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댐하류 하천

Search Result 441, Processing Time 0.067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and Needed Discharge during Drought Season (갈수시 하천수질과 필요유량 관계 연구)

  • Jung, young Hun;Yi, Choong Sung;Kim, Hung Soo;Shim, Myung 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748-752
    • /
    • 2004
  • 근래 환경의 중요성이 크게 인식되면서 하천의 수질관리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오염된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중에 배출 오염원을 삭감시키는 환경기초시설이나 댐과 같은 저수구조물에서 양질의 용수를 방류하여 희석시킴으로써 하천의 수질오염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수질을 개선시키는 과정에서 희석을 위한 저수지의 방류량을 필요유량으로 간주하였으며 일정 수질농도를 지속적으로 지니고 있는 자연하천의 유입량과 이때 어느 대상지점의 목표수질등급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저수구조물에서의 인위적 조정이 가능한 필요유량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은 금강 본류와 본류로 유입하는 갑천유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즉, 갑천의 확률갈수유량을 3등급과 4등급으로 가정하고, 이들 유량이 금강본류로 유입되련, 금강본류와 미호천합류 바로 전의 금강하류지점 목표수질을 2등급이라 하였을 때, 이를 만족할 수 있는 금강본류의 필요유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때 갑천유역의 일강우량자료는 기존 Markov 연쇄의 상태모형을 개선해 모의하였고, 강우-유출 모형으로는 NWS-PC모형을 이용하였는데 컴플렉스 혼합 진화기법으로 매개변수들을 보정하여 확률갈수유량을 산정하였다. 다음에 QUAL2E를 이용하여 목표수질을 만족하는 희석 목적의 유랑을 구하여 필요유량으로 간주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유입되는 갑천의 확률갈수유량들에 대하여 대청조정지댐에서 방류량이 목표수질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0.5\~2.5$배정도 더 유입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ssessment of Riverine Health Condition and Estimation of Optimal Ecological Flowrate Considering Fish Habitat in downstream of Yongdam Dam (용담댐 하류의 하천건강성 평가 및 어류 서식처를 고려한 최적 생태유량 산정)

  • Hur, Jun-Wook;Kim, Jeong-K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6
    • /
    • pp.481-491
    • /
    • 2009
  • 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field monitoring was conducted to understand habitat conditions of fish species in the upper Geum river. Based on the monitoring data, riverine health conditions such as composition ratio of fish species, richness and dominance indexes, bio-diversity (dominance index, diversity, evenness and richness), and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were assessed, and optimal ecological flowrates were estimated using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es established for three fish species Coreoleuciscus splendidus, Zacco platypus and Pseudopungtungia nigra selected as icon species using the physical habitat simulation system (PHABSIM). The total number of species sampled was 20 species, and two sensitive species of C. splendidus (22.4%) and Z. platypus (22.0%) dominated the fish community. The estimated IBI values ranged from 34 to 42 with average being 38 out of 50, rendering the site ecologically fair to good health conditions. An optimal ecological flowrate of 9.0 cms was recommended for the representative fish species at the site.

Estimation of River Ecological Flow in the Downstream Section of Seomjingang Dam (섬진강 댐 하류 구간에서의 하천 생태유량 산정)

  • Bae, Jeonga;Lee, Chanjoo;Kim, Jin Kwa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8 no.2
    • /
    • pp.1-13
    • /
    • 2021
  •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sufficient river maintenance flow for the ecosystem, since the ecosystem in the downstream section of the dam is greatly affected by the stream maintenance flow from the dam. However, the amount of discharge from the Seomjingang Dam is decreasing year by year, this study estimated the ecological flow required for the downstream section of the Seomjingang Dam, which is known as the habitat of the endangered Acheilognathus somjinensis, in order to secure the river flow of the Seomjingang Dam. For this purpose, the proper discharge was calculated using the PHABSIM model, which is a hydrological survey and physical habitat simulation method, and the proper discharge of other fish species were also comprehensively review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urrent river maintenance flow at the Seomjingang Dam partially satisfies the ecological maintenance flow including the Acheilognathus somjinensis in the downstream section of the Seomjingang Dam. However, this is recognized as the minimum discharge to maintain the ecology in the downstream section of the Seomjingang Dam, and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secure larger river maintenance flow than this. This study can contribute the determination of the river maintenance flow of the Seomjingang Dam by proposing the river maintenance flow considering the fish habitat environment in the river.

Sensitivity Analysis for Parameter of Rainfall-Runoff Model During High and Low Water Level Season on Ban River Basin (한강수계의 고수 및 저수기 유출모형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 Choo, Tai-Ho;Maeng, Seung-Jin;Ok, Chi-Youl;Song, Ki-H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9 no.5
    • /
    • pp.1334-1343
    • /
    • 2008
  • Growing need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urge the joint operation of dams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whole basin. As one of the tools for supporting above tasks, this study aims to constitute a hydrologic model that can simulate the streamflow discharges at some control points located both upper and down stream of dams. One of the currently available models is being studied to be applied with a least effort in order to support the ongoing project of KWATER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Establishment of integrated operation scheme for the dams in Han River Basin". On this study, following works have been carried out : division of Han River Basin into 24 sub-basins, use of rainfall data of 151 stations to make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selection of control points such as Soyanggang Dam, Chungju Dam, Chungju Release Control Dam, Heongseong Dam, Hwachun Dam, Chuncheon Dam, Uiam Dam, Cheongpyung Dam and Paldang Dam, selection of SSARR (Streamflow Synthesis and Reservoir Regulation) model as a hydrologic model, preparation of input data of SSARR model, sensitivity analysis of parameter using hydrologic data of 2002. The sensitivity analysis showed that soil moisture index versus runoff percent (SMI-ROP), baseflow infiltration index versus baseflow percent (BII-BFP) and surface-subsurface separation (S-SS) parameters are higher sensitive parameters to the simulation result.

Basic Investigation about Hydro-Geomorphologic and Vegetation Cover Changes on the Regulated River - A Case of the Downstream River of Andong Dam/Imha Dam on the Nakdong River (조절된 하천의 수문지형학적 변화와 식생 피복의 변화에 관한 기초 조사 - 낙동강 안동댐/임하댐 하류 하천 사례)

  • Woo, Hyo Seop;Rhee, Dong Sup;Ahn, Hong Kyu;Lee, Cha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35-1339
    • /
    • 2004
  • A hydro-geomorphologic change in a sand bed channel reach and vegetation expansion by changes in the How regime is analyzed in this study. Field and aerial photo surveys, basic hydrological analysis about flow regime change due to two dams, Andong Dam and Imha Dam, on the upstream river and computer modeling are conducted. Two Dams in the study reach have obviously affected downstream channel in many ways including the bed particle coarsening, vegetation expansion on the sandbars and following river channel braiding. The phenomenon of no vegetation on the large point bar in front of Hahwe Village seems due to disturbance of the sandbar surface probably due to the cross flow in the meander reach during the flood. Another reason for no vegetation is that the sandbar on this reach has lower subsurface water lovels, as compared with the others in the up- and downstream of the reach where vegetation expanded, which would hinder vegetation from germinating and growing on the sandbar.

  • PDF

River Discharge Measurement and Analysis for Nakdong-River Basin in 2006 (2006년 낙동강 유량측정 및 유출특성 분석)

  • Lee, Ki-Sung;Kim, Ji-Chan;Song, In-Ryeol;Kim, Hyoung-Seop;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808-1813
    • /
    • 2007
  • 하천유량은 수자원계획, 댐개발, 용수공급, 하천수질관리 등에 필요한 수자원 기본자료로서 정확도에 따라 국가 수자원계획이 좌우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7개 지점에 대한 2006년의 수문관측 자료 및 유량측정성과를 이용하여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2006년도 낙동강 유역의 유량측정 지점 중 낙동강 본류에 해당하는 7개 지점에 대한 현장 유량측정 수행결과와 유량측정성과에 대한 수리특성 분석, 불확실도 분석 및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여 유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유량에 대한 상 하류 유출 검토, 댐방류량과의 비교, 연유출률 검토, 주요 호우사상별 직접 유출률 검토, 평 저수시 동시유량 검토 등을 통하여 각 지점의 최종 유량을 확정하였다. 산정된 유출률은 대체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부분적으로 계기수위가 불안정했던 지점들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들의 유출률은 그 지점들의 특성을 감안할 경우 비교적 안정적인 범위 내의 유출특성을 보였다. 2005년도 유출률과 비교해 보면 전체적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올해 장기간 집중된 강우 특성을 고려한다면 적절한 유출범위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전문인력에 의한 현장 측정과 일상적인 검증과정을 통해서 정밀한 유량측정성과를 확보한다면, 보다 신뢰성있는 유량자료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며, 효과적인 치수 및 이수계획의 수립 등 수자원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Inundation Pattern Analysis by Applying Flood Routing Model with Random Forest Regression (하도홍수추적 모형과 랜덤포레스트 회귀를 이용한 침수양상 분석)

  • Kim, Hyun Il;Kim, Byung Hyun;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98-398
    • /
    • 2020
  • 대도시 상류부에 위치한 댐의 과도한 방류 또는 급작스러운 붕괴는 대규모의 인명 또는 재산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며, 다양한 댐 유입량 조건에 따른 침수양상을 파악하는 것은 수재해 대응능력 향상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다양한 과다한 댐 방류 또는 붕괴유량에 따른 침수 범위는 도시의 내수침수와 달리 매우 넓은 지형조건을 고려하며 침수 범위가 광범위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댐 유입량 조건에 따른 침수 지도를 생성 및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가중시키며, 특히 댐 운영에 따른 침수양상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저빈도부터 PMF(Probable Maximum Flood) 조건까지의 다양한 댐 유입량자료를 바탕으로, 1차원 하천홍수해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팔당댐에 대한 댐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팔당댐 하류에 위치한 서울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1차원 해석 결과로 산정되는 각하도 단면 별 홍수위자료와 GIS을 연계하여 다양한 발생빈도를 나타내는 유입량에 대한 침수지도를 생성하였으며, 기존에 제시된 발생빈도에 따른 침수지도 외에 임의 빈도의 침수지도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는 랜덤포레스트 회귀 모형을 구축하였다. 위의 과정들을 통해 다양한 유입량 조건에 따른 연구대상 지역에서의 침수예상도를 분석할 수 있었으며, 서울시 전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침수심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할 수 있었다. 주어진 침수 지도를 이용하여 서울시에 대한 인구 및 건축물의 경제적 가치 자료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홍수 위험도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임의 빈도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침수를 예측할 수 있는 랜덤포레스트와 연계할 수 있다. 제시된 방법론은 댐의 과다한 방류량과 붕괴 현상을 재현하며, 도시의 수재해 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Ichthyofauna and Structure of the Fish Community in Hapcheon Lake on the Hwang River (합천호의 어류상과 어류 군집구조)

  • Lee, Chung-Lyul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17 no.2
    • /
    • pp.131-141
    • /
    • 2005
  • The ichthyofauna and structure of the fish community of Hapcheon Lake on the Hwang River were surveyed at six localities from May 2004 to Feb. 2005. There were 36 species belonging to 31 genera and 12 families in the Hapcheon Lake system. Of these, 24 species (66.7%) were cyprinids; cobitids and centropomids were next with 2 species (5.6%) each. The dominant species in the Hapcheon Lake system was Hemiculter eigenmanni (relative abundance 28.4%), the subdominant species Hemibarbus labeo (24.1%). Ten species (28.3%) of the 36 were Korean endemic species. Among the endemic species, H. eigenmanni and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were abundant at each locality except site 6, but the eight other species were rare. In biomass, H. labeo comprised about 36.5% of the total weight, H. eigenmanni 22.3%, Cyprinus carpio 7.5%, Hypomesus nipponensis 6.9%, Culter brevicauda 3.7% and Lepomis macrochirus 3.6%. Average dominance, diversity, and evenness index of the fish community collected from six localities in the Hapcheon Lake system were 0.21, 0.85, and 0.67, respectively.

Analysis on Behavior of Sediment Deposition in a Reservoir using a Numerical model (수치모형을 이용한 저수지내 퇴사 거동에 관한 연구)

  • L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888-892
    • /
    • 2008
  • 저수지의 퇴사는 저수량을 감소시켜 수명을 단축시키고 저수피해를 가중시킴과 동시에 용수공급에도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자연하천에서 흐르던 유사는 댐이라는 수공구조물로 인해 흐름에 방해를 받으며, 홍수기 홍수조절을 위한 방류시 하류 하천의 하상변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100년을 내용수명으로 하는 다목적댐은 한번 건설되면 저수상태에서 장기간 유지관리를 필요로 하므로 저수지내 퇴사에 대한 예측은 설계 단계에서 부터 신중한 검토와 적용이 요구된다. 저수지내에서 유사의 퇴적으로 인한 하상변동은 유역내에서 유입되는 유사입자의 크기와 형상, 하천의 계절적 유량변화와 유사량 변화, 저수지의 형태와 크기, 그리고 저수지의 홍수기 방류량과 운영계획 등 상호 관련된 많은 요소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하천 및 저수지의 정비와 관리를 위해서는 적절한 수치모형을 이용한 저수지의 퇴사분포 예측과 퇴사량 예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기간 저수지로 유입되는 홍수량을 대상으로 퇴사거동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차원 수치모형인 SMS(Surface-Water Modeling System)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모형내에 내장되어 있는 RMA-2와 SED-2D에 대한 모형의 특성 사용법 입력자료를 분석하고 대상유역에 대한 기 조사된 하천 종 횡단 자료를 토대로 지형자료를 작성하여 기본계획 단계에 있는 김천시 부항다목적댐을 대상으로 100년 빈도 홍수량 유입시 공간적 퇴사거동 현상을 모의하였으며, 유속분포 퇴사의 공간적범위를 고려하여 저수지내 구조물 위치 선정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 PDF

Runoff Analysis on the Major Water-level Station at Nakdong basin (낙동강 유역 주요지점의 유출분석)

  • Kim, Sam-Eun;Kim, Chi-Young;Choi, Kyu-Hyun;Hong, Seong-Hun;Kim, Dong-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67-272
    • /
    • 2011
  • 수문학적인 물의 순환은 여러 기상인자들과 영향을 주고 받으며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자연현상이다. 바로 이 물의 순환과정을 통해 물의 이동은 시간 및 공간적인 변동성을 가진다. 강수량이 많을 때는 하천의 통수능력을 초과함으로써 홍수를 발생시키기도 하며, 반대로 장기간에 강수가 전혀 없어 하천유출이 중단되어 가뭄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강우 자료의 확보가 용이하고, 과거로부터의 관측자료의 신뢰성이 높은 기상청 자료와 2007년부터 2010년 동안의 낙동강 본류와 주요지점을 대상으로 강우특성 및 강우량에 의한 첨두홍수량 비교분석, 지점별 강우에 따른 유출률변화 특성을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지점의 자료는 유량조사사업단 실시한 낙동강유역의 실측된 유량자료를 이용하였다. 강우특성에 의한 낙동강 본류 주요지점을 선정하여 첨두홍수량을 비교 하였으며 유출률 비교를 위해 선정된 지점은 연속적인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이 개발되어 안정적인 시계열자료를 산출할 수 있는 지점으로 낙동강권역의 유역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낙동강하류에 위치한 진동 지점과 도시하천의 특성을 나타내는 금호강유역에 위치한 동촌 지점 및 남강댐 하류에 위치하여 댐방류량에 의한 하천유지유량이 발생하는 정암 지점을 선정하여 유출률분석을 실시하였다. 세 지점의 유출률은 해당연도의 강우량에 따라 변화 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저 평수기 토양 침투 및 증발에 의한 자연적인 손실과 가용하천유량이 적어짐에 따른 취수량의 유출량에 대한 양적 비율의 증가가 원인으로 예상된다.

  • PDF