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도래기재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8초

동양줄날도래(날도래목, 줄날도래과)의 미성숙 단계와 성충 단계의 기재 및 생태 기록 (Descriptions of Immature and Adult Stages of Hydropsyche orientalis Martynov(Trichoptera, Hydropsychidae) with Ecological Notes)

  • 허준미;원두희;노태호;배연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5-29
    • /
    • 2000
  • 야외관찰과 사육실험을 통하여 과거에 한국에서 Hydropsyche KUe로 알려져 온 동양줄날도래의 미성숙단계와 성충의 관계를 밝혔다. 각 영의 유충, 유충은신처, 번데기, 번데기집, 수컷과 암컷성충을 기재하였으며, 간략한 생태에 대하여 기록하였다.

  • PDF

백두대간 피재-도래기재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Pijae to Doraegijae in the Baekdudaegan, Korea)

  • 오구균;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30-343
    • /
    • 2002
  • 백두대간상의 피재-도래기재구간 능선부에서 43개소 조사지(면적 500$m^2$)를 설정하여 식생구조를 파악하였다. TWINSPAN분석에 의하여 조사지의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아고산대 혼효림, 신갈나무-당단풍군집, 신갈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일본잎갈나무림으로 분리되었다. 백두대간 피재-도래기재구간의 능선부는 대부분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국지적으로 분비나무, 주목 등의 한대 기후대 침엽수와 낙엽수종들이 혼효하고 있었다. 조사지의 산림군집의 종다양성지수(면적 1,000$m^2$)는 2.0149~3.0139로서 백두대간에 위치한 국립 공원들의 능선부 식생구조와 유사하였다.

한국산 우묵날도래 과와 가시날도래 과의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Notes on Limnephilidae and Goeridae (Trichoptera: Limnephiloidea) of Korea)

  • 최현정;;우건석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5권1호
    • /
    • pp.27-49
    • /
    • 1999
  • 남한에 분포하는 우묵날도래 과의 기시날도래 과에 속하는 15종을 보고하며, 성충 동정에 필요한 기재문과 외부생식기의 도해, 건조표본의 사진 그리고, 지리적 분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중, 슈미드우묵날도래 Brachpsyche schmidi sp. n.는 신종이며, 동야모시우묵날도래(신칭) Limnephilus orientalis Martynov와 방동가시날도래(신칭) Goera curvispina Martynov등 2종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그리고, 어리우묵날도래(신칭) Nemotalius mutatus MacLachlan, 아무르검은날개우묵날도래(신칭) Asynarchus amurensis Ulmer, 우리큰우묵날도래(신칭) Hydatophylax formosus Schmid등 3종은 남한미기록종이다.

  • PDF

백두대간 자연생태계의 지역구분을 위한 식생지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egetation Index for Zoning of Natural Ecosystem on Baekdudaegan)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3-232
    • /
    • 2002
  • 자연생태계의 보전을 위한 지역구분을 위하여 백두대간(피재-도래기재) 구간을 조사한 식생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식생의 보전가치를 식생지수라는 것으로 수치화하는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식생지수는 생물다양성, 임분의 보전가치, 환경의 청정성, 임분의 역사성 입지의 생산성 등을 바탕으로 수치화하였다. 식생지수는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식생지수 I의 경우 총 113개의 조사지 중에서 59개 지역 52.2%가 핵심지역에 속하고, 34개 지역 30.1%, 20개 지역 17.7%가 각각 완충지역과 전이지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지수II의 경우 49개 지역 43.4%가 핵심지역에 속하고, 38개 지역 33.6%, 26개 지역 23.0%가 각각 완충지역과 전이지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우묵날도래과(곤충강, 날도래목)의 1신종 및 2미기록종 (A New Species and Two New Records of the Limnephilidae (Insecta, Trichoptera) in Korea)

  • 박선진;배연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6권1호
    • /
    • pp.15-21
    • /
    • 2000
  • 우묵날도래과의 Nothopsyche bilobata n. sp.를 신종으로 기재하였고, Apatania martima Ivanov and Levanidova의 암컷 성충과 Ecclisomyia kamtshatica(Martynov)의 유충을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또한 3종의 미결정종(Nemotaulius sp. A. Nemotaulius sp. B. Nothopsyche sp. A)을 기록하였다.

  • PDF

한국산 큰그물강도래 속( 큰그물강도래과, 강도래 목, 곤충강)의 1 신종 (A New Species of Pteronarcys (Pteronarcyidae , Plecoptera ; Insecta) from Korea)

  • 나철호;백순기;조영관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7권1호
    • /
    • pp.117-126
    • /
    • 1991
  • 1984년부터 1990년까지 전남의 영산강 상류, 섬진강 상류, 광양천의 상류에서 채집된 강도래목의 큰그물강도래과를 조사한 결과 Pteronarcys의 1신종이 확인되어 Pteronarcys macra로 명명하여 기재한다. 본 종은 Pteronarcys sac-chalina Klapalek, P. reticulata Burmeister와는 유충, 성충의 생식기, 난의 형태등이 다르다.

  • PDF

베트남산 통날도래과(날도래목)의 미기록종 (New Records of Psychomyiidae(Insecta: Trichoptera) from Vietnam)

  • 황득휘;배연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2호
    • /
    • pp.273-279
    • /
    • 2005
  • 2002-2003년 동안 베트남의 현지조사를 통하여 채집한 날도래 표본을 이용하여 통날도래과에 속하는 Tinodes reuso Malicky & Chantaramongkol (베트남 미기록종) 및 4종 (Psychomyia VL1, Psychomyia VL2, Paduniella VL1 및 Tinodes VL1)의 유충 (미결정종)을 확인하여 보고하였다. Psychomyia와 Paduniella속은 베트남에서 처음으로 기록된다. 표본자료, 기재문, 진단문, 분포 및 분류상의 비고를 수록하였다.

한국산 강도래 목 9민강도래 과)의 1신종, Nemoura gemma sp.n. (Nemoura gemma, a New Species of the Nemouridae (Insecta: Plecoptera) from Korea)

  • Soon Ah Ham;Jong Bin L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4호
    • /
    • pp.357-360
    • /
    • 1998
  • 한국산 민강도래 속의 신종인 Nemoura gemma sp. n.의 성충을 삽화와 함께 기재한다. 본 종은 Nemoura jezoensis Okamoto와 Nemoura alaica Zhiltzova와 유사하나, 항상판의 외형 및 배부경판의 형태, 복부 경판의 가시의 유무와 미모에서의 갈고리의 유무등으로 쉽게 구별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