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도덕적 존재

Search Result 142,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rtifacts and Conditions for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인공물과 책임귀속 조건)

  • Kim, Nam-ho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47
    • /
    • pp.59-76
    • /
    • 2018
  • What are the conditions make a being x a moral agent? Can an artifact be moral agent? A moral agent is considered to be a rational being capable of distinguishing between right and wrong.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d Davidson's position on the condition of the rational being and argued that the network of beliefs with propositional attitude and the beliefs as their background cannot be a requisite for the rational being. Later, it proves that the conditions proposed by $Proke{\check{s}}ov{\acute{a}}$ are merely paratactically listed superficial elements. The moral agent in this study includes the rational agent and it is proven that the strong first person viewpoint is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rational agent and moral agent. In conclusion, it suggested a the sketch of moderate skepticism which sets the tentative limit on the agent potential in an artifact by suggesting conditions for moral agent instead of intense skepticism that strongly denies the potential as the moral agent.

Effects of Facial Expression of Others on Moral Judgment (타인의 얼굴 표정이 도덕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

  • Lee, WonSeob;Kim, ShinWoo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30 no.2
    • /
    • pp.85-104
    • /
    • 2019
  • Past research showed that presence of others induces morally desirable behavior and stricter judgments. That is, presence of others makes people become a moral being. On the other hand,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test what effects facial expression of others have on moral judgments. In this research, we tested the effects of emotion exposed by facial expression on moral judgments. To this end, we presented descriptions of immoral or prosocial behavior along with facial expression of various emotions (in particular, disgust and happiness), and asked participants to make moral judgments on the behavior in the descriptions. In Experiment 1, facial expression did not affect moral judgments, but variability of judgments was increased when descriptions and facial expression were incongruent. In experiment 2, we modified potential reasons of the null effect and conducted the experiment using the same procedure. Subjects in Experiment 2 made stricter judgments with disgust faces than with happy faces for immoral behavior, but the effect did not occur for prosocial behavior. In Experiment 3, we repeated the same experiment after having subjects to consider themselves as the actor in the descriptions. The results replicated the effects of facial expression in Experiment 2 but there was no effect of the actor on moral judgments. This research showed that facial expression of others specifically affects moral judgments on immoral behavior but not on prosocial behavior. In general discussion, we provided further discussion on the result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장여헌과 이토 진사이의 도·도덕론 비교

  • Eom, Seok-In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50
    • /
    • pp.139-178
    • /
    • 2013
  • 본 논문은 조선시대의 장여헌(張旅軒)과 일본 에도(江戶) 시대의 이토 진사이(伊藤仁齋)의 사상, 특히 도(道)에 관한 견해를 중심으로 인간론과 도덕론을 고찰하여 그 둘의 사상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시도이다. 논의의 진행은 먼저 도(道)에 관한 여헌과 진사이의 이해를 주자학적 논의와의 원근 거리와 천도(天道) 인도(人道)와의 관계에서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인간관에 있어서는 자기와 타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간에 관한 이해를 논하였으며, 다음으로 마음과 경(敬), 서(恕)에 관한 두 사상가의 상반된 이해를 소개하면서 도덕론을 논하였다. 이하 요점을 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진사이는 도를 천지의 도와 단절된 인륜일용의 인간의 도로 한정하였고 인간에 대해서도 개적 존재를 사상시킨 관계적 존재에 초점을 두고 파악하였다. 그런 관점 위에서 개인 수양의 출발점이 되는 마음이나 경에 대해서도 큰 비중을 두지 않았고, 그것은 개인의 자율성보다는 외적인 규범에 보다 많은 신뢰를 두고 그것에 자신을 맞추어 가는 일종의 타율적인 관계(집단) 속의 도덕론의 전개로 나타나고 있음을 논하였다. 여헌은 도(道)를 천지만물과 사람 모두가 의거하는 총체적인 개념으로 파악하였고, 더 나아가 사람의 도가 능동적으로 천도와 지도를 구현하는 중심이라고 하였다. 이런 관점 위에서 여헌은 인간은 몸(형기(形氣))을 가진 개적 존재이지만 동시에 그 몸의 일부인 천지만물과 통하는 마음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보편적인 존재라고 정의하며, 그 마음을 다스리는 경(敬)공부를 개인 수양의 기본임과 동시에 천지만물의 보편적 이치를 체득하는 근본적인 실천공부로 중시하였다. 이러한 여헌의 도와 인간에 대한 이해는 도덕의 실현에 있어서 자신이 중심이 되어 그것의 확장으로 모두가 하나가 되는 동심원적 파동의 도덕론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주자(朱子) 『주역본의(周易本義)』에서 합리적 판단과 도덕적 선택에 관한 연구 - 소옹(邵雍)·정이(程頤)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Ju, Gwang-Ho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26
    • /
    • pp.377-401
    • /
    • 2013
  • 일반적으로 성리학에서는 개인의 이익보다 도덕적 선택을 우선하라고 요구한다. 그러나 "주역"에서는 결코 이익을 죄악시 하지 않는다. 이 글은 성리학자이면서 역학자인 주자의 이익과 도덕에 대한 입장을 추적하는 연구이다. 주자가 소옹의 결정론적 세계관과 도덕적 자유의지를 강조하는 이천의 관점을 결합함으로써 완성하고자 한 것은 "주역"의 서(筮) 속에서 리(理)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점서(占筮)의 결과가 그렇게 나오는 것은 그에 해당하는 이치가 있기 때문이라는 말이다. 그런데 "주역"의 리(理) 즉 역리(易理)란 오랜 경험과 관찰을 통해 확보된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의 심리적 행위적 경향성의 총합이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내용은 바로 상황적 합리성과 타자와의 조화로움이다. 이 리(理)는 우주와 사회의 정해진 질서로서 우리에게 주어진다. 개인은 이 주어진 질서에 따를 수 있는 자유와 함께 따르지 않을 수 있는 자유를 지닌다. 때문에 정해진 질서와 그 속에서의 개인의 자유의지는 양립가능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그런 의미에서 주자는 약한 결정론자라고 할 수 있다. 성리학은 우주의 질서로부터 부여받은 당위의 법칙에 자발적으로 동의할 것을 요구한다. 그것이 가장 올바른 선택이면서 동시에 자신에게 가장 이로운 선택이기 때문이다. 주자는 상황적 합리성과 타자와의 조화로운 관계에서만이 자신의 진정한 이익을 추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타자와의 유기적 관계를 부정하고 유아적(唯我的) 이익만 추구하려는 자는,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이 지니는 심리적 행위적 경향성을 무시한 어리석은 자이다. 이렇게 주자에게서 이익[리(利)]은 상황적 합리성[의(宜)]이 되고 또 그것은 바로 도덕[의(義)]이 된다. 참다운 의미에서의 합리적인 판단은 도덕적 선택을 불러온다.

장구성(張九成)의 성선(性善) 개념 연구: 호상학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 LEE, HAEIM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no.86
    • /
    • pp.61-85
    • /
    • 2009
  • 이 논문의 목적은 장구성의 성선 개념이 호상학과 같이 선악을 초월해 있는 것이 아니라 선한 마음의 근거로서 내재되어있는 것임을 밝히는 데 있다. 기존연구자들에 의하면, 선악을 초월한 성의 의미는 도덕적 본성의 내재성을 부정하는 것이고, 이로 인해서 성이 외부조건에 따라서 선하게도 악하게도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도덕적 본성의 실현은 성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심에 근거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장구성은 고자의 성 개념을 비판함으로써 도덕적 본성의 내재성과 본성에 근거한 도덕적 실천을 논증해 나간다. 장구성의 성선 개념은 '성은 인의예지로서 내재된 도덕적 본성이다'라는 명제로 압축될 수 있다. 이 명제는 세 가지 조건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성은 곧 인의예지이다. 둘째, 인의예지는 사단의 근거로서만 존재한다. 셋째, 사단은 그 근원인 도덕적 본성을 확인할 수 있는 단서이다. 첫 번째 조건은 '곧'이 '바로 그' 혹은 '나아가다' 중에 어떤 것으로 해석되느냐에 따라서 도덕적 본성의 내재성여부가 가려진다는 것이다. 전자의 의미라면, 성이 인의예지로서 내재된 도덕적 본성이다. 반면에 후자의 의미라면, 인의예지는 도덕적 실천이 이루어진 후에 명명되는 덕목이다. 두 번째 조건은 인의예지와 사단이 체용의 관계를 이루느냐의 여부를 묻는 것이다. 체용의 의미는 도덕적 본성[인의예지]에 근거해서만 드러나는 것이 선한 마음[사단]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세 번째 조건은 사단이 도덕적 본성을 확인하는 단서로 쓰였느냐의 여부를 묻는 것이다. 도덕적 본성이 내 마음에 내재되어있다면, 본성실현의 관건은 그 본성을 확인하는 데에 달려있다. 이때 선한 마음은 확충해서 완전하게 실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그 근원을 찾아가는 단서이다. 장구성은 이 세 가지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써 맹자의 성선 개념이 도덕적 본성의 내재성임을 증명한다.

Effects of Videos about Good and Evil on Moral Judgments Regarding Self and Others (인간의 선악을 보여주는 영상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도덕적 판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Kim, ShinWoo;Lee, WonSeob;Li, Hyung-Chul 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2 no.2
    • /
    • pp.29-36
    • /
    • 2019
  • Previous resarch demonstrated that moral judgment is not an outcome of rational reasoning, but an independent variable determined by diverse factors. The effects of disgust on moral harshness, audience effect on moralistic punishment are some examples that support this view. The variability of moral judgment raises a question on what effects video stimuli might have on moral judgments. Although a few studies (Schnall, Roper, & Fessler, 2010) have shown that watching a prosocial video clip promote moral behavior, no research have simultaneously tested the effects of both positive and negative video clips on moral (not bahavior but) judgments. Hence, this research tested the effects of viewing videos about good and evil on moral judgments regarding the self and others. To this end, participants were asked to view a video clip depicting content of either positive or negative human behavior and required to make moral judgments on conduct described in a scenario assuming that the person committing the act was either themselves or another person.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f both video contents (positive, negative) and the actor (self, others) on moral judgments, but they were qualifi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In particular, participants who watched evil deed of others made harsher judgments on others' moral transgression. Theses results demonstrate that video contents influence moral judgments, and the effect depends on the actor of the immoral behavior. In general discussion, we interpreted the results based on moral disgust, framing effect, and 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A positive interpretation of Louis Lavelle for the Presence of Evil and Pain, and its Limitations - Focusing on evil and suffering - (루이 라벨의 '악의 현존과 고통'에 대한 긍정적인 해석 그리고 그 한계 - 『악과 고통들』을 중심으로 -)

  • Lee, Myoung-gon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46
    • /
    • pp.163-192
    • /
    • 2018
  • In the philosophy of Louis Labelle, the subject of "good and evil", which is rarely discussed in modern philosophy, emerges as a very important concept. In his reasoning, the notion of evil starts from a passive stipulation of the Scholastic philosophy of "the lack of being", but he defined the evil, which actually exists in the world with more positive sense as a willing force destroying "life and values". In his reasoning that defines "the presence of evil" as "le scandale du monde", all humans have the possibility of evil as an attitude of will, and the presence of evil in the world and in human society is inevitable. On the other hand, because the outcome of evil appears as physical and mental "pain", the human's attitude toward pain, which attempts to deny suffering, induces a moral will to overcome this evil. The moral anguish, which is the "internal suffering" that we have in front of the presence of evil, makes us conscious of becoming a "moral being", and people become self-satisfied here. Although painful, self-satisfaction and happiness about becoming a moral being is the only occasion and motive for man to overcome this by opposing the presence of evil. In other words, Lavelle's thoughts for good and evil are based on "moral psychologism", and the "coherence of psychological horizons and ethical horizons" between rejection of suffering and moral agony enables "ethical optimism" that man constantly overcomes evil and produces good. This is clearly an advanced modern application of scholasticism on the concept of evil.

Kant's Ethics and Nietzsche's Critique of Morality: Self-Deception, Respect and Pathos of Distance (칸트 윤리학과 니체의 도덕비판: 자기기만, 존중과 거리의 파토스를 중심으로)

  • Kang, Byoungho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no.114
    • /
    • pp.27-51
    • /
    • 2016
  • According to Kant, morality is an institution that preserves and promotes humanity. However, some pathologies can be found in morality. Nietzsche is the one who severely criticized pathologies of morality, especially in terms of the phenomenon of "self-deception". Those who support Kantian tradition, can also learn from Nietzsche's criticism. But they regard "respect" as the fundamental moral attitude. This is different from Nietzsche's "pathos of distance", which is based on disrespect and contempt.

Understanding an Employee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Violations (조직 구성원들의 정보보안 정책 위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Yim, Myung-Se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2
    • /
    • pp.19-3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n answer why employees in organization violate the organizational information security policy. To do this, this study is rooted in the moral disengagment theory. This study found that moral belief and perceived sanction have an effect on security policy violation. However, if moral disengagement is involved in the research model, perceived sanction is not significant. Finally, SETA, moral belief, and perceived sanction have a negative effect on moral disengagement, which in turn moral disengagement influences positively the security policy violation.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Jonjae Wie Baek-Gyu's Thoughts & Proposals for Educational Reform and the implication of moral education (존재(存齋) 위백규(魏伯珪)의 교육개혁론(敎育改革論)과 그 도덕교육적(道德敎育的) 함의(含意))

  • Park, Hakrae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72
    • /
    • pp.265-298
    • /
    • 2018
  •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s and meaning of the education reform theory among the social reform theory of Wie Baek-gyu(1727~1798), a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of Honam in the 18th century, and suggests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his educational reform theory. Wie Baek-gyu, who lived through the Yeongjo and Jeongjo eras, diagnosed the contradictions and problems of society at that time as the absence of morality. And emphasized the reform of school education as a center of ways to overcome social disruption. The educational reform theory he envisioned was to systematize the process from child education to higher education centered on the system reorganization of the school, and to formulate school educ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election of talent. He emphasized the cultivation and practice of moral character in the course of admission and curriculum of the school, and suggested a system that reflects the opinions of the local people in the admission process, thereby establishing the school as the center of the local society. His educational reform theory, which embodies the school system based on moral education and further shapes the school system and educational contents as the center of edification and recruitment of talented people, is a big indication of the curriculum of the current moral curriculum that emphasizes the cultivation and practice of inner morality based on personality education. In this paper, I summarized and reviewed the general contents of his perception of the times and social reform theory, the diagnosis of the educational reality that is the basis of his educational reform theory, and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education reform theory. Based on this, I presented the meaning to the current moral and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