 협동하게 되고, 경쟁을 통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Quality Control of Pluvio Snowfall Data Using Parsivel (광학우적계를 이용한 무게식 우량계 적설 자료 품질 관리)

  • Ro, Yonghun;Chung, G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80-80
    • /
    • 2018
  • 겨울철 대설 현상에 따른 도로 결빙과 항공기 운항 지연, 비닐하우스 및 가건물 붕괴와 같은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대처방안을 마련하는 일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를 위해 정확한 적설 정보가 근본적으로 필요하지만, 문제는 적설량을 정량적으로 관측하는 일이 간단하지 않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무게식 우량계를 이용한 적설 관측이 수행되고 있지만, 강설량이 많을 경우 우량계가 눈에 덮이는 캐핑(capping) 현상으로 인해 제대로 관측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게식 우량계의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고 자료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광학우적계(Parsivel)로 관측된 강설입자정보를 이용하여 적설량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무게식 우량계 자료는 대관령 구름물리선도센터에 설치되어 있는 플루비오(Pluvio)의 적설 관측 자료를 이용하였다. 먼저, 관측된 플루비오 자료에서 단위 시간동안의 신적설을 산정한 후 과도한 관측값과 같은 노이즈를 제거하였다. 또한 플루비오와 동일 기간에 관측된 광학우적계 자료에 대해 강설 입자가 $10/m^3$ 초과로 나타나는 사상을 강수 기간으로 결정하고 두 자료가 모두 '0'인 경우 무강수로 나타냈다. 그 결과 강수 입자가 관측된 적설 기간에 플루비오가 우수하게 강설 사상을 관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부적합한 자료를 보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적설 자료를 개선할 경우 향후 레이더를 이용한 공간적 강설 추정의 정확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waterfront activity index through complex monitoring in waterfront (하천 친수공간 복합모니터링을 통한 친수활동 종합지수 개발 연구)

  • Jung, Woo Suk;Gwon, Si Yun;Lee, Su Jeong;Kwon, Jae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0-490
    • /
    • 2022
  • 국내 대하천 및 중·소규모 하천의 홍수터 공간을 활용하여 체육시설 및 공원 등과 같은 친수 시설물을 조성하여 친수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시민들의 친수활동 빈도는 증가추세에 있다. 특히 하천 내에서 수상 레크레이션 활동 등과 같은 다양한 친수활동이 증가하고 있으며, 하천친수에 관한 정보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체계적인 공급은 미흡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수공간 조성 및 유지관리에 대한 측면과 친수공간에서의 쾌적한 친수활동을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하천 친수공간에서의 복합모니터링을 이용한 친수활동 종합지수를 산정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센서 기반의 시계열 데이터 구축을 위해 하천 수질, 수리인자의 복합모니터링을 진행하였다. 수리인자(수위, 유속, 수면폭 등)와 수질인자(탁도, Chl-a, pH 등), 기상학적 인자(자외선 지수, 미세먼지 등) 등급에 따른 허용기준을 설정하여 각 등급 별로 수리인자의 값을 0~1 사이 값인 소속도로 변환하여 소속도의 합성 및 친수활동 등급을 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수리, 수질, 기상 인자별 소속도 함수 산정을 통한 퍼지합성 이론 기반의 친수활동 종합지수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친수활동 종합지수를 예보하기 위한 모델 적용을 위한 방향성을 정립하였다.

  • PDF

An Analysis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Local Disaster Response Factors using AHP Method (AHP기법을 이용한 국지적 수재해 대응지표간의 중요도 분석)

  • Lee, Jin-Hyeong;Lee, Youn-Ha;Lee, Ji-Su;Hong, W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50-251
    • /
    • 2015
  •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예측이 어려운 돌발성 기후로 인한 재난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이처럼 재해를 유발하는 위험기상 현상의 강도는 점점 증가하지만 인구와 사회기반 시설은 한 곳에 집중되면서 지역적 단위가 아닌 지구단위 규모의 국지적 기상재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른 재해의 안전성과 취약성을 평가하는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대응관점에서의 성능 평가에 대한 절차와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수재해 대응 평가요소를 조사하여 도출된 대응요소의 중요도를 AHP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

Bias Correction of AMSR2 Soil Moisture Data Using a Multiple Regression Method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한 AMSR2 토양수분의 정량적 개선)

  • Kim, Myojeong;Kim, Gwa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14-514
    • /
    • 2015
  • 홍수 예측의 개선에 있어 정확한 공간 토양수분 정보는 필수적이다. 위성관측을 활용한 토양수분관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적 토양수분 상태와 정량적 차이가 크므로 편이보정을 통한 정량적 개선과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성에서 관측한 AMSR2 토양수분과 지상관측 토양수분자료 및 다중회귀모형를 이용하여 토양수분자료를 정량적로 개선하였다. 공간 해상도가 10 km인 AMSR2 토양수분을 1 km로 상세화한 우리나라 전역의 토양수분 자료와 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에서 제공하는 강우관측소 556개 지점에서 관측한 강우자료, 후처리한 MODIS LST 자료, 증발산량 및 식생지수를 사용하였다. 2012년 7월부터 2013년까지 기상청 농업기상관측관서에서 관측하는 지점 중 사용 가능한 6개 토양수분관측소 자료에 대해 토양군별회귀계수를 산정하였다. 토양군별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편이보정한 토양수분자료는 전반적으로 과소추정되는 AMSR2 토양수분의 단점을 개선하여 위성관측 토양수분자료의 활용성을 개선하였다(Fig. 1).

  • PDF

Improving Monitoring Performance of VHI and Quantitative Assessment of Vegetation Response to Meteorological Drought (VHI의 모니터링 성능 개선 및 기상학적 요인 변화에 따른 식생 반응의 정량적 평가)

  • Jung, Haeun;Choi, Sijung;Kim, Sangd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6 no.4
    • /
    • pp.344-355
    • /
    • 2024
  • To assess vegetation drough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vegetation, and to accurately measure vegetation response to meteorological changes. This study introduced VHIs(Vegetation Health Indices) calculated by applying various weights to assess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VCI(Vegetation Condition Index(i.e. water stress of vegetation) and TCI(Temperature Condition Index)(i.e. temperature stress of vegetation) based on correlation analysis. Through this, the VHIopt(optimal VHI) that best explains the effects of meteorological drought on vegetation activity in the Nakdong River basin has been presented. The EDCI(Ecological Drought Condition Index)-VHIopt was proposed, which uses VHIopt to monitor the effects of meteorological drought on vegetation. EDCI-VHIopt is calculated based on a copula-based joint probability model between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VHIopt, which quantitatively assesses vegetation response to meteorological drought. As a result,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VCI and TCI in the Nakdong River basin varied from month to month and pixel to pixel. The proposed EDCI-VHIopt in this study showed that it can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vegetation response to spatiotemporally varying meteorological drough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ool to understand vegetation responses to meteorological drought and provide a basis for addressing the deterioration of vegetation health due to meteorological drought.

Estimation of Soil Moisture in Korea Using a Satellite Image and Meteorological Data (위성영상과 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토양수분 추정)

  • Park, Jung-A;Kim, Gwang-Seob;Park, Ha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83-284
    • /
    • 2010
  • 강우가 있을 때 토양수분은 증가하여 지표온도의 상승을 억제하고, 강우와 증발산을 통해 토양수분은 대기와 지형을 연결하는 중요한 상태변수(Yoo et al., 2001)가 된다. 이에 따라 물순환의 이해와 적절한 모형의 개발을 위해서는 강우 및 토양수분의 원격측정이 필수적일 뿐 아니라 관측 격자 내에서 일어나는 변화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김광섭 외, 200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원격탐사 자료와 지형자료, 기상관측 자료와 같은 가용자료와 신경망(Neural Network) 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토양수분 분포도를 작성하고자 한다. 우선 신뢰도 높은 토양수분 관측자료를 가진 용담댐유역(6개 지점)에 대하여 전체적인 토양수분의 거동을 파악하여 토양수분 추정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사용해서 용담댐 유역의 토양수분 분포와 우리나라 전역에 대한 토양수분 분포도를 추정하고자 한다. 신뢰할 수 있는 지상관측 토양수분 관측치가 다양한 지상조건에 대하여 존재하지 않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제시된 토양수분추정 방법은 제한된 가용자료를 사용한 우리나라 전역의 토양수분 추정에 있어 합리적인 접근법이라 판단된다.

  • PDF

Proposal of a Black Ice Detection Method Using Infrared Camera for Reducing of Traffic Accidents (교통사고 경감을 위한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한 블랙아이스 탐지 방법 제안)

  • Kim, Hyung-gyun;Jeong, Eun-ji;Baek, Seung-hyun;Jang, Min-seok;Lee, Y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05a
    • /
    • pp.521-523
    • /
    • 2021
  • As the invention of automobiles and construction of roads for vehicles began, the occurrence of traffic accidents began to increase. Accordingly, efforts were made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by changing the road construction method and using signal systems such as traffic lights, but even today, numerous human and property damages have occurred due to traffic accidents caused by freezing of the road due to bad weather. In this paper, in order to reduce traffic accidents due to road freezing, we propose a method of transferring the ice detection information obtained by deep learning of infrared wavelength data obtained using an infrared camera to the vehicle's navigation.

  • PDF

User Interface of Data Processing,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iques of Traffic Database Supporting Archived data (교통정보 이력자료 분석을 위한 통합 교통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및 구축과 자료처리 이용자 인터페이스)

  • Lee, Yoon-Kyung;Lee, Min-Soo;NamGu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55-59
    • /
    • 2008
  • 분산되어 있는 여러 운영계 시스템에서 대용량의 교통자료를 가져와 교통정보 이력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단일 통합 교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품질 평가, 오류 판단, 결측보정과 평활화 등의 자료처리 과정을 거친 교통자료는 자료의 신뢰도를 판단하고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해주며 이용자에게 고속도로 통행료 수납자료, 고속도로 전자통행료 수납자료, 차량검지장치자료, 도로전광표지자료, 돌발상황자료, 기상자료, 차량번호인식장치자료 등에 대한 검색 및 자료 처리 기능을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